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전문가"(으)로 총 4,348건 검색되었습니다.
- [현장취재] 올해도 신나게 지사탐 GO! 지구사랑탐사대 5기 발대식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8호
- 세레 연구원이 그 주인공이랍니다. 프랑스 파리 자연사박물관에서 시민과학과 도시생태전문가로 활동하다가, 지난해 말부터 이화여대 에코과학부 연구팀과 함께 하고 있지요. 오통스 연구원은 “지사탐과 같은 시민과학 활동은 멸종위기종의 현재 상태를 알고 생명다양성을 지키기 위해 꼭 ... ...
- [Issue] 승용차 강판이 ‘쿠킹호일’입니까?과학동아 l2017년 08호
- 대해 의심하는 분들도 있는 것 같아요. 하지만 가격 대비 성능이 세계 최고라는 게 전문가들의 의견입니다. 진짜 문제는 가격인데요. 기존 차량에 추가하려면 2000 만 원이 듭니다. 또 국내 광역버스의 80%가 AEBS를 적용할 수 없는 구형 엔진을 달고 있습니다. 충돌 실험한 차량에서 사람 목소리가 ... ...
- [Origin] 개를 위한 예술?과학동아 l2017년 08호
- 직감을 따라 가죠. 인간이 배워야 할 점입니다.”도슨 박사는 개의 행동과 인지에 대한 전문가인 미국 바너드대 심리학과 알렉산드라 호로비츠 교수의 연구를 포함해 다양한 과학적 연구결과를 읽었다고 덧붙였다. 그래서 호로비츠 교수에게도 e메일로 물었다. 개가 정말로 행복을 느끼고, 예술을 ... ...
- [Origin] ‘지질조사 어벤져스’의 한라산 비밀의 숲 탐험기과학동아 l2017년 08호
- 전문가 홍세선 책임연구원, 지리정보시스템(GIS) 전문가 이진영 책임연구원, 그리고 정책 전문가인 이옥선 선임연구원이 팀을 이뤘다. 이들은 조사 목적과 지역에 따라 팀을 다시 두 개로 나눠 백록담(분화구 경사면 조사)과 사라오름, 성널오름(퇴적층, 암석 조사)을 조사했다.웃긴 비유지만, 이들을 ... ...
- [Career] “수학, 미래 암호의 수호자”과학동아 l2017년 08호
- 조합해서 만들 수 있는 숫자가 더 많기 때문에 암호를 예측하기가 훨씬 어렵다. 그래서 전문가들은 컴퓨터 알고리즘을 이용해 셀 수 없이 많은 난수(의사난수)를 만드는 방식으로 암호를 만드는 연구를 하고 있다. 이 방법은 세계에 있는 어떤 하드디스크로도 담을 수 없을 만큼 방대한 난수표로 ... ...
- [과학뉴스] ‘알쓸신잡’과 생물학적 호주제과학동아 l2017년 07호
- 월 2일 첫 방송을 시작한 ‘알쓸신잡’이 인기입니다. 각 분야의 전문가 5인이 수다를 떠는 형식의 예능 프로그램인데요. 방송에서 제 귀를 사로잡은 이야기가 있습니다. 미토콘드리아에 대한 이야기입니다. 첫 방송에서 정재승 KAIST 바이오및뇌공학과 교수는 “생물학적으로 아이의 성은 아빠가 ... ...
- [Career] 미래자동차, ‘터보 캔’으로 달린다과학동아 l2017년 07호
- 떠올렸다. 유선전화와 스마트폰 통신 시스템 전문가였던 그는, 벤처기업 경영진이자 통신전문가인 선배 강수원 박사의 제안으로 자동차 통신 분야에 2014년 처음 발을 들였다.‘자동차에 웬 통신? 미래에나 가능한 기술 아닌가’라며 의아해 할 수도 있겠지만, 자동차는 더 이상 엔진의 힘만으로 ... ...
- Part 1. 산업수학 창시자 존 오켄돈 인터뷰, 산업수학이 할 일은 무궁무진수학동아 l2017년 07호
- 조를 이뤄 문제를 풉니다.어떤 문제는 해결하는 데 시간이 많이 걸리기도 하고 다른 전문가가 필요하기도 합니다. 그런 경우 프로그램이 끝나도 기업가와 수학자가 연락을 계속해서 주고받으며 문제 해결을 위해 노력합니다. 영국에서 시작된 모임이 현재 유럽 전역은 물론 북미와 호주, 일본에서도 ... ...
- [Origin] 그날 에드워드 뭉크는 무엇을 봤을까과학동아 l2017년 07호
- 극단적인 날씨가 먼 곳의 노출된 지형에 있는 사회기반시설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한 전문가이다. 노르웨이 기상연구소와 노르웨이 전력 그리드 회사(Statnett)에서 근무했으며, 국제 프로젝트에 대한 폭넓은 경험이 있다.+ 더 읽을거리Svein M. Fikke et al., ‘Screaming Clouds’(doi:10.1002/wea.2786) ...
- Part 1. 백신을 못 믿는 사람들과학동아 l2017년 07호
- 위험에 얼마나 많은 사람이 노출되는지 등을 고려한다”고 설명했다.백신이 안전하다는 전문가들의 입장과 대중의 불신 사이의 차이도 이를 통해 설명할 수 있다. 슬로빅 교수는 “백신을 맞으면 질병에 걸릴 위험이 낮아져서 백신의 혜택을 알 수 없다. 심지어 백신을 맞지 않아도 바로 질병에 ... ...
이전90919293949596979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