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실수
실책
과실
틀림
과오
착오
오류
d라이브러리
"
잘못
"(으)로 총 2,349건 검색되었습니다.
새처럼 노래하는 쥐, 있다? 없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02호
연구팀은 ‘진화 쥐 프로젝트’ 실험의 하나로, 일부러 쥐가 유전정보 물질인 DNA를
잘못
복제하도록 해서 돌연변이 쥐를 만들었어요. 그런 다음 돌연변이 쥐끼리 교배시켜 어떤 특성을 가진 자식 쥐가 태어나는지 관찰했지요. 새 소리를 내는 쥐는 돌연변이 가운데 우연히 발견된 것으로, 새 소리를 ... ...
Part1. 초고체_원자 따로 노는 '구름' 결정
과학동아
l
2011년 01호
있는 KAIST 물리학과 김은성 교수(39세)는 연구실을 찾은 기자가 “초고체라는 이름이
잘못
붙여진 것 같다”고 말하자 사실 좀 문제가 있다고 대답했다. ‘초유체(superfluid)’와 ‘고체(solid)’를 합친 조어인데 가운데 유체(fluid)가 빠지다 보니 ‘초’가 ‘고체’를 꾸민 꼴이 돼 버렸기 때문이다 ... ...
FLL 로봇대회 열린다
과학동아
l
2011년 01호
않았다. 하지만 FLL대회를 경험한 후 문제가 있을 때마다 바로 모의법정을 열어 서로의 잘
잘못
을 따져 대화로 해결하려 노력했다.FLL대회를 준비하는 데는 적지 않은 시간과 노력이 든다. 많은 학부모들은 이 점이 공부에 방해가 되는 건 아닐지 염려했다. 이 원장은 “수동적인 아이들이 적극적으로 ... ...
[비소 박테리아 발견 외계생명체의 증거인가, 쇼인가] Part 1. 무엇이 비소 박테리아를 유명하게 만들었나
과학동아
l
2011년 01호
만든다. 몸이 비소를 인으로 착각해 받아들이면 몸 안에서 불안정한 분자를 만들거나
잘못
된 화학반응을 일으키기 때문이다. 이성근 충북대 미생물학과 교수는 “이 주장이 사실이라면 지금까지 생명체의 범위를 너무 좁게 보고 있었다는 사실을 깨우쳐 준 대단한 발견”이라고 평가했다.비소의 ... ...
새총으로 비행기 날리는 바다 위의 요새
과학동아
l
2011년 01호
항공모함이나 활주로 주변에 세워 둔 다른 전투기와 충돌하기 십상이다. 각도를 조금만
잘못
맞추면 착륙제동줄에 걸리지 않으므로 다시 하늘로 날아올라야 한다.이런 조종사들을 위해 해군은 착함유도등(LSO)이라는 특별한 장치를 제공한다. 정해진 각도에서만 불빛이 보이는 ‘프레넬 렌즈’를 ... ...
Best Scientific Inventions in 2010
과학동아
l
2011년 01호
열을 가하고, 개조된 에어컨 팬이 인큐베이터 내부의 공기를 순환시킨다. 발열장치가
잘못
되는 경우 문에 부착하는 차임벨과 방향지시등이 간호사에게 경고신호를 보낸다. 이 장치는 오토바이용 배터리에서 전원을 공급받을 수도 있다.2위 : 물을 사용하지 않는 세탁기세탁할 때마다 이런 문제를 ... ...
길고양이의 겨울나기
과학동아
l
2011년 01호
있다. 고양이는 외계생명체도 마녀의 동물도 아닌 존재로 그저 우리 곁에 살아갈 뿐이다.
잘못
이 있다면 하필 전 세계에서 고양이가 가장 천대받는 한국에서 태어났다는 것이다. 내가 아는 한 길고양이는 결코 위협적인 ‘떠돌이 전사’나 음습한 ‘악령의 동물’이 아니다. 불쌍하고 천대받고 ... ...
김필립 교수는 정말 억울하게 노벨상을 놓쳤나
과학동아
l
2011년 01호
교수는 어떤 의도로 이 편지를 썼을까. 우선 그의 주장대로 ‘과학적 배경’에 실린
잘못
된 내용이 그래핀 학계에 미칠 부정적인 영향을 우려해서일 수 있다. 실제로 그의 편지는 ‘과학적 배경’의 오류를 다섯 가지로 정리한 뒤 이를 반박하는 형식으로 이뤄져 있다(박스 기사 참조). 하지만 국내 ... ...
무한도전 극한에서 살아남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22호
많아진답니다. 게다가 메탄가스는 작은 불꽃만 있어도 폭발하는 위험 물질이기 때문에
잘못
하다가는 광산이 폭발할 수도 있어요!보이지 않는 적, 자외선을 막아라!태양에서 오는 자외선은 히말라야와 극지방에서 우리 몸을 위협할 수 있는 위험 요소예요. 자외선은 지표면에 도착하기 전에 ... ...
재미있는 과학 재미있는 노벨상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21호
가 과학에 대한 관심을 불러일으키기 위해 1991년에 노벨상을 본떠 만든 상이래.흠…,
잘못
찾아왔군. 하지만 기왕 여기까지 왔으니, 올해는 어떤 과학자들이 어떤 웃기는 연구로 이그노벨상을 받았는지 볼까? 공중 보건상노벨 아저씨도 수염 깎으세요!이그노벨 공중보건상은 미국 산업보건안전소의 ... ...
이전
90
91
92
93
94
95
96
97
9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