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박사"(으)로 총 7,652건 검색되었습니다.
- 잘 찾쥐! 놀 줄 알 쥐!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2호
- 알고 있나요?2016년, 독일 베를린 훔볼트대학교 마이클 브레히트 교수와 이시야마 신페이 박사팀은 간지럼에 대한 쥐의 뇌 반응을 조사했어요. 그 결과, 쥐도 사람처럼 간지럼을 타며 촉각과 관련된 뇌 영역이 활성화된다는 사실을 확인했지요. 연구팀은 쥐에게 간질이는 척만 해도 뇌의 피질 부위가 ... ...
- 암흑물질의 비밀 밝힐 액시온의 기적과학동아 l2020년 02호
- 미국 노스웨스턴대에서 박사학위를 받고, 미국 페르미국립가속기연구소에서 박사후연구원을 지냈다. 미지의 암흑물질을 지속적으로 탐구하며 암흑물질의 후보인 액시온을 연구하고 있다. swyoun@ibs.re.kr 용어정리 * 표준모형 (Standard Model) : 자연계를 이루는 기본입자 12개와 이들 사이의 힘을 ... ...
- 토크콘서트 세상을 바꾸는 여성엔지니어과학동아 l2020년 02호
- 미국 샌디에이고 캘리포니아대(UC샌디에이고)로 진학해 재료과학 및 공학 분야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는 차세대배터리를 연구하고 있다. 배터리는 2019년 노벨화학상까지 수상한 ‘핫’한 연구 분야다. 그는 “많은 후배들이 배터리 회사를 가려면 어떻게 해야 할지를 묻는다”며 “하지만 ... ...
- [옥스퍼드 박사의 수학로그] 신기한 대칭의 세계수학동아 l2020년 02호
- ‘대칭’ 하면 어떤 이미지가 떠오르나요? 왼손과 오른손, 거울로 본 내 모습, 상하좌우 혹은 회전시켜도 변하지 않는 모양, 주사위 같은 균형 잡힌 물체가 생각나진 않나요? 이런 대칭적인 구조와 물체에 대한 인류의 사랑은 거의 집착에 가까울 정도인데요, 사람들은 어느 순간부터 대칭이란 가치 ... ...
- 탄생 100주년 기념 총출동! 로봇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1호
- 도움김정(한국과학기술원 기계공학과 교수), 김웅배(서울대학교 기계공학과 박사과정연구원), 박종우(서울대학교 기계공학과 교수), 오준호(한국과학기술원 기계공학과 교수), 조규진(서울대학교 기계공학과 교수), 최홍수(대구경북과학기술원 로봇공학과 교수 ... ...
- [융복합 파트너@DGIST] 뇌의 비밀 풀 열쇠, 시냅스 접착 단백질과학동아 l2020년 01호
- 때였다. 이후 2007년부터 4년간 토마스 쥐트호프 미국 스탠퍼드대 의대 교수 연구실에서 박사후연구원을 지냈는데, 쥐트호프 교수가 이 분야 최고 권위자였기 때문이다. 쥐트호프 교수는 신경세포 내에서 신경 접착 단백질 등의 분자가 다양한 물질 수송에 어떻게 관여하는지 밝혀낸 공로로 2013년 ... ...
- 인류가 좀비 바이러스에서 살아남는 법수학동아 l2020년 01호
- 될 확률을 고려해 모형을 만든다. 길들인 좀비까지 고려한 변형 SZR 모형셰필드대 수학과 박사과정 학생들은 새로운 전략인 ‘좀비 길들이기’의 경과를 알아보기 위해 칼튼대 연구팀이 개발한 SZR 모형을 변형한 수학 모형을 만들었다. 우선 집단을 생존자, 야생 좀비, 길들인 좀비, 사망자로 나누고, ... ...
- 고양이 눈을 가진 물고기의 정체는?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1호
- 과학아카데미 연구팀이 2019년에 새롭게 발견한 71개의 동식물 중 하나지요. 섀넌 베넷 박사는 “지구를 수십 년 동안 수색하고 있지만, 지구상의 자연종 90% 이상은 여전히 알려지지 않은 것으로 추정된다”며, “지구의 복잡한 생명체에 대한 이해를 높이기 위해 계속해서 종의 다양성을 ... ...
- “저는 전 세계에 친구를 둔 과학자입니다" 2019 노벨 생리의학상 수상자그레그 서멘자 인터뷰과학동아 l2020년 01호
- 고등학교 때 정말 좋은 생물 선생님을 만났습니다. 당시 그는 생물학 박사학위를 받고 박사후연구원으로 일하면서 고등학교 생물 수업을 담당하고 있었습니다. 그는 교과서 내용만 가르치지 않고 ‘발견(discovery)’에 대해 알려줬습니다. 어떤 과학자가 어떤 놀라운 발견을 했는지, 그 과학자가 이런 ... ...
- [진로체험] 박영용 씨젠생명과학연구소 책임연구원수학동아 l2020년 01호
- 지식을 가지고 연구원으로 일하고 싶다는 생각이 들어서 대학원에 진학했습니다. 그리고 박사학위를 딴 뒤에는 이론적이고 학문적인 것보다는 실제적인 연구를 하고 싶어서 기업에 취직해 연구하게 됐어요. 생명과학 분야의 기업을 생각했던 것은 아니고 우연히 제안을 받아서 일하기 시작했죠 ... ...
이전90919293949596979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