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반
일단
만억
단
팀
d라이브러리
"
조
"(으)로 총 2,540건 검색되었습니다.
[hot science] 아침사용설명서
과학동아
l
2014년 10호
세상 그 무엇보다도 학업이 중요한 우리나라 학생들은 그동안 보장받지 못했다. 이제
조
금씩 바뀌고 있다. 전북 교육청은 10월부터 9시 등교를 시행할 예정이며 서울과 광주, 제주 교육청도 9시 등교에 대한 의견 수렴에 나섰다. 미국에서는 등교 시간을 바꾸는 것이 학생을 얼마나 드라마처럼 바꿀 수 ... ...
[career] 나라 먹여 살릴 벤처 키운다
과학동아
l
2014년 10호
것이다.캠페인 소식을 들은 포항상공회의소와 포항철강관리공단이 적극 나서면서 현재
조
선내화, 삼화피앤씨, ㈜융진 등 지역 기업들의 참여가 잇따르고 있다. 장학금을 출연한 기업체와 개인은 우수인재 양성에 기여하면서 신선하고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접하고 기업 운용에 응용하는 효과를 ... ...
[Photo] 숨쉬지 않고도 살아있다
과학동아
l
2014년 10호
그림을 그린다. 작업을 반복할수록 작품은 점점 생명을 얻어간다.때로는 달걀 껍데기나
조
약돌을 이용해 양감을 표현하기도 한다. 앞선 거북 등껍데기는 달걀껍데기를 이용해 실감나게 표현했다. 그렇다면 문어나 새우는 어떨까.작은 새우새우는 구우면 껍질이 빨갛게 변한다. 과연 이 새우도 ... ...
‘생각하는 방법’ 가르치는 리버럴 아츠 과학 교육
과학동아
l
2014년 09호
고등 학문을 폭넓게 이해하게 만드는 기초 학문은 뒷전이 되고, 지나치게 전문 분야만 강
조
돼 연구보다 취업이 우선시된다. 최근 일부 대학교에서 전공을 선택하기 전에 다양한 과목을 듣도록 교육을 보완하고 있지만 학생과 전공 수가 너무 많아 연구와 교육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모두 잡기는 ... ...
[체험] 세계수학자대회에서의 12시간
수학동아
l
2014년 09호
독자기자매번 ICM에서의 필즈상 수상자는 전세계에서 주목을 받기 마련이지만, 이번에는
조
금 그 의미가 남달랐다. 그 이유는 금녀의 공간이라 불린 필즈상에 최초의 여성 수상자가 탄생했기 때문이다.그녀의 당당한 모습은 그녀를 더욱 돋보이게 만들었다. 나 또한 수학을 사랑하는 학생이고 장차 ... ...
100배 빠른 통신 가능할까
과학동아
l
2014년 09호
8월 19일 캐나다 토론토에서 열린 나노테크놀로지학회에서 발표했다.테라헤르츠는 1초에 1
조
번 진동하는 초고주파 대역으로, 만약 반도체를 이런 주파수로 작동하게 만든다면 지금보다 최대 100배 빠른 통신을 개발할 수 있다. 그러나 기존 실리콘 반도체의 전자는 기가헤르츠 이상 진동하지 ... ...
세상에서 가장 강력한 컴퓨터
과학동아
l
2014년 09호
B다. 중요한 것은 이것이 중첩돼 동시에 일어난다는 점이다. 벨 상태는 측정하지 않고
조
건 분기하는 양자역학의 해법이다. 결국 슈뢰딩거 고양이의 중첩과 EPR 역설의 얽힘이 양자컴퓨터를 지탱하고 있다. ▲ 독일군 암호를 푸는데 사용된 튜링의 ‘봄브’(위). 양자컴퓨터 칩의 모습(아래) ... ...
2050년엔 메시도 이긴다
과학동아
l
2014년 09호
것도 로보티즈다. 우리나라 팀 쿠도스의 로봇 쿠봇도 다윈op의 설계도를 기본으로 일부 구
조
를 변경한 것이다. 이번 대회에서 로보티즈는 3명의 전문기술팀을 브라질 현지로 파견하기도 했다.한재권 로보티즈 수석연구원은 “브라질 로보컵은 열정적인 국가 분위기를 반영한 듯 개막식부터 들뜨고 ... ...
PART2 - 군집로봇 뇌 속엔 무엇이 들었을까
과학동아
l
2014년 08호
위 치를 인식한다는 게 얼마나 어려운 일인지 알 수 있다. 고층 빌딩 사이에서는 GPS신호
조
차 이용하기 어렵다. 그래서 필자는 제한된 정보만으로 스스로 군집을 이루 는 시스템을 향후 연구할 계획이다. 군집로봇은 지금부터 시작이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뭉치면 강하다 군집로봇INTRO - ... ...
양자컴퓨터 최강자는 누구?
과학동아
l
2014년 08호
게 전문가들의 추측이다. 최근 관련한 논란이 ‘사이언스’에서 제기됐다 (과학뉴스 참
조
). 반도체에는 여러 방식이 있다. 그 중 대표적인 방식은 반도체 안의 전자를 고립시켜 스핀을 이용하는 방식. 사진은 ‘사이언스’에 실린 예로, 흰 원이나 원화살표 부분에 전자 스핀 정보가 담긴다.‘내가 ... ...
이전
90
91
92
93
94
95
96
97
9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