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주변"(으)로 총 6,588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용어 따라잡기] 혈소판, 지시약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7호
- 상태의 현황, 변화 등을 나타내는 지표라는 의미로 ‘indicator’라는 단어로 불리지요. 주변에 가장 흔하게 사용되는 지시약은 용액의 산성도에 따라 다른 색깔을 내는 산·염기 지시약이에요. 물에 녹아 수소 이온(H+)을 내놓으면 산성, 반대로 수산기(OH-)를 내놓으면 염기성인데, 해당 성질을 띠는 ... ...
-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 따뜻한 불빛이 반짝 반짝! 양초로 집 꾸미기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6호
- ~120℃ 정도로 가열돼요. 이때 공기의 무게는 1m3당 1.2kg에서 0.9kg까지 줄어든답니다. 20℃의 주변 공기보다 풍선 속 공기가 0.3kg 가벼우니, 그만큼 뜨는 힘이 생기는 거죠. 5인용 열기구의 풍선에 들어가는 공기의 양은 2800m3 정도예요. 이정도 양의 공기는 대략 840kg의 무게를 들어 올릴 수 있답니다. ... ...
- [스미스의 탐구생활] 계절마다 '낮'길이가 다른 이유는?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6호
- 밤, 그리고 계절이 생기는 이유는 바로 태A양 때문이에요. 지구는 365일에 한 바퀴씩 태양 주변을 타원 궤도로 공전하고 있어요. 한편, 23.5° 기운 자전축을 중심으로 24시간에 한 번 자전하지요. 지구에선 바로 이 공전에 의해 계절의 변화가 나타나고, 자전에 의해서 밤낮의 변화가 생겨요. 그렇다면 ... ...
- [쇼킹사이언스] 눈에서 이빨이 난다고? 고래상어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6호
- 고래상어의 눈을 컴퓨터 단층촬영(CT)으로 촬영한 뒤 이를 분석했어요. 그 결과, 홍채* 주변에 약 3000개의 작은 이빨 모양의 돌기가 돋아 있는 걸 발견했답니다. 각각의 돌기 크기는 대략 0.4mm로 매우 작았죠. 연구팀은 돌기의 모양을 가리켜 ‘떡갈나무 잎을 닮았다’라고 표현했답니다. 그렇다면 왜 ... ...
- [섭섭박사의 메이커 스쿨] 뜯고, 접고, 붙이면 몸속이 보인다? 우리 몸 탐험 지도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5호
- 우리 몸 탐험“아, 이건 세포의 모형이네요. 여기 가운데 있는 것이 ‘핵’이고, 핵 주변을 감싸고 있는 구불구불한 건 ‘소포체’라고 불리는 기관이에요.”섭섭박사님이 세포 모형을 들고 설명하셨어요. 세포는 생명체를 구성하는 기본적인 단위예요. 일반적인 세포는 1~100μm(마이크로미터. 1μm은 ... ...
- 예술이 된 우주·과학동아천문대 소식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5호
- 봤어요. 그럼 저는 이 3개의 위성이 충돌로 인해 생겼을 거라고 생각해요. 과거 지구 주변에 3개의 고리가 있고, 이 고리들이 뭉쳐져 위성이 된 거지요. 위성이 3개면 매우 좋을 것 같아요. 3개의 위성을 인공위성과 함께 GPS로 활용하면 지금보다 더 정확한 위치를 알게 될 거예요. 또, 위성에 ... ...
- [통합과학 교과서] 콩나무 타고 별 보러 슝~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5호
- 수백만에서 수십억 배 질량을 가진 초대질량블랙홀이 있다고 알려졌어요. 이 블랙홀은 주변 물질을 빨아들이는 한편, 매우 많은 에너지를 빛으로 방출해 활동은하핵이 밝은 빛을 내는 데 큰 역할을 하지요.연구팀이 제시한 새로운 표준촛불인 활동은하핵 ‘3C 84’는 제1a형 초신성에 비해 더 멀리에 ... ...
- [과학뉴스] 사람보다 1000배 빠른 로봇과학자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5호
- 실험 기기를 들고 일한다는 거죠. 이 로봇은 레이저 스캐너 등 위치를 확인하는 센서로 주변을 파악하고, 인공지능으로 판단해 필요한 기기와 재료를 다루며 화학 실험을 했어요. 로봇팔은 필요에 따라 자세를 바꾸거나, 밑에 달린 바퀴로 실험실 안을 혼자 이동했지요. 로봇은 사람이 사용하는 것과 ... ...
- [현장취재] 박쥐 탐사대, 도시 박쥐를 찾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4호
- 낮춰주는 거예요.“박쥐들은 특히 사람들이 잘 드나들지 않는 다리 밑이나 하수도 주변에 서식할 확률이 높아요. 해가 진 뒤 스마트기기에 에코미터를 꽂아 소리를 찾아보세요. 낮에는 사람이나 차가 많이 다니지 않은 다리 밑에서 낮잠을 자고 있는 박쥐를 종종 만날 수 있답니다.”대원들은 류흥진 ... ...
- [한 장의 과학] 우리가 엑스선을 볼 수 있다면 우주의 모습은 어땠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4호
- 태양의 수십만~수십억 배에 이르는 가장 큰 유형의 블랙홀로, 먼지와 천체를 빨아들이며 주변에 엑스선을 내뿜어요. 이외에도 별이 죽거나 태어날 때 관찰되는 백색왜성, 중성자별, 초신성 잔해 등이 지도에 드러났어요. 연구팀은 앞으로 3년 반 동안 엑스선 지도를 7개 더 제작하고 이를 모두 합쳐 ... ...
이전89909192939495969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