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실험실
사무실
서재
lab
연구소
사무소
영업소
d라이브러리
"
연구실
"(으)로 총 2,011건 검색되었습니다.
나의 NASA 입성기
과학동아
l
2012년 09호
연구팀이 졸린 오후에 가끔 떼로 몰려가서 티타임 할 곳이 필요하다고 하면 자신의
연구실
을 내어 줄 정도로 맘씨 좋은 분이시다. 연구소 내엔 150여 마리의 사슴이 상주하고 있었다.저녁에 창밖으로 인기척이 있어 내다보면 창을 통해 “뭐하니 멍청아”하면서 나를 지긋이 보던 사슴의 모습이 ... ...
정밀공학
과학동아
l
2012년 09호
때문에 각자의 창의성을 최대한 살리는 방향으로 연구가 진행된다. 서울대 정밀공학
연구실
에서는 이를 위해 실험 방법 뿐만 아니라 가공하는 기계까지도 연구자 본인이 직접 설계하고 만들어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현재 주요 연구 분야로는 ECM, EDM, 아노다이징, 레이저를 이용한 가공과 ... ...
엔지니어의 이유 있는 자부심
과학동아
l
2012년 08호
것이다. 대학 졸업과 동시에 한 치의 망설임도 없이 서울대 재료공학부 유상임 교수님
연구실
에 지원해 눈물겨운(?) 대학원 생활을 시작했다. 박사과정 졸업 직전인 요즘 지금껏 진행된 많은 연구내용을 정리하면서 지나간 대학원 생활을 하나씩 돌이켜 보는 시간을 보내고 있다.아침 9시부터 밤 10시 ... ...
수원청개구리와 술래잡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8호
꼭꼭 숨어라~! 발가락 보일라~.”안녕? 난 수원청개구리라고 해. 나랑 술래잡기하지 않을래? 가위, 바위, 보! 내가 이겼다. 지금부터 네가 술래야. 어서 날 찾아봐~!먼저 내가 어떻게 생겼는지 보여 줄게. 멸종위기 야생동·식물 1급크기 2.5~4㎝.노래주머니 수컷은 노래주머니가 있고, 대부분 노래주머 ... ...
우산 장수 '오날도 비오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7호
그럼 지금 온도는 절대온도로 몇 K일까요? 내가 만들어 낸 거 맞아?”문제 3캘빈의
연구실
에 온도계가 하나 있다. 지금 온도가 섭씨 23도라고 하면 캘빈온도는 어떻게 될까? 신입 기상캐스터 썰렁홈즈“와우~! 드디어 문제를 모두 풀었다!”비오라는 모든 게 제자리로 돌아와서 뛸 듯이 기뻤다 ... ...
융합이 나의 연구경쟁력
과학동아
l
2012년 07호
진학을 고민하고 있었다. 그 무렵 전산과학과(현 컴퓨터공학과)에서 의료 영상 처리 분야
연구실
을 지도했던 신영길 교수님께 대학원 진학 상담을 받고 교수님의 확고한 비전에 매료돼 의료 영상 처리 분야에 관심을 갖게 됐다.의료 영상 처리 분야는 대표적인 융합 연구 분야로 컴퓨터와 관련된 ... ...
몸속 구석구석 3D로 본다
과학동아
l
2012년 07호
보세요.”신 교수는 대학생이나 대학원생들과 참 격의없이 잘 지낸다. 어떤 학생을
연구실
에 받고 싶냐고 물었더니 “당연히 똑똑하고 성실한 학생”이라며 웃었다. “대학원생을 뽑을 때 스펙은 많이 보지 않아요. 학점이 좀 낮아도 열정이 있는 학생이 더 큰 일을 하거든요. 모범생처럼 남들 다 ... ...
최종 병기 애니멀
과학동아
l
2012년 07호
가능하다. 카이스트 CM&SS(컴퓨터기계구조시스템, Computational Mechanics & Structural System)
연구실
의 이필승 교수팀은 토목환경공학과 명현 교수 등과 함께 최근 흥미진진한 실험에 성공했다. 거북이가 사람이 그린 길을 따라가며 정확하게 목표지점에 도달하게 만든 것이다. 실험 동영상은 인터넷에서 한때 ... ...
통신 오류 잡는 수학 ‘마술사’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과동 씨는 아침에 일어나 스마트폰으로 밤새 들어온 e메일을 확인한다. 거래 회사가 보내온 파일은 USB 메모리에 담는다. 회사에 출근하기 위해 밖으로 나온 ... 아니라 학문적인 성취감이 큰 분야다.[스마트폰 앱을 이용해 노종선 교수의 부호 및 암호
연구실
연구원의 이야기를 들어보자. ... ...
Part 2. 생각하는 로봇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일반적인 작동 알고리듬을 알아내고, 그것을 통해 기계를 학습시키려는 것이다. 필자의
연구실
에서도 뇌세포라는 기계에서 지성이 만들어지는 작동 알고리듬을 알아내고자 한다.[사람은 체스판의 현황을 보고 판세와 다음에 어떤 수를 둬야 할지 직관적으로 판단하는 면이 강하다. 그러나 ... ...
이전
90
91
92
93
94
95
96
97
9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