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질서
상하
d라이브러리
"
위아래
"(으)로 총 2,668건 검색되었습니다.
학교에 가다! 2
어린이과학동아
l
201010
바로 양력이에요~! 비행기 날개는 위가 불룩한 유선형이죠? 그래야 날개의
위아래
를 흐르는 공기의 속도가 달라지거든요. 위가 빠르고 아래가 느리게 말이에요. 그 결과 아래에서 위로 떠오르게 하는 ‘양력’이라는 힘이 생겨요. 자, 이제 직접 만들고 몸으로 움직이면서 양력에 대해 배워 봐요! ... ...
신호는 도로 관리자
수학동아
l
201010
신호등이 없는 고속도로와 일반 도로를 연결하는 곳에는 입체교차로를 만든다.
위아래
두 도로로 차가 다녀야하기 때문에 교차로의 높이는 4.5m를 훌쩍 넘는다.이때 입체로 교차하는 두 도로를 연결하기 위해 경사지게 만든 부분을 램프라고 한다. 경사를 줄이기 위해 대부분의 램프는 회전 반지름이 ... ...
짜릿한 롤러코스터를 만들려면?
수학동아
l
201009
곡선이 된다. 반면 원 바깥의 한점이 그리는 트로코이드 곡선은 사이클로이드 곡선보다
위아래
움직임이 큰 모양이다. 아하! 생각이 쑥쑥! 직선보다 빠른 사이클로이드놀이터의 미끄럼틀 중에는 곡선 모양이 직선 모양보다 더 스릴이 있다. 직선은 각 점에서 순간속력이 일정하지만 곡선은 ... ...
생명의 타임캡슐 씨앗
과학동아
l
201009
아라홍련이 들려주는 씨앗 이야기무덥던 여름도 이제 끝나가는군요.안녕하세요, 여러분. 제 이름은 ‘아라홍련(阿羅紅蓮)’입니다. 무슨 뜻이냐고요?제가 지금 살고 있고 작년에 씨앗 상태로 발견된 경남 함안 일대가 예전에 가야국 연맹의 한 곳이었던 아라가야 지역이었거든요. 홍련은 꽃잎이 붉 ... ...
세상에서 가장 성스러운 강 2510km
과학동아
l
201009
인도인의 삶의 중심인 힌두교는 이 강을 따라 번성했다. 사람들은 이 강물을 마시고 목욕을 하고 음식을 만든다. 강을 따라 수많은 사원이 생겼다.갠지스강을 여행하는 일은 엄청난 모험이다. 역사적으로 많은 탐험가들이 도전했지만 누구도 강의 전부를 들여다보지 못했다. 에베레스트를 세계 최 ... ...
조선왕조 500년의 상징 광화문의 귀환
과학동아
l
201009
있다. 석재끼리 맞닿아 파손되는 것을 막기 위해 좌우로 3mm 정도의 간격을 띄운다.
위아래
로 쌓을 때는 충격 완화를 위한 철편을 끼운다. 모두 전통방식을 따른 것이다.임 명장은 “기초 틀이 되는 석재는 전통방식인 판축다짐 방식으로 고정해 최대한 원형에 가깝게 복원했다”고 밝혔다. ... ...
빅뱅의 비밀
수학동아
l
201009
Prologue_ 1933년 소련의 가모프 박사는 망원경으로 밤하늘을 관측하다가 이상한 빛줄기를 발견했습니다. 빛줄기를 해독하자 거기에는 빅뱅의 비밀과 지구인에게 보내는 메시지가 들어 있었습니다. 우주의 암흑군주가 보낸 악마가 히틀러의 몸 속으로 들어가 지구를 위험에 빠뜨린다는 내용이었지요 ... ...
자물쇠 속 수학
수학동아
l
201009
몸통을 말하고, 몸통의 오른쪽과 왼쪽에 광두정이라 부르는 작은 단추가 있다. 광두정은
위아래
로 올리거나 내려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자물통의 밑면에는 밀대판이 있는데, 밀대판으로 열쇠구멍을 감추기도 한다.그런데 대부분 밀대판 밑에 나타나는 구멍의 모양은 열쇠 끝의 생김새와 다르기 ... ...
헬륨 부족하면 첨단 연구도 STOP! 헬륨 위기가 온다
과학동아
l
201009
헬륨이라고 하면 많은 사람들은 목소리를 변하게 하는 가스를 떠올린다. 풍선이나 비행선을 생각하기도 한다. 하지만 헬륨이 IT사회에 없어서는 안 되는 광섬유와 밀접한 관계가 있다는 사실은 잘 모른다. 광섬유는 2000℃ 이상의 고온으로 달군 뜨거운 유리를 매우 가늘게 당겨서 만든다. 그런데 대 ... ...
호주 밤하늘엔 숨어 있던 은하수가 뜬다
과학동아
l
201009
지구에서 가장 별이 잘 보이는 곳은 어디일까. 문명의 불빛이 미치지 않는 곳, 칠흑 같은 어둠 속에 오로지 별빛만이 존재하는 곳, 가장 깊은 우주를 들여다 볼 수 있는 곳. 그곳을 찾아 7인의 별밤지기들이 천체관측원정대를 꾸렸다. 관측지는 호주 천문학의 수도인 쿠나바라브란(Coonabarabran)이다.우 ... ...
이전
90
91
92
93
94
95
96
97
9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