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이하
나중
뒤
아래
이후
d라이브러리
"
이래
"(으)로 총 1,260건 검색되었습니다.
3.큰폭으로 요동하는 기후
과학동아
l
1991년 08호
이는 실로 기후변동을 가져올 정도로 큰 증가라고 할 수 있다.많은 과학자들은 산업혁명
이래
로 계속 온난해지고 있는 대기와 이산화탄소의 증가를 결부시키고 있다. 그러나 적지 않은 과학자들은 그와 같은 주장은 아직 시기상조라는 신중론을 펴고 있다. 아무튼 지금과 같은 추세로 이산화탄소가 ... ...
임진강 유역에서 화산폭발?
과학동아
l
1991년 08호
정도 밝혀진 곳이 있다. 임진강 유역의 여러 구석기유적이다. 1978년에 처음으로 알려진
이래
, 수많은 유적이 발견된 임진강 유역은 가히 구석기유적의 보고인 것이다.만약 이 글을 읽는 독자중 문산에서 조금 동쪽에 있는 장파리란 곳에서 시작해 임진강과 한탄강을 따라서 상류로 거슬러 올라가 ... ...
소프트웨어산업 내일 여는 젊은 프로그래머들
과학동아
l
1991년 08호
피해를 당하면서 이에 대한 관심을 가지게 됐다. 본과 1학년이던 82년 컴퓨터를 처음 접한
이래
의대생으로는 드물게 컴퓨터지식을 갖고 있던 그는, 생물체가 아닌 기계에 침투한 이색 바이러스에 호기심을 느끼고 감염된 프로그램을 분석한다. 몇달후 같은과 후배가 바이러스 피해를 호소하자 그는 ... ...
남북의사들, 원폭피해자 구제에 함께 나섰다
과학동아
l
1991년 08호
이 지역 근처의 세미팔라틴스크(Semipalatinsk)라는 곳은 소련정부가 원자폭탄을 개발한
이래
1년에 7, 8회씩 원폭투하실험을 하는 곳이기도 하다.당초 총회 참석자들이 이 세미팔라틴스크라는 곳을 방문한 이유는 원폭실험장을 보고 그 주변에 사는 사람들의 방사능피해 정도를 알아보려는 것이었는데, ... ...
낙수가 만들어낸 구혈과 폭호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어느 정도 규모를 갖춘 폭포의 발달이 미약한 편이다. 한반도는 대체로 육지가 생성된
이래
장구한 세월 동안 풍화와 침식작용이 계속돼 기복이 비교적 적게 나타나는 노년기 지형을 이루고 있어 규모가 큰 폭포가 생성되기에는 불리한 조건이다.그러나 장백산맥과 마천령산맥이 합류하는 곳에 ... ...
세계 과학기술력의 판도가 바뀌고 있다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머신(IBM)은 기술 전분야에 걸쳐 지난 80년 이후 일본 히타치사(社)에 밀려왔는데 그
이래
양자간의 격차는 점점 더 커지고 있는 것이다.CHI의 회장인 프랜시스 내린은 한 인터뷰에서 이 분석결과가 '공포스러울 지경'이라고 밝힌다."일본은 그들의 활동범위를 기술 전 분야로 확대하고 있다. 일본의 ... ...
여름휴가를 차안에서 망치지 않으려면···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이 약들의 주성분은 스코폴라민이다."1974년 알자사(社)가 스코폴라민의 경피 DDS를 개발한
이래
피부를 통한 약물투여가 큰 관심을 끌고 있다. 인간의 몸중에서 가장 표면적이 큰 곳이 피부이므로 이 경피 DDS에 대한 연구는 앞으로 더욱 가속화될 것"이라고 서울대 약대 심창구교수는 예상하고 있다 ... ...
가장 깊은 호수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동물체들을 보호하는 일은 매우 중요하다. 호숫가를 따라 산업체들이 있긴 하지만 1971년
이래
소련은 그러한 산업체들을 엄격히 통제하고 있다.소련 과학자들은 바이칼 호수에 특별한 관심을 가지고 있으며 오염을 야기시킬 그 어떠한 상황에도 지속적으로 반대하고 있다.An American-Soviet team led by Ray ... ...
화성에 있음직한 생명체 지구에서 발견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다시 불을 붙일 듯 미국의 우주선 바이킹호가 화성에서 생명체를 발견하는데 실패한
이래
15년이 흘렀다. 그러나 아직도 일부 연구원들은 희망을 버리지않고 있다. 그들은 바이킹호가 탐험하지 않은 곳에 유기체가 존재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만약 그들의 기대대로 유기체가 존재하고 있다면 그 ... ...
정말 사진현상소를 사라지게 할까?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속도로 일반 소비층으로 번져 나갈 전망이다. 1839년 프랑스의 타게르가 사진을 발명한
이래
은염사진은 기나 긴 세월을 군림해 왔으나 '전자스틸카메라'의 등장으로 1백50년 만에 처음으로 도전을 받게 된 것이다.마비카 쇼크지금부터 50여년 전 오스트리아 특허청에 자기(磁氣)로 화상을 기록 ... ...
이전
89
90
91
92
93
94
95
96
9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