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추정"(으)로 총 3,096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뉴스] 고인류 호모 날레디, 현생 인류와 공존?과학동아 l2017년 06호
- 미국 위스콘신 메디슨대 존 호크 교수 등 공동연구팀은 당초 250만~300만 년 전 인류로 추정했던 호모 날레디가 그보다 훨씬 최근인 23만6000~33만5000년 전에 살았다는 사실을 밝혀냈다.방사성 물질에서 방사능이 얼마나 줄었고 치아 법랑질에 있는 결정에서 에너지가 얼마나 변했는지 등을 종합한 ... ...
- [Future] 새롭게 주목 받는 ‘환경 곤충’, 플라스틱 먹는 애벌레과학동아 l2017년 06호
- 연구팀은 PE를 분해하는 효소가 애벌레의 침샘이나 장내 공생세균에 있을 것으로 추정하고 효소를 찾는 후속 연구를 진행할 계획이다.플라스틱 먹는 ‘환경 곤충’들이전에도 플라스틱을 먹는 애벌레가 발견된 적이 있다. ‘화랑곡나방(Plodia interpunctella)’ 애벌레와 ‘갈색거저리(Tenebrio molitor)’ ... ...
- Part 1. 음악, 수학을 만들다수학동아 l2017년 06호
- 인식하는 빛 신호는 오차 때문에 위아래로 요동친다. 연구팀은 실제 빛의 함수를 추정하기 위해 하모니 서치로 신호값과 함숫값의 차이를 최소화하는 함수를 구했다. 서로 도우며 최적을 찾는다음악을 좋아하는 수학자와 과학자는 더 있다. 2012년 라미레즈 로드리게즈 자비에 멕시코 자치대학교 ... ...
- Part 2. 세계 최초의 빵을 재현하다과학동아 l2017년 06호
- 중, 약 4000년 된 빵의 화석도 발견됐다. 당시 빵의 종류는 40가지가 훨씬 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고대 이집트의 빵 맛은 과연 어땠을까. 서진호 서울대 식품·동물생명공학부 교수는 “현대의 빵보다 신맛이 강한 빵이었을 것”이라며 그 근거로 “당시에는 반죽을 천연발효시킨 사워도우를 ... ...
- Part 1. 물 진짜 부족한 걸까?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6호
- 있어요. 2016년 기준 세계 인구는 73억 명인데, 2050년까지 90억 명에 다 다를 것으로 추정되고 있지요. 이렇게 인구가 늘어나면 그만큼 필요한 물의 양도 급격히 증가해요.우리나라도 심각한 물 스트레스 국가 중 하나예요. 인구 밀도가 높아 한 사람당 이용 가능한 물의 양이 적지요. 또 주로 여름에 ... ...
- [과학뉴스] 아마존 열대우림, 8000년 전 원주민들이 키웠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6호
- 살면서 몇몇 종의 나무를 더 많이 심었고, 결국 아마존에서 우세한 나무종이 된 거라 추정했어요.연구에 참여한 미국 시카고필드박물관 니겔 피트만 연구원은 “85종은 극소수에 불과하다”며, “앞으로 아마존에 살고 있는 1만 6000종의 나무가 어떤 영향을 받으며 살아왔는지 연구해야 한다”고 ... ...
- [과학뉴스] 공룡이야, 닭이야? 깃털 가진 소형 수각류 공룡 발견과학동아 l2017년 06호
- 두개골과 다리는 후기 종과 유사했다. 연구팀은 초기에서 후기로 넘어가는 전이종이라고 추정했다. 또한 현생 조류와 같은 비대칭적 깃털을 가지고 있었다. 연구팀은 논문을 통해 “당시 이 공룡이 날 수 있었는지는 판단할 수 없지만, 공룡에서 조류로 진화하는 과정을 밝히는데 도움이 될 ... ...
- [Future] 시금치로 심장을 만든다고?과학동아 l2017년 05호
- 아직 불확실하다”고 밝혔지만, 전문 가들은 대부분 면역거부반응이 없을 것으로 추정하는 분위기다. 머피 교수는 보도자료에서 “식물 세포를 다 제거했기 때문에 면역거부반응이 현격히 줄어들 것”이라고 밝혔다. 심진형 한국산업기술대 기계공학과 교수도 “면역거부반응은 주로 동물 내의 ... ...
- 최신 연구로 떠나는 미스터리 세계여행과학동아 l2017년 05호
- 식물을 살지 못하게 한다거나, 식물에서 나오는 독성 물질이 원인이라는 등 다양한 추정이 나왔죠. 2013년에는 ‘흰개미설’을 뒷받침하는 훨씬 구체적인 연구 결과가 나왔습니다. 독일 함부르크대 클레인 플롯벡 생물학센터 노르베르트 위에르겐스 교수는 나미브 사막을 2000km나 오가며 요정의 원을 ... ...
- [과학뉴스] 지구 최강 생명체, 물곰의 비밀과학동아 l2017년 05호
- 설탕의 일종인 ‘트레할로스(trehalose)’가 물곰이 건조 상태를 버틸 수 있게 한다고 추정했다. 건조 상태에서 잘 견디는 효모나 박테리아, 일부 선충 등에서 공통으로 트레할로스가 발견됐기 때문이다. 하지만 연구팀은 거듭된 실험 끝에 물곰의 몸에서는 트레할로스가 전혀 나오지 않으며, 유전자 ... ...
이전89909192939495969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