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과학동아
"당시"(으)로 총 1,115건 검색되었습니다.
- 매머드, 과학으로 깨어나다기사 l20161106
- 하악/상악 표본, 국내 최초로 공개되는 털매머드의 피부 표본, 털 표본이 있습니다. 피부 표본은 두께가 2cm나 된다고 합니다. 그 당시 매우 추웠기 때문입니다. 대퇴골 표본은 제 동생 키(1.2m)보다 큰 것 같았습니다. 털매머드는 이빨이 6번이나 빠진다고 합니다. 털매머드의 이빨을 직접 만져 보았습니다. 정말 무겁고, 어금니처럼 넙적한 부분 ...
- 가을에 피는 꽃, 납지리탐사기록 l20161026
- 하천에 풀어버리는 바람에 배스가 닥치는 대로 토종어류를 잡아먹었고 지금은 납자루아과를 채집하기 어렵게 되어버렸다. ▲ 당시 채집한 배스의 배를 눌러 확인해보니 미처 소화되지 않은 납지리가 나왔다 (출처:어린이과학동아) 이처럼 우리가 단순히 낚시라는 즐거움을 얻기 위해서 외래종을 하천에 풀거나 놔준다면 외래어종들에게 밀려 토종 민물고 ...
- 미호종개의 마지막 서식지탐사기록 l20161026
- 가시가 있습니다. 모래속에 파고 들거나 천적으로부터 보호하는 역할을 합니다. 다행히 잡았을 때 살짝 찔리는 정도입니다^^발견 당시 미호천 어디든지 서식하였고 흔한 피라미와 함께 미호천에서 쉽게 볼 수 있었습니다.하지만 골재 채취, 공장 및 축산폐수 등등 많이 사라지고미호천 본류는 사라지고 금강 일부 지역에서만 살아남았습니다ㅠㅠ이제 진천 부여 청 ...
- 그림에서 튀어나올 듯한 고양이를 국립중앙박물관에서 만나다기사 l20161019
- 낡았지만 아직까지도 눈부시고 아름다운 형태를 유지하고 있는 귀걸이, 반지, 목걸이를 금속 공예관에서 봤습니다. 이 유물을 통해 당시에도 신분 계급이 있었다는 것을 알 수 있게 됩니다. 국립 중앙박물관에 가서 보고싶으시다면 백제실의 관 꾸미개, 가야실의 금동관, 신라실의 황남대총 북분 금관, 귀걸이를 추천합니다. 그리고 서화관의 우리 옛 민족들의 ...
- 달과 별 관측회!포스팅 l20161015
- 밤이라서 잘 않보이는 것 죄송합니다.찍을 당시 배터리 때문에 ..ㅠㅠ달은 많이 보았는데,구름이 너무 많아서 국제 우주정거장을 보지 못했어요.ㅠㅠㅠㅠ 글씨가 잘 않보이네요. 죄송합니다. ...
- 한글날 기념! 한글 이모저모~기사 l20161009
- 표기 언어로 사용이 되기도 하였답니다. 한글은 한글이라 불립니다. 한글이라 불리는 이유도 따로 있습니다. 한글 창제 당시에는 '백성을 가르치는 바른 소리'라 하여 '훈민정흠'이라 하였습니다. 일제 강점기 시절, 독립운동을 하던 중 우리말이 제대로 표기되어야 하겠다는 생각에 우리말을 고치셨습니다. 그때 '크다', '바르다' 등의 뜻을 가지 ...
- 가시고기탐사기록 l20161003
- 3종입니다.이날은 바다에 있다가 봄에 산란하는 큰가시고기는 보지 못했지만 잔가시고기와 가시고기를 보고 올 수 있었습니다. 채집당시 어린 치어부터 성어까지 다양한 연령대를 보인 잔가시고기가 대부분이었고 간혹 가시고기를 볼 수 있었는데 잔가시고기와 가시고기를 구분하는 방법은 의외로 간단합니다.잔가시고기-크기는 5cm 정도이고 동해안 대부분 하천, ...
- [서울 성북구 라이노비틀즈]20160924귀화식물 현장교육이 끝나고, . .탐사기록 l20160925
- . . 개미,거미,여치,나비. . . 무궁화가 그렇게 좋을까!!무궁화 위 여치양봉꿀벌의 천국네발나비 천지도토리를 좋아하는 아기 바구미아기바구미벤치위를 길때 당시 모습너무 귀여워 눈도 못 떼고. . . .작은 귀뚜라미.. . 안보이네요.여치와의 숨바꼭질송충이#*;*~-@~# ... ...
- 추사 김정희 선생님의 발자취 2 - 쓸쓸한 제주 유배지와 세한도 탄생 이야기기사 l20160906
- 그래서 1840년 윤상도 옥사사건에 관련 되었다는 이유로 55세 때 제주도에 유배를 가서 9년 동안 지내셨습니다. 이 때 김정희 선생님은 당시 외교관과 같은 중요한 역할을 위해 중국에 가기로 되어 있었는데, 중국에 가지도 못하고 억울한 누명을 쓰게 되어서 크게 절망하셨다고 합니다. 그리고 끝까지 죄를 부인하면서 곤장을 많이 맞으셔서 제주도에 ...
- 역사와 문화의 박물관, 국립중앙박물관에 가다기사 l20160905
- 있었습니다. 가야관은 철의 나라 가야답게 갑옷(아래 사진)과 칼이 많이 있었습니다. 또한 유리잔(아래 사진)이 있었습니다. 그 당시에도 유리잔이 있었다는 게 신기하더군요. 가야관을 지나자 신라관이 나왔습니다. 신라관은 입구부터 아름다운 보석이 박힌 금관(아래 사진)이 있었습니다. 크기가 매우 컸는데 매우 무거웠을 것 같았습니다. ...
이전89909192939495969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