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기반
기본
토대
근본
근거
터전
밑바탕
뉴스
"
기초
"(으)로 총 4,672건 검색되었습니다.
뇌 신경 모방한 다진법 구현 반도체 소자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3.02.28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국내 연구진이 금속(도체)에서 절연체(또는 반도체)로 상전이를 일으키는 물질의 전기저항 변화를 이용해 다진법을 구현할 수 있는 소자 기술을 개발 ... 머신러닝 접목 가능성 등 체계적으로 후속 연구를 진행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국
기초
과학지원연구원 제공 ... ...
IBS 순수물리이론연구단 공동 연구단장에 야마구치 마사히데
동아사이언스
l
2023.02.28
마사히데
기초
과학연구원(IBS) 순수물리이론 연구단장.
기초
과학연구원(IBS) 제공
기초
과학연구원(IBS)은 야마구치 마사히데 일본 도쿄공업대(TIT) 교수를 순수물리이론 연구단의 공동 연구단장으로 선임했다고 28일 밝혔다. 야마구치 신임 단장이 이끄는 ‘우주물리 및 중력이론 그룹’은 3월 1일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나는 대단하지 않다"...'작은 자아'의 행복감
2023.02.25
번쯤은 실수를 한다고 하지만 실수를 할 때면 뼈아픈 것이 사실이다. 특히 말도 안 되게
기초
적인 부분에서 실수를 할 때면 이제껏 뭐했나 싶고 그간의 시간들이 의미 없게 느껴지곤 한다. 인간관계에서도 마찬가지다. 나이가 들면서 점점 더 다양한 사회적 상황을 만나게 되지만, 여전히 사람의 ... ...
[인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동아사이언스
l
2023.02.24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과장급 전보 △네트워크정책과장 박태완 △원천기술과장 이은주 △전파정책기획과장 정재훈 △과학기술정책조정과장 박진희 △연구개발투자기획과장 최윤억 △생명
기초
조정과장 이강우 ...
양자컴 걸림돌 '큐비트 오류율' 낮췄다..."획기적 성과"
동아사이언스
l
2023.02.24
위해선 더 낮은 오류율을 달성할 필요가 있다”며 “이번 연구는 미래 발전을 위한
기초
연구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밝혔다. 전 세계 연구팀들이 양자 컴퓨터 오류율을 낮추기 위해 연구하고 있다. 한국 역시 2030년대 초 슈퍼컴퓨터를 넘어서는 오류가 적은 양자컴퓨터를 시연한다는 계획을 ... ...
'인공태양' 핵융합 발전 12년 뒤 실증로 건설...상용발전소는 2050년대
동아사이언스
l
2023.02.23
마련한다. 핵융합 저변 확대를 위해 레이저 등 새롭게 부상하고 있는 핵융합 혁신기술
기초
연구도 지원한다. 국제핵융합실험로(ITER) 장치 건설과 운영, 실험에 참여하며 얻는 결과들도 실증로 설계와 건설에 활용된다. 이종호 과기정통부 장관은 “핵융합에너지는 탄소중립과 에너지 안보 위협을 ... ...
뇌종양 연구 선구자 최승홍 서울대 교수 '한림원 생리의학상' 수상
동아사이언스
l
2023.02.23
23일 밝혔다. 최 교수는 서울대병원 영상의학과에서 뇌종양 협진을 수행하고 있으며
기초
과학연구원(IBS) 나노입자연구단에 소속되어 중개 연구를 활발히 진행 중인 의사과학자다. 대표적 난치성 뇌종양인 ‘뇌교모세포종’의 진단과 치료에 항암·방사선 병행요법 이후에 나타나는 ‘가성진행’을 ... ...
[과학게시판] 2023 드론쇼 코리아 개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3.02.23
연계한 지역을 말한다. 이번 간담회는 중이온가속기를 활용해 창출할 수 있는
기초
연구성과를 거점·기능지구에 이전해 활성화할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마련됐다. 과학벨트 관계 지자체와 기관장 등이 참석해 거점지구 추진 현황과 향후 계획, 기능지구 역할 강화 방안에 대해 다양한 논의를 했다. ... ...
김빛내리, 암 치료 위한 RNA 유전자 치료제 새 가능성 열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2.23
수 있게 됐다"고 말했다. 마이크로RNA(miRNA)이 만들어지는 과정을 규명한 김빛내리
기초
과학연구원(IBS) RNA 연구단장(왼쪽)과 노성훈 서울대 생명과학부 교수. IBS 제공 다음은 김빛내리 단장 일문일답. Q. 연구 성과를 간단히 요약한다면. "miRNA를 자르는 두 개의 단백질 중 드로셔 단백질의 구조는 20 ... ...
매질 변화 없이 '시간'으로 전자파 제어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2.21
개념을 제시했다. 시간의 변화를 축으로 공간적 개념을 대체하는 연구다. 하지만 아직
기초
학문 수준에 머물러 실제 전자파 제어 기능을 갖는 소자는 없었다. 연구팀은 “시간은 한 방향으로만 흐르는 1차원 정보만을 제공해 전자파를 자유자재로 제어하기 충분하지 않은 것으로 여길 수 있다”며 ... ...
이전
89
90
91
92
93
94
95
96
9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