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길"(으)로 총 5,256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뉴스] 눈병 고치는 초소형 로봇 개발과학동아 l2018년 12호
- 연구팀이 제작한 로봇인 ‘나노프로펠러’는 지름 120nm(나노미터·1nm는 10억분의 1m), 길이 400nm의 초소형 로봇이다. 나선형 꼬리를 지닌 올챙이처럼 생겼는데, 약물을 넣을 수 있는 니켈 금속 캡슐에 프로펠러처럼 돌아가는 나선형 꼬리를 붙여 만들었다. 주사를 통해 안구의 유리체 내에 이 로봇을 ... ...
- Part 2.깃털의 원조는 공룡과학동아 l2018년 12호
- 끝의 깃털이 가장 길다. 안키오르니스의 경우 날개 끝이 아닌 앞발목 부위의 깃털이 가장 길다. 어정쩡한 모양이다. 그래서 학자들은 안키오르니스가 비행이 아닌 활공만 했을 것으로 추정한다. 진정한 비행은 언제부터 시작됐을까. 깃털과 마찬가지로 비행 능력 또한 새가 아닌 작은 공룡일 때부터 ... ...
- [언니오빠 논문연구소] 조용한 침략자, 과불화화합물과학동아 l2018년 12호
- 올해 6월, 대구 지역 수돗물에서 과불화헥산술폰산(PFHxS), 과불화옥탄산(PFOA) 등 과불화화합물이 높은 농도로 검출돼 파장이 일었습니다(과학동아 8월호 ‘대구 덮친 과불화화 ... 필요가 있습니다. 올해 대구 과불화화합물 수돗물 사건도 이런 식의 해결 방법이 모색되길 기대해 봅니다 ... ...
- 케네스 리벳 미국수학회 회장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 증명의 숨은 공신수학동아 l2018년 11호
- 금융은 물론 인공지능(AI) 등 다양한 기술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는 만큼 수학자들의 길은 더욱 넓어질 전망이다. 리벳 교수는 “미국의 경우 10~15년 뒤에는 수학 박사들의 대다수가 대학이 아닌 산업계와 정부 기관 등으로 진출할 것으로 전망된다”며, “가령 생물학을 전공한 사람이 수학을 ... ...
- 물리학상 - 고출력 레이저 시대를 열다과학동아 l2018년 11호
- 입어서 빠져나오지 못했던 것이다. 무루 교수팀은 이후 수차례 실험 끝에 광섬유 길이를 1.4km로 줄이는 방법으로 이 문제를 해결했다. CPA를 실험적으로 구현하는 데 성공했을 뿐만 아니라, 스트리클런드 연구원의 생애 첫 논문이 빛을 보게 됐다. 최근에는 페타와트급 초강력 레이저 개발CPA는 ... ...
- [화보]양자역학과 예술의 만남, 나노 조각과학동아 l2018년 11호
- 일이 가능해지는 시대에 산다”며 “우리는 창조의 ‘반신(demi-god)’이 될 수 있는 길에 서있다”고 말했다. ‘나노 조각’ 어떻게 만들까작가 존티 허위츠는 남아프리카공화국 비트바테르스란트대에서 전기공학을 공부하고 케이프타운대에서 레이더 패턴 인식을 공부한 ‘공돌이’ 출신 ... ...
- 도축은 이제 그만! 오늘 점심은 인공고기 햄버거?과학동아 l2018년 11호
- 이렇게 얻은 근육줄기세포는 배지 위에서 계속 분열하는 동시에 자기들끼리 뭉쳐서 길이 0.3mm의 관 모양으로 자란다. 이를 ‘근관세포(myotube)’라고 한다. 연구팀은 0.3mm에 불과한 근관세포들을 여러 개 모아 더 큰 근육조직으로 만들기 위해 다시 배양했다. 하지만 수축을 통해 성장하는 ... ...
- [서울대 공대 | 재학생 인터뷰] 다양성이 모여 다채롭게 빛나는 산업공학과과학동아 l2018년 11호
- 그는 책상에 오래 앉아 있는 대신에 쉬는 시간과 등하교 시간 등을 이용해 공부했다. 길을 걸으면서 영어 지문을 외웠고, 그날 배웠던 내용들을 떠올리며 잘 알고 있으면 집에 가서 푹 자고, 그렇지 않으면 더공부했다. 구 씨는 “아주 짧은 시간이라도 알차게 쓰려고 노력했다”고 말했다. 입시 ... ...
- Intro. 쪼롱이의 도시 생존기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0호
- 안녕하세요? 저는 ‘쪼롱이’라고 해요. 얼마 전 도시로 이사간 친구가 초대장을 보내서 생애 처음으로 산에서 나와 도시에 다녀왔죠. 그런데…, 정말 죽을 뻔 했어요! 집 나오면 고생이라더니, 정말 그런가 봐요. 제가 도시에서 어떤 일을 겪었는지 한번 들어 보실래요? ▼관련기사를 계속 보 ... ...
- Part 2. 휘황 찬란한 빛의 위협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0호
- 비행하는 것이 중요해요. 그런데 새가 불빛에 이끌려 도시로 가는 바람에 이동 경로가 길어지면 에너지를 낭비해 위험에 처할 가능성이 커진답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쪼롱이의 도시 생존기Part 1. 하늘을 담은 유리의 위협Part 2. 휘황 찬란한 빛의 위협Part 3. 하늘을 가르는 ... ...
이전90919293949596979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