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자루
대
줄거리
요점
개요
개략
스토리
d라이브러리
"
줄기
"(으)로 총 1,425건 검색되었습니다.
춤추고 싶은 물리
과학동아
l
2005년 12호
통계물리 등의 결과를 경제, 경영 분야에 적용하는 경제물리(econophysics) 등 물리학이라는
줄기
에서 여러 개의 가지들이 뻗어 나오고 있다.물리학이 고대 그리스에서 자연을 연구한다는 ‘physis’에서 기원했고, 18세기까지는 자연의 모든 현상을 연구하는 학문인 ‘자연철학’과 동일한 말이었음을 ... ...
나무 한 그루가 잎을 통해 할 수 있는 일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12호
식물의 잎이 이렇게 중요한 일을 하고 있었다니 정말 놀랍지요? 이제부터는 밥상에 올라오는 나물과 채소 반찬에게 감사 인사를 꼭 한번 하고 식사하 ... 보면 이해할 수 있다.•물 분자의 응집력 : 물 분자는 서로 끌어당기는 힘이 있는데 물을
줄기
를 통해 잎까지 끌어올리는 가장 큰 힘이 ... ...
철새 이동으로 조류독감 바이러스 유럽까지 전파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식 물에는 꽃눈 분화가 일어나는데, 일장처리에 감응하는 부위는 잎이므로 잎으로부터
줄기
끝에 있는 싹으로 어떤 자극인자(刺戟因子)가 이행하는 것으로 생각된다고(高)에너지 입자를 이용할 목적으로 제작된 가속기 기종으로는 양성자(陽性子) 싱크로트론이 대표적인것이고, 미국의 시차고 ... ...
괴물 오징어 사진촬영 첫 성공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움직이는 현상정자가 이동하는 관은 막혀있지 않지만, 유전적 문제 때문에 정원
줄기
세포로부터 정자를 생산하지 못하는 남성 불임환자스스로 자석이 되는 물질 강자성체 안에 있는 전자들의 스핀이 모두 한 방향으로 자발적으로 늘어서 자석의 성질을 나타낸다이웃한 전자들의 스핀이 번갈아 ... ...
줄기
세포의
줄기
를 잡다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맡길 수 있다. 단 조정위원회의 엄격한 심사를 거쳐 허가를 받아야 한다. 은행에 있는
줄기
세포주를 이용할 때도 마찬가지다. 현재 이 은행은 런던 킹스칼리지와 뉴캐슬 생명센터 연구팀이 만든
줄기
세포주를 보관하고 있다.은행 설립 자금을 댄 생명기술과 생물학 연구회(BBSRC)의 줄리아 굿펠로우 ... ...
하룻밤에 읽는
줄기
세포의 모든 것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
줄기
세포를 아십니까?”서울대 황우석 교수의 복제 배아
줄기
세포 연구가 주목받으며 ‘
줄기
세포’는 누구나 한 번씩 입에 올리는 말이 ... 주제를 한 눈에 이해하기 쉽도록 꾸며져 있다. 무엇보다 아직도 ‘
줄기
세포는 식물의
줄기
처럼 생겼다’고 생각하는 사람은 꼭 읽어야 할 책이다 ... ...
우리는 어떻게 행동을 할 수 있을까
과학동아
l
2005년 10호
분자생물학과 유전공학의 발전으로 기저핵에 도파민을 분비하는 신경세포를 이식하거나
줄기
세포를 이식하는 방법으로 이 질환을 치료하려는 노력이 이뤄지고 있다.소뇌는 숙련이 필요한 모든 운동을 조절하는데 중요하게 관련돼 있다. 소뇌가 기능을 상실하면 운동할 때 균형감각을 ... ...
생명과학이 만드는 아름다운 예술
과학동아
l
2005년 10호
단면을 사포로 갈아 따로 처리하지 않고 전자현미경으로 찍은 작품. 배율은 50배. 대나무
줄기
는 얇기 때문에 자세히 들여다보면 곳곳에 이런 구멍을 볼 수 있다.만두윤철종·서울대병원 전자현미경실 (입선)절로 군침이 도는 만두들이 바구니 안에 가득 쌓여 있다. 모기를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기 ... ...
56년의 난제 다시 미궁에 빠지나?
과학동아
l
2005년 10호
결과에 주목하는 모습이다. 온 나라가 이번 연구 결과에 들썩이기 시작한 것이다. 과연
줄기
세포 연구로 세상에 모습을 드러낸 과학 한국의 수준을 다시 한번 과시할 ‘황우석 2탄’이 터진 것일까.하지만 같은 시각, 외신은 뜻밖에 침묵했다. 프랑스통신사인 아에프페(AFP)만이 9월2일자 서울발 ... ...
2. 무한 복제의 꿈
과학동아
l
2005년 09호
일으키는 유전자 타우의 구조는 사람과 원숭이에서 98% 같다. 황 교수가 언급한
줄기
세포 실험도 개보다 원숭이가 훨씬 효과적이다.그러나 원숭이 복제는 인간 복제라는 역풍을 불러올 가능성이 높다. 황 교수조차 원숭이 복제가 성공하지 못한 점을 들어 “인간 복제는 불가능하다”고 주장해 왔다. ... ...
이전
90
91
92
93
94
95
96
97
9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