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제안"(으)로 총 2,006건 검색되었습니다.
- “지금 안 막으면 사방이 가시박 천지가 됩니다!”과학동아 l2012년 01호
- 대한 엄청난 정보가 모습을 드러내기 시작했다.“몇몇 출판사를 찾아가 책을 내자고 제안했어요. 다들 내용은 너무 좋지만 엄두가 안 난다며 거절하더군요. 그래서 결국은 제 돈을 들여 출판하기로 했습니다.”이렇게 해서 2008년 3권으로 된 ‘한국생약자원생태도감’이 나왔다. 총 3696쪽, 무게 15. ... ...
- 1973년 허버트 보이어 교수의 제한효소를 이용한 재조합DNA 실험과학동아 l2012년 01호
- 박테리아 속에서 작동한다는 보장도 없기 때문에 먼저 작은 유전자로 시험을 해보자고 제안한 것. 그래서 이들이 선택한 게 소마토스타틴(somatostatin)이라는 아미노산 14개로 이뤄진 호르몬이다. 보이어 교수는 이들의 결정에 쉽게 동의했지만 시간이 급한 스완슨은 말도 안 되는 얘기라며 펄쩍 ... ...
- 이로운 거미를 만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1년 13호
- 크고 무섭게 보이려는 전략이랍니다. 하늘을 나는 거미타란툴라가 우리에게 재미있는 제안을 했어. 숨바꼭질을 하자고 말이야. 우린 거미줄부터 찾았지. 그런데 주필거미박물관을 지으신 김주필 관장님께서 거미는 어디에나 있다고 힌트를 주셨단다. 하늘을 나는 거미도 있고, 물속에 사는 거미도 ... ...
- Part 2. 심리학자, 명상에 빠지다과학동아 l2011년 12호
- 있다. 상담자 중 명상이 도움이 되겠다고 판단하면 명상프로그램에 참여할 것을 제안한다. 지금까지 다양한 연령대의 사람들이 명상을 배웠는데 그중에는 초등학생에서 대학생에 이르는 청소년들도 있었다.“요즘 아이들은 과거와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복잡한 사회심리상태에서 하루하루를 ... ...
- 심리를 과학으로 탐구하다과학동아 l2011년 12호
- 생각을 했습니다. 실험을 하면서 “학생들에게 설문조사를 하는 것은 어때?”하고 제안하니 학생들은 사람마다 색에 대한 느낌이 너무 달라서 설문지를 만들기 어려울 것 같다고 대답했습니다. 흔히 몇 가지 답이 반복될 것이라는 고정관념을 갖고 있지만 실제로 사람마다 느끼는 것은 다를 ... ...
- 과학 강연 나눔 ‘10월의 하늘’ 열려과학동아 l2011년 12호
- 및 뇌공학과 교수가 트위터에서 “소도시 학생을 위한 무료 강연 나눔을 하자”고 제안해 그 해 10월 30일 처음 열렸다. 당시 강연은 물론 기획, 홍보, 당일 현장 진행 등 모든 활동이 자발적인 참여자 130여 명에 의해 무료로 이뤄졌다. 올해도 96명의 강연자와 120여 명의 진행자, 기획자 등 약 220명의 ... ...
- 한국의 부르바키를 만나다수학동아 l2011년 12호
- 학생들이 한자리에 모였다. 수학책을직접 만들어 보자는 김용진 선생님의 제안 때문이었다. 학생들의 반응은 기대 이상으로 뜨거웠다. 그중 열정과 의지로 똘똘 뭉친 23명의 학생들로 ‘용샘과 문제아들’이 구성됐다.부르바키를 닮겠다는 원대한 꿈으로 시작한 도전, 하지만 예상치 못한 어려움의 ... ...
- 인공위성 수명 연장의 꿈과학동아 l2011년 12호
- 우주 쓰레기가 지구를 둘러싸 로켓 발사를 비롯한 우주 개발이 어려워지는 상황을 이를 제안한 과학자 도날드 케슬러의 이름을 따 ‘케슬러 신드롬’이라고 부른다.찾아가는 위성 정비 서비스다 쓴 인공위성 문제가 커지자 해결책이 있어야 한다는 목소리도 높아지고 있다. 미국 항공우주국(NASA)은 ... ...
- 바이오안전성·산업 논술대회 수상자 발표과학동아 l2011년 12호
- 고등부 대상을 받은 김윤정 학생은 ‘나고야 의정서, 위기를 도약의 발판으로 삼기 위한 제안’을 작성해 대상을 받았다. 심사위원 권치순 서울교대 교수는 “과학 논술에서는 문제인식과 주장을 뒷받침할 수 있는 합리적 근거, 논리적 전개가 가장 중요하다”며 “대상을 받은 김윤정 학생은 ... ...
- 1998년 윌리엄 마틴 교수의 진핵생물 기원의 수소가설 제안과학동아 l2011년 12호
- 세균의 차이에 대해서는 ‘과학동아’ 2008년 3월호 118쪽 ‘1977년 칼 우스 교수의 고세균 제안’ 참조)따라서 지구 어딘가에는 세균을 집어삼키지 않은 원시진 핵생물의 후손이 살고 있을지도 모른다. 그 뒤 정말 미토콘드리아가 없는 진핵생물이 발견되면서 캐벌리어-스미스의 가설은 더욱 그럴듯해 ... ...
이전90919293949596979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