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기억"(으)로 총 3,721건 검색되었습니다.
- [Issue] 최면, 어디까지 과학일까과학동아 l2017년 06호
- 건강한 참가자를 모집한 뒤, 최면 감수성이 높은 57명을 추렸다. 이들이 쉬고 있을 때, 기억을 회상할 때, 최면에 빠졌을 때 등 총 세 가지 조건에서 뇌의 변화를 관찰했다.그 결과 최면에 빠졌을 때에는 걱정에 관계하는 배측전방대상피질(dACC)의 활성이 크게 줄었다. 또 배측면전두엽피질(dPC)과 ... ...
- [Origin] 명상은 과학이다과학동아 l2017년 06호
- 살아오면서 쌓아왔던 수많은 기억들이 영화 한 편처럼 지나간다. 이때 나를 돌아보면서 기억과 생각을 빼는 것이 ‘마음 빼기 명상’이다. 마음빼기 명상을 하면 나에 대해 점점 객관적으로 생각할 수 있게 되고, 내 생각의 틀과 인지 오류를 스스로 파악하게 된다.마음빼기 명상은 나를 깊이 돌아볼 ... ...
-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동물의 권리는 우리가 지킨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6호
- 친구들이 먼저 실천해 주세요~! 어렸을 때 서울대공원에서 동물들의 이상행동을 봤던 기억이 나요. 늑대가 8자로 빙빙 돌고, 돌고래도 한쪽으로만 헤엄치고 있었죠.이런 움직임을 ‘정형행동’이라고 해요. 정형행동은 동물이 스트레스를 받아 야생에서 하지 않는 자기 학대나 무기력한 행동을 ... ...
- 수의 시선을 담다 ‘유현미 작가’수학동아 l2017년 06호
- 소설에서 크게 감명을 받았다고 한다.“책의 주인공인 수학자는 사고로 인해 80분밖에 기억을 유지하지 못하는 희귀병에 걸려요. 그럼에도 불구하고 수학 연구는 멈추지 않았죠. 이 사람의 머릿속에서 수학은 살아 움직여요. 모든 게 다 수학 기호나 수처럼 보이는 것이지요. 이런 모습이 저는 아주 ... ...
- [Future] 우주의 모든 유원지과학동아 l2017년 06호
- 남긴 기록 덕분에 임무를 완수할 수 있었지.”내가 남긴 기록? 노마는 흥분을 가라앉히고 기억을 더듬었다. 그는 고대 역사의 잠재적인 종말을 앞두고 자신이 죽는 시각과 장소를 마이크로웜홀의 링크 속에 남겨두었다. 유청은 그 기록을 좇아 고대 역사를 살리기 위해 시공을 건너왔던 것이다. ... ...
- Part 2. 수학, 음악을 만들다수학동아 l2017년 06호
- 위의 표를 이용한다. 이전에 나온 음 하나를 기억하는 방법이다.만약 두 개 이상의 음을 기억하게 하고 싶다면 음의 개수만큼 축을 더 만들어 3차원 이상의 표를 만들면 된다. 인공지능이 연주를 할 땐 이런 학습자료를 바탕으로 다음에 나올 확률이 높은 음을 연주할 것이다.창의성도 수학으로 ... ...
- [수학소설 I 멋진 신세계] 밝혀지는 음모수학동아 l2017년 05호
- 결국 네가 태어나는 것도 볼 수 없었지. 네가 태어나면 들려주겠다며 이야기를 만들던 기억도 나는구나.‘게으른 개를 뛰어넘은 재빠른 갈색 여우’라는 제목의 동화였어. 어느날 갈색 여우가 사람이 가장 많이 모이는 기차역에 갈 일이 있었어. 그래서 길을 가는 도중에 게으른 개를 마주친 거야. ... ...
- [과학뉴스] 온도에 따라 움직이는 꽃 로봇과학동아 l2017년 05호
- 연구원 팀은 ‘온도에 따라 모양이 바뀌는 직물’을 개발했다. 온도에 반응하는 형상기억합금에 피복 섬유를 감싸 지능형 와이어를 만든 다음, 일반 섬유와 함께 털실로 뜨개질을 하듯이 짜서 만들었다.지능형 와이어는 온도가 달라지는 것만으로도 움직인다. 여기에 전류를 흘려보내면 온도와 ... ...
- 오선지에 숨은 비밀수학동아 l2017년 05호
- 단독 콘서트 ‘PERSONA’’. 과연 팬들은 어떻게 암호를 푼 걸까요?지금부터 이 표를 잘 기억해 주세요. 7개의 이탈리아식 음이름 라, 시, 도, 레, 미, 파, 솔은 영어식으로 쓰면 A, B, C, D, E, F, G입니다. 영어식 계이름과 알파벳을 대응시켜 만든 것입니다.그런데 음계는 7개뿐인데, 알파벳은 26개입니다. A~G ... ...
- [Issue] 어느 물리학자의 일기장과학동아 l2017년 05호
- 사랑한 남편’ 김덕주의 삶을 그렸다.평생 자신의 이론을 연구한 뚝심과 용기“지금까지 기억하고 있는 것은, ‘나는 절대로 지지 않는다. 져서야 견딜 수 있나’던 그의 입버릇이다.” - 정승공 미국 웨스트미시간대 물리학과 교수 1934년 4월 18일 일본 오사카에서 출생1956년 일본 ... ...
이전90919293949596979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