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임무
구실
노릇
직무
직분
역활
기능
d라이브러리
"
역할
"(으)로 총 7,338건 검색되었습니다.
단백질 백신_B형 간염 백신 Hepatitis B vaccine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통해 병원성을 회복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반면 단백질은 그 자체로 항원의
역할
을 하면서도 다른 숙주로 감염되거나 증식하지 않는다. 유일한 예외는 광우병의 원인으로 지목되는 프리온(prion) 단백질뿐이다. 다만 면역반응 유도율은 단백질 백신이 세포전체 백신에 비해 조금 떨어진다. ... ...
만능 인플루엔자 백신 Universal flu vaccine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2(SARS-CoV-2)가 사람 세포에 결합해 유전체를 삽입하는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
을 하는 스파이크 단백질을 항원으로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스파이크 단백질은 돌연변이가 자주 일어나는 대표적인 부위로, 사스코로나바이러스-2도 박쥐 세포에 결합하는 스파이크 단백질이 돌연변이를 일으키며 ... ...
대한민국 청소년, 우리는 잠이 필요해!
수학동아
l
2020년 07호
청소년 초파리야. 최신 연구에서 창의적인 두뇌활동과 수면과의 관계를 입증하는데 큰
역할
을 했지. 그런데 너희 인간 청소년들은 잠을 제대로 못 자고 있다지? 그것 참 문제로군. 잠이 얼마나 중요한데! 이 몸이 직접 설명해주지. 그 전에 불 좀 꺼줘. 새로운 문제를 풀려면 지금 잠을 좀 자야한단 ... ...
2002년 사스코로나바이러스┃ 만만했던 코로나바이러스 위력 처음 실감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역할
을 한다. 코로나바이러스의 스파이크 단백질이 열쇠라면 숙주세포의 ACE2가 자물쇠
역할
을 해 스파이크 단백질이 ACE2를 연 뒤 서로 단단하게 결합하면서 숙주세포 내부로 코로나바이러스를 통과시킨다. 코로나바이러스 외피에 있는 스파이크 단백질이 숙주세포 침입에는 핵심 도구인 셈이다. ... ...
STEP ① 숙주세포 탐색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폭풍(cytokine storm)이 일어나지도 않는다. 생물의 면역반응은 바이러스의 감염을 막아내는
역할
을 하지만, 면역 신호 물질인 사이토카인이 과다하게 분비되면 정상세포까지 공격하는 사이토카인 폭풍이 일어나 스스로 위험해질 수 있다. 현재까지 박쥐의 몸속에는 최대 200종의 바이러스가 사는 ... ...
STEP ⑤ 바이러스 전파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바이러스는 사람 간 직접적인 접촉 없이도 감염된다. 이집트숲모기가 전파의 매개체
역할
을 하기 때문이다. 이집트숲모기는 지카 바이러스의 직접적인 숙주는 아니지만, 모기가 지카 바이러스에 감염된 사람의 피를 마신 뒤 다른 사람을 물면 이 과정에서 바이러스가 전파될 수 있다.바이러스의 ... ...
대식세포...바이러스 전쟁의 지휘관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뿐만 아니라 림프구에게 도와달라는 신호를 전달하는 등 후천 면역반응을 유도하는
역할
도 담당한다. 호중구나 호산구 등 다른 식세포가 침입자에 저항하는 최전선의 보병이라면, 대식세포는 전시 상황을 살펴 싸움이 불리한 곳에 뛰어들거나 추가 지원군을 요청하는 판단을 내릴 수 있는 ... ...
T림프구...바이러스 자살 유도하는 똑똑한 전사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글자를 땄다. T림프구는 혈액 내 전체 림프구의 약 75%를 차지해 면역시스템에서 중요한
역할
을 한다.평소 T림프구는 비활성 상태로 2차 림프 기관에 저장돼 있다. 그러다가 항원이 체내에 침입해 대식세포로부터 신호를 받으면 가까운 지역의 T림프구가 활성화되고 항원 침투 부위로 출동한다. 또 ... ...
1980년 면역거부반응의 이유를 찾다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이를 주조직 적합성 복합체(MHC)라 한다. HLA 유전자는 MHC 단백질을 암호화하는
역할
을 한다. 한편 바루 베나세라프는 기니피그의 MHC를 발견했다. 스넬과 마찬가지로 유전적으로 비슷한 기니피그를 여러 계통으로 만들고, 합성된 항원을 기니피그에 주입하며 도움 T림프구의 반응을 관찰했다. 도움 ... ...
2011년 선천 면역과 후천 면역의 시작을 알아내다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수지상세포가 포식 작용과 같은 선천 면역반응을 하는 동시에 후천 면역반응을 개시하는
역할
을 담당한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수지상세포는 포식 작용을 하는 중 항원의 일부를 떼어다가 그 특징을 간직한 단백질(후에 ‘주조직 적합성 복합체(MHC)’라 명명됐다)을 자신의 막 표면에 발현시키는 ... ...
이전
90
91
92
93
94
95
96
97
9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