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내부
내면
뱃속
내용
마음속
실질
안
뉴스
"
속
"(으)로 총 10,567건 검색되었습니다.
의식 잃는 '압상스 간질' 원인 찾았다
2014.08.12
이동을 조절하는 ‘T형 칼슘 이온 통로’에 문제가 있기 때문으로 알고 있었다. 신경세포
속
에서 칼슘량 조절이 안 되면 여러개의 전기신호가 한꺼번에 일어나 뇌세포가 전반적으로 과흥분을 했을 때 나오는 것으로 생각했던 것. 그러나 연구팀은 유전자 조작 기술을 활용해 압상스 간질이 원인으로 ... ...
‘아기의 뇌’ 출생직후 가장 빨리 성장, 3개월 지나면…
동아일보
l
2014.08.12
패션 [관련 뉴스] - 사지마비 환자 뇌에 칩… “생각만 했는데 손이 움직여요” - 뇌
속
혈관 터지는 혐오 금연광고 시작됐다 - 美 아기에게 기는 법을 전수하는 강아지 화제 - 아파트 17층서 추락 3살배기 아기 목숨 건져 ‘기적’ [☞모바일서비스 바로가기][☞오늘의 동아일보][☞동아닷컴 Top기사] ⓒ ... ...
우리가 작아진다면?
수학동아
l
2014.08.12
든 작은 사람들이 캔디를 먹기 좋은 크기로 부수고 있다. - 데이비드 길리버 제공 사진
속
에 등장하는 작은 사람들의 실제 크기는 겨우 2~3cm에 불과하다. 정말로 사람이 이처럼 작아진다면 우선 대부분의 시간을 먹는 데 할애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생물의 식사량은 몸의 표면적에 비례하는데, 몸이 ... ...
사카린은 설탕을 대신할 수 있을까
2014.08.11
만족감(쾌감)에 결코 도달할 수 없다고 한다. 맛의 정보를 제공하는 미각을 멋지게
속
였는데 왜 이런 일이 일어날까. 미각은 당했지만 뇌는 미각이 보내오는 정보가 가짜라는 사실을 알아차린 것일까. 놀랍게도 답은 “그렇다”이다. 도대체 뇌는 어떻게 인공감미료의 달콤함이 칼로리가 풍부한 ... ...
평생 후유증 남는다던 ‘뇌졸중’ 줄기세포로 고쳤다
2014.08.11
뇌세포 회복에 큰 도움이 된 것으로 보고 있다. 연구팀은 앞으로 CD34+로 만들어내는 뇌
속
화학물질을 추가로 발견하고, 이를 치료제 형태로 개발할 계획이다. 뇌경색 진단을 받은 환자가 병원에 오는 즉시 이 약물을 투여하면 응급치료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추가 연구를 진행할 ... ...
[표지로 읽는 과학] 탄소나노튜브, 식물처럼 기른다
2014.08.10
사이의 연결망(디지털 시냅스)도 2억 5600만 개를 연결했다"고 소개했다. 트루노스
속
디지털 뉴런은 전기 신호를 받을 수 있고, 다른 뉴런에게 전달할 수도 있다. 사람 뉴런의 기능 까지 재현한 것이다. 이 결과 트루노스는 사람의 뇌처럼 여러 물체를 발견하고 분류할 수 있는 등 매우 정교한 ... ...
유독가스·전염병바이러스 한 번에 검출한다
2014.08.10
채소나 과일에 남은 잔류농약은 어떻게 측정하는 걸까. 전염병 바이러스 창궐, 생화학무기 등이 유포되면 어떻게 해야 할까. 강물의 국내연구진이 각종 환경연구나 사건사고 ... 재료과학 분야 국제학술지 ‘어드밴스트 머티리얼스(Advanced Materials)’ 7월 9일자
속
표지 논문으로 게재됐다. ... ...
2014년 여름, 우리가 바다로 나가는 까닭은?
2014.08.10
CJ엔터테인먼트 제공 영화 ‘명량’은 길이 30m짜리 배를 만들어 짐벌 위에서 소용돌이
속
배의 움직임과 배와의 충돌 장면 등을 역동적으로 잡아냈다. 이 배에는 150명이 동시에 탑승해 전투신을 그려내기도 했는데, 이 장면은 특수 모터와 유압 장치를 활용한 짐벌 위였기에 가능했다. 이 ... ...
[채널A] 냉장고는 ‘곰팡이 천국’…변기보다 더럽다 ‘충격’
채널A
l
2014.08.08
냉장고 안이라 하더라도 항상 밀봉해 보관해야 더 안전합니다. 또 곰팡이의 성장
속
도를 고려하면 적어도 2주에 한 번씩은 냉장고 청소를 해야합니다. 채널A 뉴스 이영혜입니다. (모바일에서 영상 보기 : http://news.ichannela.com/society/3/03/20140806/65620634/2 ... ...
“태블릿PC에서 내 뇌가 보여요”
2014.08.08
효율적”이라고 말했다. 또 이건재 KAIST 신소재공학과 교수팀은 동물의 몸
속
에 넣어두면 미세한 움직임을 전기로 바꿔 8.2V 전압과 0.22mA의 전류를 생성하는 스마트 센서인 초소형 나노발전기를 최근 개발했다. 이 발전기를 심장박동 보조기에 연결하면 배터리가 떨어져 몇 년마다 재수술을 ... ...
이전
945
946
947
948
949
950
951
952
95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