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방위
향기
경향
방면
냄새
방침
진로
d라이브러리
"
방향
"(으)로 총 6,206건 검색되었습니다.
[섭섭박사의 메이커 스쿨] 내 맘대로 플레이 스틱, 스틱 폭탄 만들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11호
제자리로 되돌아가려는 힘이기 때문에 물체를 변형시키기 위해 내가 가한 힘과 반대
방향
으로 생겨요. 이렇게 물체가 변형된 양이 힘의 크기에 비례한다는 법칙을 ‘훅의 법칙’이라 부른답니다. 미션2. 탄성은 무한할까? 외부의 힘을 받아 변형된 물체에 일정 크기 이상의 큰 힘을 주면 원래 ... ...
50년 만에 첨단 CG로 부활한 거대 타조공룡 데이노케이루스
과학동아
l
2019년 11호
이뤄진다. 수백 개에 이르는 데이노케이루스 골격 대부분도 전후, 좌우, 상하 여섯
방향
에서 촬영하고 측정해 제작한 도면이 있었다. 이를 이용하면 컴퓨터그래픽(CG) 기술로 골격의 3차원(3D) 모델을 만들어 낼 수 있을 터였다. 진짜 데이노케이루스의 모습 그대로 말이다. 2018년 말부터 복원을 ... ...
돼지가 인간 췌장 가진 쥐 출산? 불붙은 키메라 배아 연구
과학동아
l
2019년 11호
조만간 인간의 췌장을 가진 쥐가 돼지의 뱃속에서 태어날지도 모르겠다. 7월 26일 국제학술지 ‘네이처’는 나카우치 히로미쓰 일본 도쿄대 교수팀이 사람 ... 의료 발전을 위해서는 임상은 허가하되 임상에서 나타나는 위험 요소를 엄격히 규제하는
방향
으로 전환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 ...
[과학뉴스] 초소형 벌새 로봇 개발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11호
수도 있지요. 벌새 로봇은 카메라가 없어 물체를 볼 순 없지만 물체표면에 살짝만 닿아도
방향
을 잽싸게 바꿔요. 또 무게는 12g로 작고 가벼우며, 제 무게의 2배가 넘는 27g까지 들어올릴 수 있어요. 신얀 덩 교수는 “그동안 가벼운 로봇은 공기가 물체를 위로 들어올리는 힘인 양력을 충분히 받지 못해 ... ...
세포 서바이벌 결정하는 산소농도
과학동아
l
2019년 11호
있었다. 산소 결핍 조절 유전자 통제해 암 발생 조절 이에 대한 해답은 전혀 다른
방향
에서 나왔다. 이를 주도한 윌리엄 케일린 미국 하버드대 의대 교수는 유전질환 중 하나인 폰히펠-린다우 증후군(VHL)을 연구하는 의학자였다. 이 질환은 VHL 유전자에 돌연변이가 생기면서 VHL 단백질의 기능이 ... ...
웹툰 그리는 서울대 공학박사 ‘닥터앤닥터 육아일기’ 닥터베르
과학동아
l
2019년 11호
전문의로서 의학적인 내용을 자문한다. 웹툰의 주인공으로 등장하는 만큼 에피소드의
방향
도 조언한다. 이 작가는 “특히 의학적인 내용을 비유적으로 설명할 때 많은 도움을 받는다”고 말했다.또한 이 작가는 과학이나 의학 관련 내용을 다룰 때면 참고한 논문을 반드시 주석으로 달아 정보의 ... ...
Google 진실을 말해줘~ 1만 년 걸릴 연산 200초 만에 한 거 실화임?
과학동아
l
2019년 11호
질소 원자와 전자의 에너지를 변화시켜 큐비트를 구현하는 겁니다. MS는 구글이나 IBM과
방향
이 조금 다른데요. 위상학적인 방식으로 큐비트를 구현하는 기술도 개발 중이지만, 소프트웨어 연구도 병행하고 있습니다. 양자컴퓨터가 상용화되면 윈도 같은 양자컴퓨터용 운영체제가 필요할 테니까요. ... ...
40년 유인 우주 비행 역사의 산증인 두미트루 도린 프루나리우
과학동아
l
2019년 11호
2008년 필자가 ISS에 갔을 당시엔 ‘큐폴라’라는 거대한 창이 없었다. 또 지상과 쌍
방향
통신이 안 돼서 ISS에서는 지상의 영상을 볼 수 없었다. e메일만 겨우 보낼 뿐 인터넷을 실시간으로 사용하는 것은 꿈도 꿀 수 없었다. 그런데 요즘은 ISS에서 페이스북이나 트위터 같은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에 ... ...
[지구사랑탐사대] 쉿! 조용히 귀 기울여 보세요♬ 소리모아 탐사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11호
이게 바로 소리의 장점이랍니다. 눈으로는 앞에 있는 것들만 볼 수 있지만, 귀로는 모든
방향
에서 나는 소리를 들을 수 있죠. 소리는 빛에 비해서 장애물을 돌아나가는 ‘회절’이 잘 일어나기 때문이에요. 덕분에 새들은 나무가 울창한 숲속에서도 쉽게 의사소통을 할 수 있지요. 뿐만 아니라 ... ...
[과학뉴스] 스스로 소리 내는 탄소나노튜브 개발
과학동아
l
2019년 11호
평소에는 전자가 무작위로 돌아다닌다. 여기에 전압을 걸어주면 척력에 의해 전자가 한
방향
으로 이동하고, 이 힘이 중첩되며 진동을 발생시킨다. 기타줄을 튕겼을 때처럼 소리가 나는 것이다. 에드워드 레어드 랭커스터대 물리학과 교수는 “무엇이 진동을 만드는지 알아냈다는 데 의의가 ... ...
이전
90
91
92
93
94
95
96
97
9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