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성취
출세
달성
완수
공로
훈공
공적
d라이브러리
"
성공
"(으)로 총 6,471건 검색되었습니다.
바이러스 확진부터 역학조사까지...질병관리본부 르포
과학동아
l
2020년 03호
코로나19 확진 환자의 기도에서 얻은 검체에서 바이러스를 분리해 대량증식하는 데
성공
했다. 정윤석 질병관리본부 바이러스분석과 연구관은 “바이러스를 배양해 항체 검출 검사법 개발뿐만 아니라 치료제 개발과 백신 후보 물질을 발굴하는 데 활용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직접 접촉했나, ... ...
[SF에 묻는다] A.I. vs. 소프트웨어 객체의 생애 주기
과학동아
l
2020년 03호
경험을 바탕으로 훈련 프로그램을 개발합니다. 그리고 디지언트는 시장에서 큰
성공
을 거둡니다.디지언트가 들어갈 수 있는 로봇 제품도 나오면서 일부 디지언트는 현실 세계에서도 돌아다닐 수 있게 됩니다. 디지언트들은 현실 세계를 견학하며 가상 세계에서 느끼지 못했던 자극을 신기하게 ... ...
[동아리탐방] 수학의 본질을 알고 싶으면 드루와! 연수고등학교 SSAM
수학동아
l
2020년 03호
중에 열린 인천수학탐구발표대회에서 이 연구 내용을 발표했고 체험부스까지
성공
적으로 운영해 인천교육감 동상을 받았다.한 교사는 “국내에서 만든 알지오매스를 학생들에게 알려 수학 공부에 도움을 주고자 노력했다”며, “전문 강사를 초청해 학생들과 함께 알지오매스를 배웠다”고 ... ...
[과학뉴스] 1600:1 경쟁률 뚫고, NASA 우주비행사로 선발된 한국계 미국인 ‘조니 김’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03호
이용한 비행 훈련, 러시아어 숙련 훈련, 황무지에서 살아남는 훈련 등의 필수 기초훈련을
성공
적으로 마쳤어요. 그리고 마침내 NASA에서 처음 실시한 우주비행사 아르테미스 프로그램을 졸업했지요.NASA는 선발된 우주비행사들을 우선 국제우주정거장에 보내 훈련한 뒤, 2024년으로 예정된 달 탐사에 ... ...
[한페이지 뉴스] 로봇으로 지름 0.3mm 림프관 수술 첫
성공
과학동아
l
2020년 03호
유방암 수술 후 림프가 조직 내에 비정상적으로 많이 고인 림프부종 환자를 수술하는 데
성공
했다. 수술용 마이크로 로봇 시스템을 실제 환자 수술에 적용한 건 이번이 처음이다. 림프관과 혈관은 지름이 0.3~0.8mm로 매우 작아 다빈치로봇 등 일반적인 외과용 수술 로봇으로는 수술이 불가능했다 ... ...
[과학동아X긱블] 마동석도 들 수 없는 페인트통
과학동아
l
2020년 03호
사용했습니다. 준비한 철판에 딱 달라붙어서 떼어 내기 어렵네요. 자성 테스트는
성공
입니다. 전자석 힘이 약해진 이유를 찾아라 이번에는 리모컨을 만들어 보겠습니다. 티 나지 않게 리모컨을 주머니에 넣고 전자석을 켰다 껐다 하면 상대방이 감쪽같이 속겠죠.아두이노 보드와 블루투스 모듈이 ... ...
[DGIST] 신형 나노입자로 비정상 세포 정조준
과학동아
l
2020년 03호
EGFR)가 단일 분자 수준에서 어떻게 움직이는지 세계 최초로 관찰하는 데
성공
했다. EGFR은 유전자에 변이가 생기면 정상세포를 암세포로 바꾸고 암세포의 성장을 돕는 대표적인 암 표지인자다. 이 연구결과는 화학 분야 최고 학술지인 ‘미국화학회지(JACS)’ 2018년 10월 31일자에 실렸다. doi: 10.1021/jacs. ... ...
[한페이지 뉴스] 알루미늄보다 가볍게! 금 물성 내 맘대로
과학동아
l
2020년 02호
취리히연방공대 재료과 교수팀은 라텍스를 이용해 알루미늄보다 가벼운 금을 만드는 데
성공
했다. 연구팀은 금 이온과 라텍스, 아밀로이드 등을 균일하게 섞은 혼합액에 염을 분사해 겔 형태로 만들었다. 이후 물을 에탄올로 대체한 뒤 압력 챔버에서 이산화탄소와 반응시켜 에어로겔처럼 다공성 ... ...
암흑물질의 비밀 밝힐 액시온의 기적
과학동아
l
2020년 02호
현재 알프스 2(ALPS II)로 업그레이드가 진행 중이다. 위상절연체로 액시온 구현
성공
액시온 연구가 전 세계로 확산되면서 액시온 검출방법도 갈수록 다양해지고 있다. 독일 막스플랑크연구소 연구팀은 표면에만 전류가 흐르고 내부는 절연체인 위상절연체(topological insulator) 안에서 액시온이 ... ...
[융복합 파트너@DGIST] 뉴바이올리지전공, 잘 고른 항체로 새로운 항암제 만든다
과학동아
l
2020년 02호
분리했다. 예 교수팀은 이 기법으로 백혈구 증식인자(G-CSF)의 작용제 항체를 분리하는 데
성공
했다. G-CSF는 백혈구를 증식시키는 생리활성 단백질로 대사성 질환이나 염증 치료에 효과가 있다. 연구팀은 G-CSF의 작용제 항체를 분리한 뒤 기능을 조사한 결과 골수세포가 신경세포로 분화하도록 ... ...
이전
89
90
91
92
93
94
95
96
9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