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작가
필자
지은이
저술자
저술가
저작자
편찬자
뉴스
"
저자
"(으)로 총 2,201건 검색되었습니다.
프레온가스 감시 연구 뜨자 중국도 눈치보기 시작했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2.11
기존에 생산된 제품에서도 프레온가스가 조금씩 방출되는 것도 문제다. 두 연구의 공동
저자
인 매트 릭비 브리스톨대 교수는 “생산된 전체 프레온가스 중 일부만이 대기로 방출됐을 가능성이 높다”며 “배출 지역을 추적하기 위한 국제적 노력을 강화해야 한다”고 말했다 ... ...
"살아있는 화석" 실러캔스 유전자 상 자격 없어
연합뉴스
l
2021.02.10
'수평적 유전자 전이'로 알려진 종간 유전자 이동이 이뤄진 것으로 분석했다. 논문 제1
저자
인 박사과정 대학원생 아이작 옐란은 "수평적 유전자 전이는 (실러캔스의) 전이인자가 어디서 온 것인지에 대해 흐릿한 그림만 제시하지만 다른 종의 사례를 통해 기생으로 발생할 수 있다는 것을 알고있다 ... ...
태아 때 카페인 노출되면 아동기 행동장애 위험 커져
연합뉴스
l
2021.02.10
URMC를 비롯한 미국 내 21개 기관에서 필요한 데이터를 취합한다. 논문의 제1
저자
인 제커리 크리스텐슨 박사는 "의사들이 제시하는 임신 중 카페인 섭취 가이드라인은 하루에 보통 컵으로 2잔을 넘지 말라는 것"이라면서 "장기적으론 더 개량된 가이드라인이 나와야 하겠지만 지금은 걱정이 생길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기생충과 건강수명
2021.02.09
배경에는 서구식단 도입과 함께 기생충 퇴치가 자리할 것이다. 아직은 무대책
저자
를 비롯해 옛친구 가설을 지지하는 연구자들의 주장대로 우리의 면역계가 마이크로바이옴뿐 아니라 매크로바이옴(기생충)의 개입을 전제로 최적화되게 만들어져 있다면 이들 없이는 제대로 기능할 수 없다는 ... ...
마모셋, 다른 원숭이 간 상호작용 "대화"로 엿듣고 행동에 반영
연합뉴스
l
2021.02.04
내는 소리를 들을 때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Judith M. Burkart, UZH 제공] 논문 제1
저자
인 박사후보 라헬 브뤼거는 "이는 마모셋이 다른 원숭이의 독백으로 부터대화를 구분해 낼 수 있다는 점을 보여주는 것"이라면서 마모셋이 원숭이 간 상호작용 소리를 대화로 듣고 제3자가 무엇을 하고 있는지 ... ...
[사이언스N사피엔스] 진화론의 현대적 종합
2021.02.04
유전자 수준에서 작동한다고 주장한 가장 유명한 사람은 《이기적 유전자》(1976)의
저자
리처드 도킨스이다. 도킨스에 따르면 인간을 포함한 모든 생물 개체는 그저 유전자를 옮기는 운반체나 기계에 불과하다. 한편 에드워드 윌슨은 1975년 《사회생물학: 새로운 종합》을 펴내 동물의 사회적 행동과 ... ...
메갈로돈의 ‘거대한 이빨’ 의외로 약했다?
과학동아
l
2021.02.04
상관없이 단순히 몸집이 거대해지며 이빨도 함께 커졌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논문의 제1
저자
인 안토니오 밸릴 브리스톨대 지구과학과 연구원은 “몸집이 가장 큰 메갈로돈이 가장 튼튼한 치아를 가지고 있을 것이라고 예상했던 우리의 가설이 뒤집혔다”며 “메갈로돈은 먹이를 먹기 유리한 ... ...
손톱 크기 '나노 카멜레온' 세계서 가장 작은 파충류 '도전'
연합뉴스
l
2021.02.02
성공적인 짝짓기를 위해 상대적으로 큰 생식기를 갖게 된 것으로 설명했다. 논문 공동
저자
인 마다스카르의 안타나나리보대학 파충류학자인 안돌랄라오 라코토아리슨 박사는 "마다가스카르에는 가장 작은 영장류를 비롯해 극단적으로 작아진 척추동물이 많이 있다"면서도 B. 나나가 작아진 ... ...
코로나19격리·치료 비용전액 정부가 부담…"건강불평등 없었다"
연합뉴스
l
2021.02.02
같은 개인의 노력도 건강불평등을 감소시킨 요인이라고 연구팀은 판단했다. 논문 제1
저자
인 이혜진 교수는 "코로나19로 인한 건강불평등이의료보장 가동하니 세계적인 문제로 대두되는 가운데 우리나라는 치료비를 정부가 지원하는 등의 정책으로 다행히 좋은 결과를 보였다"며 "다만 코로나19 ... ...
열대성 저기압 최대 위력 지점 10년마다 30㎞씩 해안에 근접
연합뉴스
l
2021.02.01
수 있으며 이는 앞으로 수십년간 심각한 의미를 갖게될 것"이라고 했다. 논문 공동
저자
로 ICL 그랜섬 기후변화환경연구소 공동 소장을 맡은 랠프 투미 교수는 "열대성 저기압의 모든 것을 파악할 필요가 있다"면서 "이번 연구 결과는 열대성 저기압의 위치 변화를 보여주는 것인데, 이는 강도 ... ...
이전
89
90
91
92
93
94
95
96
9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