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대양
해양
망망대해
바다
원
원양
넓은 바다
d라이브러리
"
대해
"(으)로 총 8,188건 검색되었습니다.
[나는 과학동아 키즈]플라스틱 먹는 박테리아 찾아 스타트업(start-up)!
과학동아
l
2020년 11호
과학을 주제로 이야기를 하는 것이 정말 즐거웠다. 캠프에서 내가 알지 못했던 분야에
대해
알게 되기도 했고 새로운 관심사가 생기기도 했다.한 번은 과학동아를 통해 천문 캠프에 참가했다. 이때 한국 우주인 배출 사업에서 우주인 후보 최종 30인 안에 들었던 조성욱 중앙대 기계공학과 교수님이 ... ...
[Dr. 소의 과학 영상 읽어줌] 착시로 가득한 환상의 뮤직비디오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11호
때 조회수 : 26만 회채널명 : Amazing Timelapse (구독자 수 : 1600명) ‘아세톤’이라는 물질에
대해
들어본 적 있나요? 보통 매니큐어를 지울 때 아세톤을 사용하죠. 그런데 아세톤은 생각보다 위험한 물질이랍니다. 매니큐어뿐만 아니라 피부의 지방도 녹이지요. 그래서 일상생활에서 쓰는 아세톤은 ... ...
[특집] 종이작품이라고 다 종이접기가 아니다!
수학동아
l
2020년 11호
줄 알았는데, 그게 아니래. 종이접기에도 깐깐한 기준이 있다더라고? 먼저 종이접기에
대해
얼마나 아는지 같이 한번 알아볼까? 종이접기의 쓰임이 점점 다양해지면서 엄격한 기준을 내세우기는 어렵게 됐습니다. 하지만 실제로 이 기준을 모두 만족하는 종이접기! 즉 ‘정사각형 종이를 단 한 ... ...
[특집] 미션 성공! 에프매스의 영롱한 자태 공개♥
수학동아
l
2020년 11호
창작 종이접기를 할 수 있게 됐지 뭐야~. 친구들도 내 여정을 따라오면서 종이접기에
대해
많이 배웠겠지? 그렇다면 내가 에프매스를 만든 것처럼 만들고 싶은 대상을 종이접기로 만들 수 있을 거야! 얼른 색종이 하나를 가져와 접어보면서 나와 함께 했던 여정을 기억해줘~! Bonus왜 종이접기가 ... ...
[과학동아 프렌즈] 로봇 만들고 책 읽으며 과학고 합격
과학동아
l
2020년 11호
입지 않아도 돼서, 탐구대회를 통해 학생이 직접 연구를 진행하며 좋아하는 과학에
대해
더 깊게 배울 수 있어서”라고 이유를 설명했다.그는 눈코 뜰 새 없이 바쁜 고등학교 생활에도 과학동아는 꼭 챙겨본다고 덧붙였다. 과학동아 10월호에선 영화 ‘테넷’을 엔트로피 개념으로 설명한 기사에 ... ...
[에디터노트] 노벨상과 질문
과학동아
l
2020년 11호
수 있을까?’ 생각한 그는 자신의 피를 뽑아 산소를 운반하는 단백질 ‘헤모글로빈’에
대해
공부하기 시작했습니다. 대학 전공까지 화학으로 바꿔가면서요.갑자기 웬 운동선수 얘긴가 궁금하실 수 있는데, 생체 내부의 단백질 구조를 질량분석법과 핵자기공명 분광법으로 밝혀 2002년 노벨화학상을 ... ...
[2020 노벨상] 화학상│ 박테리아는 어떻게 침입자의 DNA를 자를까
과학동아
l
2020년 11호
2020년 노벨화학상은 박테리아(세균)의 면역시스템인 ‘크리스퍼’로 유전자 편집 기술을 고안한 제니퍼 다우드나(56) 미국 버클리 캘리포니아대(UC버클리) 분자세포생 ... 머지않았음을 예고하고 있다. 당장 지금부터 유전자 가위가 우리 사회에 미칠 영향에
대해
논의해야 하는 이유다 ... ...
[어과동 PICK] 예술이 된 우주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11호
달 착륙을 통해 그린 달 지도와 달 표면에서 얻은 정보, 그리고 수십 년간 달의 지형에
대해
쌓아온 정보를 모았어요. 북극과 남극 지형의 높낮이는 NASA의 달 궤도선 레이저 고도계로, 달의 적도 지역의 높낮이는 일본 항공우주개발기구의 달 궤도선 ‘셀레네’가 측정한 정보를 종합했지요 ... ...
[한장의 과학] 겨울나기 위해 새끼를 먹는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11호
과학자들은 새끼들이 성체에 비해 겨울을 나기 어려운데도 늦여름에 새끼를 낳는 이유에
대해
궁금해 했어요. 연구팀은 이런 수수께끼를 풀기 위해 지난 2008년 8월부터 3개월 동안 유럽의 발트해 지역에서 빗해파리를 수집해 관찰했어요. 그 결과 서식지역에 먹이인 플랑크톤이 줄어도, 빗해파리 ... ...
[2020 노벨상] 물리학상│보이지 않는 블랙홀이 생길 수 있을까?
과학동아
l
2020년 11호
위해서는 여전히 상대론과 양자론의 협력이 필요하고 비밀스런 블랙홀의 물리현상에
대해
과학자들이 이제 막 그 실체를 보기 시작했다. ※필자소개우종학. 미국 예일대에서 박사학위를 받았고 산타바바라 캘리포니아대(UC산타바바라)와 로스앤젤레스 캘리포니아대(UCLA) 등에서 연구원을 지냈다. ... ...
이전
90
91
92
93
94
95
96
97
9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