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과학동아
"기능"(으)로 총 959건 검색되었습니다.
- 순록들의 크리스마스 선물 대작전!어린이과학동아 l20071130
- 보고, 듣고, 소리낼 수 있는 뛰어난 인공지능 뿐 아니라 스탠드, 알람 시계, 스캐닝 경보기, 움직이는 탱크 모드, 다양한 게임 기능을 가진 로보 보아는 온가족에게 최고의 선물입니다. {BIMG_c11} 로보 판다 미국 와우위, 크기 : 40×37㎝ 동물 중에서 가장 귀엽다는 판다가 로봇으로 탄생했어요. ‘귀염둥이’로 타고난 로봇인 만큼 외모 ...
- 블록으로 올록볼록 과학하기어린이과학동아 l20071130
- DNA벽돌(바이오브릭)을 만들었어. DNA벽돌은 양 끝에 연결 부위가 달린 DNA 조각이야. DNA벽돌을 레고 블록처럼 조립해 우리가 필요한 기능을 하게 만들 수 있단다. DNA도 쉽게 조립하는 세상. 정말 신기할 뿐이야. {BIMG_l12}내 맘대로 전자제품! 전자제품도 레고 블록처럼 내 맘대로 조립할 수 있다면 정말 재미있겠지? 상상 속의 ...
- 2020년 한국도 달에 간다어린이과학동아 l20071130
- 물고기를 생각해서라도 살충제 사용을 줄이고 안전한 비누를 만들어야겠어요. *환경호르몬 : 생물의 몸에 들어가 정상적인 생리기능을 방해하고 혼란스럽게 만드는 화학물질이랍니다. [소제시작]4바퀴벌레 잡는 로봇[소제끝] 바퀴벌레는 어두운 곳을 좋아하기 때문에 사람에게 잘 발견되지 않아 퇴치하기가 쉽지 않아요. 그런데 벨기에 프리대학교의 호세 할로이 ...
- 생물자원 전쟁_크리스마스트리를 지켜라!(2)어린이과학동아 l20071130
- ‘유전자’가 점점 중요해졌다. 미생물의 설계도라고 할 수 있는 유전체 정보를 가지고 있다면 미생물의 다양한 기능 중에서 원하는 기능만 뽑아 낼 수 있다. 의약품에 쓰이는 물질이나 알콜 등 우리 생활에 유용한 물질을 생산하는 미생물을 만들 수 있다는 뜻이다. [소제시작]Part 3우리 생물자원을 지켜라![소제끝] 생물도둑이 이런 귀중 ...
- 최고의 비행기를 뽑아라!(2)어린이과학동아 l20071114
- 역할에 따라 더 새롭게 개발될 거야. 사람을 태우는 비행기는 더 편하고 안락하게, 특별한 임무를 띤 비행기는 임무에 맞는 최첨단 기능을 가지고 하늘을 날겠지? 미래엔 자가용처럼 1인용 비행기가 나와 나만의 비행기를 타고 학교에 가고 눈에 보이지 않는 초소형 비행기가 세상을 엿볼지도 몰라. 서울에서 뉴욕까지 단 2시간 만에 날아가는 여객기도 나올 ...
- 최고의 비행기를 뽑아라!(1)어린이과학동아 l20071114
- 무인비행기 중 새와 구별하기 힘들 정도로 작은 초소형 비행기가 있습니다. 100g도 안 되는 초소형 비행기는 디지털 카메라 기능이 있는 휴대전화와 비슷해요. 휴대전화만 한 크기로 하늘을 날며 영상과 소리를 모아 상대방을 감시하고 수색하거든요. 초소형 비행기는 지난 90년대 초반 미국 국방부에서 군사용으로 처음 연구를 시작했어요. 지금은 야생동 ...
- 속이 다 보이는 투명 개구리어린이과학동아 l20071031
- 감정을 가진 로봇에게 애정을 느끼게 될 뿐 아니라 결혼까지 할 수도 있다”고 밝혔어요. 레비 박사에 따르면 로봇은 외모, 기능, 성격이 점점 인간을 닮고 있어서 곧 사람처럼 느끼고 행동할 거래요. 이 때문에 인간이 로봇에게 친밀하고 인격적인 상호관계를 거쳐 사랑까지 느낀다는 거죠. 또 감정을 가진 로봇과 로봇끼리 애정을 느끼고 결혼할 수도 있다 ...
- 화장실 익스프레스(1)어린이과학동아 l20071031
- 오줌을 밟지 않기 위해 굽이 높은 신발인 초핀을 만들어 신게 됐고 그게 하이힐의 시초가 되었지요. 일본의 나막신인 게다도 그런 기능이 있었어요.” 똥은 하이힐로 피해도 냄새는 어떡할 거야…. “그래서 중세 시대에 향수가 많이 사용됐죠. 똥과 오줌의 악취를 피하기에 그만이었거든요. 게다가 높은 곳에서 뿌리는 똥과 오줌을 피하기 위해 양산과 모자도 ...
- 착각하는 뇌, 너 믿어도 되니?(1)어린이과학동아 l20071011
- 해도 자신의 뇌가 고통을 느끼는 거지. 오빠가 아프니 나도 아픈 것이 거짓이 아니었구나. 오빠 나를 위해서라도 어서 나아 줘요! *기능성자기공명영상(fMRI) 장치 : 뇌의 특정 부위에 혈액이 몰릴 때 자기장의 변화를 감지해 그 부위를 마치 불이 켜진 것처럼 보여 주는 장치. 어떤 부위가 밝은지에 따라 사람의 감정이나 생각을 알아 낼 수 있다. ...
- 착각하는 뇌, 너 믿어도 되니?(2)어린이과학동아 l20071011
- 저장하는 해마라는 기관이 있다는 거 아까 말했지? 미국 매사추세츠공과대학교의 신경과학자인 도네가와 스스무 교수는 해마의 기능이 손상된 쥐는 비슷한 과거와 현재의 상황을 구별하지 못하고 뒤섞어서 기억한다는 사실을 알아 냈어. 사람도 해마가 기억을 분류하고 저장하는 과정에서 착각을 일으키면 데자뷔를 느끼는 거야. 인간의 기억은 완벽하지 않기 때문에 ...
이전899091929394959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