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신체
육체
육신
인체
몸통
동체
바디
스페셜
"
몸
"(으)로 총 1,333건 검색되었습니다.
[표지로 읽는 과학] 땅콩 알레르기 잡는 치료제 나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0.21
3000여 명의 환자가 이런 방식으로 치료를 받고 있다. 땅콩 알레르기가 있는 사람
몸
에는 '이뮤노글로불린E(IgE)'으로 불리는 항체가 매우 많다. 땅콩 성분이 유입되면 이 항체가 땅콩 단백질의 특정 항원을 인식하고, 각종 알레르기 반응을 일으키는 혈관 주위의 비만세포와 결합한다. 비만세포는 ... ...
[표지로 읽는 과학]위장술 끝판왕 갑오징어 뇌를 연구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0.20
것이다. 질 로랑 독일 막스플랑크두뇌연구소 교수 연구진은 오징어의
몸
색깔이 바뀔 때 색소포자의 변화 과정을 관찰하기 위해 물 탱크 속에 초당 60회까지 촬영할 수 있는 20대의 카메라를 장착했다. 이후 갑오징어를 넣고 탱크 내부에 자갈이나 암반 등 다양한 질감이 인쇄된 그림을 ... ...
[강석기의 과학카페]울트라디언 리듬을 알면 삶이 편해진다
2018.09.26
것이다) 잠깐 쉬어주는 게 시간이 아깝다며 세 시간 네 시간 계속 붙잡고 있는 것보다
몸
에도 좋고 성과도 좋을 것이기 때문이다. 1953년 렘수면을 발표하고 1960년 기본휴식활동주기를 제안한 나다니엘 클라이트만 교수는 1999년 104세를 일기로 타계했다. 그가 살아있을 때 이런 연구결과가 나왔다면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올리버 색스와 신경퇴행성질환 리티코-보딕 이야기
2018.09.18
1980년대 멸종했다. 콕스는 ‘색맹의 섬’(물론 2부 소철 섬)을 읽고 색스에게 연락해
몸
에 BMAA가 축적된 박쥐를 즐겨 먹은 사람들이 훗날 리티고-보딕에 걸렸을 거라는 가정을 제시했다. 즉 스펜서의 원숭이 실험에 쓰인 용량만큼 먹었을 수도 있다는 말이다. 색스는 그럴듯하다고 생각했고 두 ... ...
[강석기 과학카페] 한때 언어 유전자로 불렸던 FOXP2 이야기
2018.09.11
사이가 됐다지만 여전히 언어능력은 습득하지 못한 건 늑대에겐 그럴 수 있는 하드웨어(
몸
의 구조)가 없었고 개가 된 이후에도 그걸 갖추게 진화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보노보가 자기 길들이기를 했다지만 결국 언어구사능력이 초보적인 수화에서 그친 건(개와 달리 손은 꽤 능숙하게 쓸 수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약이 되는 독액 이야기
2018.09.04
물리면 30초 이내에 제압될 정도로 독이 세다는 말이다. 사람도 조심해야 하는 이유다.
몸
무게가 3g에 불과한 지네가 45g인 생쥐를 공격하는 장면이다. 지네에 물린 생쥐는 30초만에 제압됐다. -‘미국립과학원회보’ 제공) 지난 2월 학술지 ‘미국립과학원회보’에는 지네의 독액에서 덩치 큰 동물을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뱃살의 과학
2018.08.28
못한 건 콘텐츠와 스토리텔링이 부족한 것도 한 이유로 보인다. 정책 입안자들이 ‘우리
몸
연대기’를 읽었다면 좀 더 거시적인 안목에서 정책을 설계할 수 있지 않았을까. 이 과정에서 리버먼 교수나 ‘추천의 글’을 쓴 이화여대 최재천 교수 같은 통찰력이 있는 분들에게 자문을 구했다면 ... ...
[지구를 위한 과학] 제비 몰러 나간다~! 정다미 연구원이 꿈꾸는 세상
어린이과학동아
l
2018.08.17
수리부엉이 같은 올빼미과 새들을 통틀어 부르는 말이다. 꾸룩새연구소 뒷산에는
몸
길이가 68cm나 되는 아주 큰 수리부엉이도 살고 있다. 70세가 넘으신 할아버지가 어렸을 때 이곳의 부엉이 알을 꺼내 드신 적도 있다고 하니, 정말 오래된 수리부엉이 서식지이다. 그런데 지난 해 파주 법흥리의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갈색지방 속 ‘숙신산’서 다이어트 효과 찾았다
2018.08.07
해설에서 이에 대해 언급하고 있다. 무엇보다도 생쥐와 사람은 덩치 차이가 크다. 즉
몸
이 작은 생쥐는 부피 대비 표면적의 비가 사람보다 훨씬 크기 때문에 체온을 쉽게 빼앗길 수 있고 따라서 갈색지방조직이 잘 발달해 있다. 반면 사람은 갈색지방조직이 상대적으로 적어 물 대신 숙신산 음료를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정자에 왜 후각수용체가 있을까?
2018.07.31
몇 개에 불과하다. 아직 갈 길이 멀다는 말이다. 그럼에도 후각수용체가 코뿐 아니라
몸
전체에 분포하며 다양한 기능을 한다는 사실은 ‘게놈이 후각수용체 유전자에 왜 그렇게 많은 투자를 했는가?’라는 의아함을 상당 부분 누그러뜨렸다. 우리가 냄새로 지각하는 게 후각 정보의 전부는 ... ...
이전
89
90
91
92
93
94
95
96
9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