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흥분
충격
격려
고무
유인
충동
선동
d라이브러리
"
자극
"(으)로 총 2,459건 검색되었습니다.
당신이 감각에 속고 있다면?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바꿔(06) 인공 와우로 전달한다(07). 인공 와우의 전극이 전기신호를 받아 청신경을
자극
해(08) 소리를 듣게 된다. - 과학동아 2005년 11월호 ‘잃어버린 나를 다시 찾는다’ 중 감각수용체의 모방감각수용체의 작동 원리를 모방한 기계들이 만들어지고 있다. 영상촬영 장비의 작동 과정은 다음과 같다. ... ...
내 옆에 있는 두 얼굴의 소시오패스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어려운 수준의 흉악하고 공격적인 행동을 해야 흥분과 쾌감을 느낀다. 결국 갈수록
자극
적인 행동을 표정 하나 변하지 않고 저지른다. 또 그런 행동에 대해 죄책감을 느끼거나 앞으로 악한 행동을 자제해야겠다는 판단도 하지 않는다.소시오패스는 뇌가 활동하는 성향이 사이코패스와 비슷하지만 ... ...
과학으로 읽는 ‘정의란 무엇인가’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걸까.미국 매세추세츠공대(MIT)의 인지신경과학자인 레베카 색스 교수팀은 경두개자기
자극
법을 써서 뇌의 오른쪽 측두정엽(RTPJ)의 기능을 일시적으로 마비시키면 피험자들이 타인의 의도를 그다지 중요하게 생각하지 않게 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예를 들어 매수당해 친구의 커피에 독약을 타 ... ...
규칙 찾기의 달인, 함수
수학동아
l
2010년 10호
나타내 보았더니 2012년 이후의 그래프가 없다는 것입니다. 이러한 배경은 우리의 상상을
자극
해 영화 ‘2012’와 같은 이야기를 만날 수 있게 했습니다. 2009년에 감독 롤랜드 에머리히가 이를 배경으로 영화를 만든 것입니다. 이 영화에서는 양자역학을 기초로 태양폭발이 일어나며 중성자 반응으로 ... ...
한국인이 앓기 쉬운 5가지 마음병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않았다가 현재 비슷한 일을 겪어 떠오르거나, 나쁜 기억이 반복적으로 떠오르면서
자극
적으로 발달한다.전문가들은 트라우마의 생리적 원인으로 “뇌에서 도파민과 노르아드레날린 이 비정상적으로 활성화돼 혈압과 심장박동수가 증가된 상태로 지속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그래서 작은 ... ...
'사랑의 매'가 효과 없는 이유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남용되기 쉽고, 처벌을 받는 사람이 모방할 수 있다. 특히 처벌 중에서도 가장 강한 혐오
자극
인 체벌은 잘못된 행동을 일시적으로 억제할 뿐 바람직한 행동이나 태도를 이끌어 내지 못한다. 장근영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연구위원은 “체벌은 공포를 이용해 학생을 통제하는 것”이라며 “이런 ... ...
초파리의 짝짓기에서 인간의 뇌를 보다 - 분자신경행동학 연구실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왜 하필 짝짓기 행동을 연구하는 걸까. 김 교수는 “뇌 회로를 정확히 그리려면
자극
에 대해 일정한 반응을 보여주는 행동이 필요한데 암컷 초파리의 짝짓기 행동이 딱 들어맞는다”며 “초상화를 그릴 때 움직이지 않는 모델을 보는 것과 비슷하다”고 말했다. 수컷은 종종 다른 수컷을 ... ...
사람이 영리한 이유는 머리와 몸이 따로 놀기 때문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능력이 발달하면서 신경계와 뇌가 발달했다”고 설명했다.그는 또 “어류는 외부에서
자극
이 왔을 때 가슴지느러미가 무의식적으로 반응하도록 조절하는 기관이 뇌지만, 목이 생기면서 그 역할이 척수로 이동했다”고 말했다. 목이 진화하면서 뇌뿐 아니라 척수도 진화했다는 것이다. 이 연구 ... ...
내 마음 알아채는 빛 반도체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사람의 감성을
자극
하는, 일명 스마트조명이 대세가 될 겁니다. 예를 들어 스마트폰을 머리 옆에 대면 심박이나 체온을 재거나 뇌파를 읽은 뒤, 조명에 정보를 보내는 거죠. 결국 조명은 사람의 기분에 따라 빛의 색깔과 조도를 바꿀 겁니다. 우울할 땐 밝고 따뜻한 색을, 화가 났을 때는 차분한 빛을 ... ...
감쪽같은 소금 흉내로 뇌 속인다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식품에서 매운 맛은 단연 중요하다. 그런데 매운 맛은 기본 맛으로 분류되지 않고 있다.
자극
으로 인해 톡 쏘는 느낌은 세포에게 통증으로 인지되기 때문이다. 이런 통증 속에 다른 미묘한 맛이 조화를 이뤄 매운 맛이 완성된다고 생각한다. 그래서 5월부터 통각에 대한 식품성분의 연구를 시작했다. ... ...
이전
90
91
92
93
94
95
96
97
9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