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0"(으)로 총 5,772건 검색되었습니다.
- 여기는 AI 월드컵 현장입니다과학동아 l2019년 12호
- 안내하도록 알고리즘을 짜 높은 점수를 받았다. 꼬부기 팀은 우승 상금으로 4000달러(약 470만 원)를 받았다. AI 기자 종목에는 한국에서 ‘SIIT_Journalist’ 1개 팀이 단독으로 참가했다. 이 팀은 지난해 제1회 AI 월드컵에 이어 올해가 두 번째 참가였다. SIIT_Journalist 팀은 특정 상황에 적합한 단 ...
- 신비한 양자컴퓨터, 영~롱한 샹들리에의 정체는?수학동아 l2019년 12호
- 처리한다면 양자컴퓨터는 큐비트 단위로 처리해. 이론적으로 큐비트의 수가 10개면 210개 경우의 수를 확인해야 하는 문제를 한 번에 풀 수 있다는 뜻이고, 53개면 253개의 경우의 수를 확인해야 하는 문제를 한 번에 풀 수 있다는 의미야 ... ...
- 양자역학 논쟁 중 탄생한 슈뢰딩거 캣수학동아 l2019년 12호
- 한 번 계산할 때 2(큐비트의 수) 만큼의 계산을 할 수 있어.예를 들면 큐비트 1개가 0인 동시에 1인 셈이니까 2개의 큐비트는 00, 01, 10, 11 총 4가지 상태를 가질 수 있어. 만약 4개라면 총 24(=16)가지겠지? 시커모어는 큐비트가 53개니까 총 253가지 상태를 가질 수 있는 거지. 이 ...
- [수학체험실] 3가지 규칙으로 알록달록 꾸미는 아홉 색깔 큐브수학동아 l2019년 12호
- (1, 2, 3)으로는 6가지, (2, 2, 2)로는 2가지, (3, 0, 3)으로는 1가지 큐브 배치를 만들 수 있다. 0에 해당하는 큐브의 색을 하나 정하면 (3, 0, 3) 규칙에 의해 꼭짓점 8개 중에서 2개의 색은 중심과 같은 색으로 정해진다. 그리고 나머지 꼭짓점 6개의 색은 (1, 2, 3) 규칙에 의해 ...
- 세상을 구한 아이언맨 문명 이끈 진정한 영웅, 철과학동아 l2019년 11호
- 있다. 대한화학회와 한국화학연구원, 네이버TV가 주관하는 ‘주기율표와 원소, 150년의 이야기’ 동영상 시리즈 제작에도 참여했다. eslee@postech.ac.kr 용어정리* 배위결합공유결합 중 전자가 한쪽 원자에서만 제공되는 결합. 일반적으로 금속과 금속을 안정시키는 비금속이 이루는 금속-비금속 간 ... ...
- Google 진실을 말해줘~ 1만 년 걸릴 연산 200초 만에 한 거 실화임?과학동아 l2019년 11호
- 말했습니다. 1 구글이나 IBM처럼 초전도체를 이용해 큐비트를 만들려면 0K(절대온도)의 극저온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냉각시스템이 필요하다. 사진은 53큐비트로 구성된 양자 컴퓨터 ‘IBM Q’. 2 최근 양자 우월성 논란을 가져온 구글의 양자컴퓨터 칩 시커모어 ... ...
- [과학뉴스] 세계에서 가장 빠른 ‘개미계의 우사인 볼트’과학동아 l2019년 11호
- 해럴드 울프 독일 울름대 신경생물학연구소 교수팀이 최고 초속 0.855m로 달릴 수 있는 개미를 발견했다. 지금까지 발견된 개미 중 가장 빠른 속력이다. 연구 ... 속도를 내고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실험생물학저널’ 10월 16일자에 실렸다. doi: 10.1242/jeb.19870 ...
- [10대의약] 올바른 인공눈물 사용법 안구건조증과학동아 l2019년 11호
- 전자기기의 사용도 최근 청소년의 안구건조증을 부추기는 원인으로 꼽히고 있습니다. 2017년 대한안과학회지에 실린 충남대병원 연구팀의 ‘청소년의 안구건조증 유병률과 생활 행태 조사’에 따르면 일주일에 15.3시간 이상 전자기기를 사용할 경우 안구건조증 발생률이 54.5%이며, 콘택트렌즈를 ... ...
- 냉동 캡슐에 들어갔다 나옴! 잘 녹을 수 있음?과학동아 l2019년 11호
- 무관하게 냉동인간 기술은 언젠가는 실현될 SF의 영역이라고 봅니다. 김 교수는 15~20년 후로 전망하더군요. 그는 “상용화까지는 아니더라도 냉동인간 기술 자체는 완성될 것”이라며 “그러기 위해서는 단세포가 아닌 여러 개의 세포로 이뤄진 장기를 냉동하는 기술부터 완성하는 것이 ... ...
- 좌충우돌 보드게임 제작기수학동아 l2019년 11호
- ※필자소개.염지현 대표는 2010년 5월부터 ‘수학동아’와 함께했다. 지난 10년 동안 꾸준히 ‘수학동아’를 사랑하는 마음만은 한결같이 유지하며 ‘세상 속 재미난 수학 이야기’를 글로 전하며 살았다. 그러다 2018년 겨울, 돌연 새로운 일을 벌이기 시작했다. 여전히 기회 닿는 곳마다 글을 ... ...
이전89909192939495969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