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까닭
사유
근거
동기
원인
사연
연고
d라이브러리
"
이유
"(으)로 총 11,282건 검색되었습니다.
Ⅱ. 묻혀있는 가능성 지오피아를 건설한다
과학동아
l
1996년 07호
하수와 공장폐수를 처리하고 있다. 이와같이 하수 처리장을 지하에 건설하게 된
이유
는 단 하나, 환경문제 때문이다. 이곳은 정화 처리된 하수를 바다로 배수함으로써 지상에 건설되는 하수처리장의 단점을 완전히 극복했다. 노르웨이 최대 지하 처리장인 이곳에는 폭 16m인 11개의 지하공동이 1 ... ...
원격진료·재택교육 급진전 화상회의 : 1.시공간이 축소된다
과학동아
l
1996년 07호
고 밝힌 것이다. 만약 화상회의에서 확정된 결정에 대해 주주들이 '과반수 요건 미비'를
이유
로 무효확인소송이라도 낸다며 회사측은 속수무책일 수 밖에 없다.이에 반해 화상회의 시스템 이용의 역사가 비교적 오래인 미국에서는 "전화를 통한 이사회 참여도 출석으로 본다"는 조항이 회사법에 ... ...
1. 참을 수 없는 고통의 메커니즘 : 몸 이상 알리는 적신호 위험 경고하는 통각신경
과학동아
l
1996년 07호
부른다. 예를 들어 화상을 입었을 때 건드리는 자극만으로도 아픔을 느끼는
이유
는 상처 부위 신경의 문턱값이 낮아졌기 때문이다. 통각과민이 발생하는 메커니즘은 아직 정확히 알려지지 않았다. 한편 말초신경이 손상되거나 중추신경에 이상이 생기는 신경성 질환으로도 통각과민이 생길 수 있다. ... ...
로봇, 사이보그, 그리고 안드로이드
과학동아
l
1996년 07호
사이보그는 항상 인간의 본질은 무엇인가에 대한 문제를 제기한다. 내가 인간인
이유
는 나의 무엇 때문인가? 무엇이 나를 인간이게 하는가? '로보캅'은 모든 신체가 기계로 대체되었다 하더라도, 과거의 기억으로 인해 사이보그가 아직 인간일 수 있음을 보여 준다. 그리고 자신의 존재를 인식하게 ... ...
눈, 몸이 천냥이면 눈은 구백냥
과학동아
l
1996년 07호
사실 동양인보다는 서양인들에게 더 필요하다.2. 눈은 왜 깜빡거리나 눈 뜨고 자는
이유
눈이 깜빡거리는 것을 순목(瞬目,blinking)이라고 한다.깜빡거리는 것은 생리적인 불수의 반사현상이다. 즉 심장이 알아서 뛰는 것처럼 우리의 의지와는 관계없이 눈꺼풀의 근육이 수축하는 것이다. 깜빡거리는 ... ...
고온초전도체 발견 10년
과학동아
l
1996년 07호
깊은 관심을 기울이며 세계적으로 막대한 인력과 연구비를 투자하고 있을까. 그
이유
는 고온 초전도체의 응용분야가 무궁무진해 잘 활용만 한다면 새로운 산업혁명을 일으킬 수 있기 때문일 것이다.초전도체는 1911년 처음 발견됐다. 네덜란드의 물리학자 온네스(Onnes)는 기체헬륨을 압축해 절대온도 ... ...
교육용 홈소프트웨어의 핵심은 대화
과학동아
l
1996년 07호
아니라 개념을 이해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프로그램이다. 이런 류의 제품이 많지 않은
이유
는 기획하기도 어렵고 만들기도 어렵기 때문이다.반복적이고 지루한 학습지에만 익숙한 우리가 새로운 형태의 제품을 만들기란 쉽지 않은 일이다. 하지만 하나의 제품을 만든다는 부담이 없다면, 덧셈의 ... ...
KAIST 송태호교수가 최초로 밝힌 얼음골의 비밀
과학동아
l
1996년 07호
어떻게 더운 여름에 얼음이 얼 수 있을까? 이 질문에 대한 이제까지의 대답은 '명확한
이유
몰라' 였다. 또 일부 학자들이 구장한 '단열팽창(adiabatic expansion)' 현상이 그나마 가장 유력한 설명이었다. 하지만 단열팽창설은 얼음골의 현상을 설명하기에는 미흡했다.단열팽창 아닌 자연대류 최근 ... ...
능란한 화술, 지능적 의사소통
과학동아
l
1996년 07호
없는 작은 소리를 낸다. '개미와 베짱이' 이야기에서 우리 귀에 베짱이의 노래만 들리는
이유
는 개미 노래 소리가 잘 안들리기 때문이 아닐까. 안따라오면 입에 물어 끌고가개미들 중 비교적 원시적인 종일수록 몸짓을 많이 쓰는 경향이 있다. 이 개미들은 자신이 먹이을 발견한 곳으로 동료들을 ... ...
Ⅰ. 지상은 초만원 땅속으로 간다
과학동아
l
1996년 07호
폐기물 처리와 같은 시설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지하공간을 이용하려는 것은 어떤
이유
보다 환경보호 측면에서의 장점을 찾을 수 있기 때문이다.지하는 활용 여부에 따라 얼마든지 그 영역을 확대할 수 있는 가능성의 공간이다. 외부의 온도변화에 영향을 크게 받지 않는 단열성과 항온성을 이용해 ... ...
이전
938
939
940
941
942
943
944
945
94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