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성공한 사람"(으)로 총 4,281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정보의학시대 논쟁, DNA 공공 데이터베이스과학동아 l2017년 02호
- 열린 ‘JP모건 헬스케어 콘퍼런스’에서 일루미나의 최고경영자 프란시스 데소우자는 한 사람의 DNA를 한 시간 안에 해독하는 기계를 소개하며 “이제 100달러(약 12만 원)에 유전체를 해독할 수 있는 시대”라고 말했다.헬릭스가 계획한 DNA 앱 스토어를 이용하면 20달러(약 2만3000원)에 자신이 특정 ... ...
- Part 3. 이런 깜짝 놀랄 닭이 있나!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2호
- 바이러스에 오염된 냉동 닭고기나 계란 등을 통해서 퍼지기도 해요. 또 감염 지역을 방문한 사람이나 자동차 등에 의해서도 퍼진답니다.Q 조류독감이 사람에게 질병을 일으킬 수도 있나요?우리나라에는 2003년부터 여섯 차례에 걸쳐 조류독감이 유행했지만, 아직까지 사람이 걸린 적은 없어요. ... ...
- [Issue]‘적정기술은 변신 중’과학동아 l2017년 02호
- 수 있다. 최근에는 첨단 정보통신기술(ICT)이 융합된 다양한 기술이 활용되고 있다.현재 점점 많은 개발도상국 사람들이 ICT와 스마트폰을 이용하고 있다. 미국의 퓨리서치센터는 2016년 2월, 지난 2년 동안 신흥국과 ... ODA)사업단장은 “이런 상황에서 스마트폰과 첨단 ICT를 이용한 적정기술은 문제가 ... ...
- Part 1. 사진, 우주 관측의 새 시대를 열다수학동아 l2017년 01호
- 들어와 상이 맺히기 때문이다. 고대부터 많은 사람이 눈에 보이는 모습 그대로 남길 수 있는 방법, 즉 사진을 찍을 수 있는 방법을 고민했다. 최초로 성공한 사람은 프랑스의 발명가 니세포어 니엡스로 알려져 있다. 니엡스는 빛을 받으면 색이 변하는 ‘비투먼’이란 물질을 이용했다.그는 1826년경 ... ...
- [Culture] 11분의 1과학동아 l2017년 01호
- 멋진 상영물을 틀어주는데 사람들은 왜 오지 않을까요? 저도 ... 나온 NHT의 텐트 아래에서 그 사람들이 케이크를 먹으며 ... 항상 열한 번째로 말하는 사람이어서. 오빠 11의 이름은 ... 기준 오빠였어요. 지질학과 사람이었고, 고생물학자가 꿈이라 ... 좀처럼 말다툼을 하지 않는 사람 ...
- part 2. 전선 없는 세상수학동아 l2017년 01호
- 친구와 만나기로 한 10분 전, 배터리가 방전되어 휴대전화기가 꺼져버렸다면? 명절에 할머니 댁에 가는 길, 꽉 막힌 도로 위에서 자동차 계기판에 기 ...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수학과 전기의 짜릿한 만남Part 1. 전기를 만들어낸 사람들part 2. 전선 없는 세상Part 3. 여전히 수학자가 ... ...
- [Issue] 미래지진을 찾아 바다 밑을 들추다과학동아 l2017년 01호
- 통제할 수도 없는 엄청난 힘이 지각에 숨어 있다가 폭발했다는 사실은 전세계 사람들을 공포에 몰아 넣었다. 과연 이런 힘이 지각의 어느 위치에 모이고, 어떤 ... 긴 역사를 퍼즐 맞추듯 맞춰가는 재미가 쏠쏠하기 때문이다. 전공이 다른 사람들과 토론하다보니 지식의 폭이 넓어지는 것은 당연하다. ... ...
- [Future] 미래 바꿀 7대 기술은 무엇?과학동아 l2017년 01호
- 언어만을 사용해 사람과 소통한다. 앞으로는 ... 시각 인지 기능을 갖춰, 사람과 주변 환경을 인식해 좀 ... 달고 제스처를 하면서 사람과 상호작용하며 감성과 ... 인지, 행동 능력을 갖춰 사람의 마음을 파악할 수 있을 ... 자율주행은 결국은 사람보다 뛰어난 수준이 될 ... 한다. 20 ...
- [Career] 줄기세포 배달하는 초소형 로봇 탄생과학동아 l2017년 01호
- 들여다보세요. 착한 사람의 눈에는 보입니다.”최홍수 DGIST 로봇공학전공 교수가 농담처럼 말했다. 눈을 ... 마이크로 로봇을 연구하기 시작하면서 유 교수에게 먼저 손을 내밀었다. 두 사람의 로봇 연구는 그렇게 시작됐다.처음 연구를 시작한 2010년은 물론 현재까지도 ... 전달할 수 있게 될 ... ...
- Part 1. 3진법 소자, 하드웨어 인공지능을 꿈꾼다과학동아 l2017년 01호
- 컴퓨터로 하여금 주어진 문제를 풀어 답을 내리는 것을 넘어 유추를 하는 등 사람의 사고에 가깝게 만들 수 있다”고 말했다. 예컨대 현재의 컴퓨터는 주어진 논리대로 전류 신호를 연산한 뒤 결과를 참 아니면 거짓으로 출력한다. 연산 결과가 0이거나 1일 때만 답을 내릴 수 있다. 0.5나 0.7은 답을 ... ...
이전89909192939495969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