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선택
선발
결정
발췌
발탁
취사
지정
d라이브러리
"
선정
"(으)로 총 1,996건 검색되었습니다.
1987년 살바도르 몬카다 박사의 일산화질소의 근육이완 효과 발견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사실도 밝혀졌다. 과학저널 ‘사이언스’는 1992년 일산화질소를 ‘올해의 분자’로
선정
하기도 했다.그 뒤 혈관의 상피세포에서 만들어진 일산화질소가 근육의 이완을 유발하는 과정도 상세하게 밝혀졌다. 일산화질소는 근육세포 안에서 구아노신삼인산(GTP)을 고리형구아노신일인산(cGMP)으로 ... ...
수학의 즐거움 이동통신 이끌다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대한 세계적 업적을 인정받았기 때문이다. 또 미국전기전자학회(IEEE)의 석학회원으로
선정
되기도 했다. IEEE 석학회원은 전체 회원의 0.1%에게만 자격이 부여되는 최고 등급회원이다. 연구개발 업적뿐만 아니라 학회와 사회의 발전에 큰 기여를 한 사람만이 석학회원이 될 수 있다.이 교수는 연구실 ... ...
한눈에 보는 원자폭탄의 탄생
수학동아
l
2011년 01호
일반부 최우수상에 윤영원 서울대 시각디자인학과 연구원(34)의 ‘원자폭탄 연대기’가
선정
됐다. 이 작품은 원자폭탄의 아이디어를 처음 생각하고실제 폭탄을 만드는 과정을 당시 일어난 다양한 사건과 연결해 시각적으로 표현했다. 심사위원인 지상현 한성대 미디어디자인콘텐츠학부 교수는 ... ...
Part3. 모노폴_극이 하나뿐인 자석
과학동아
l
2011년 01호
나타나는 모노폴 현상을 확인했다. ‘사이언스’는 이 발견을 2009년 10대 과학성과로
선정
했다. 디랙이 그렇게 기다리던 모노폴이 스핀 아이스에 숨어있었던 셈이다.그러나 이 모노폴은 물리학자들이 그동안 찾아 헤매던 그 모노폴은 아니다. 서로 독립적으로 움직이지만 여전히 한 결정 안에 N극과 ... ...
과학동아, 2010년 올해의 생명과학보도상 수상
과학동아
l
2011년 01호
과학동아가 생화학분자생물학회가 수여하는 제1회 ‘올해의 생명과학보도상’을 수상했다. 시상식은 지난해 12월 8일 서울 JW메리어트호텔에서 열렸다. 강창원 생화학분자생물학회 회장, 허두영 동 ...
선정
한 2010년 ‘올해의 한국과학저술인협회상’ 과학언론 부문에도
선정
됐다 ... ...
사이언스, 21세기 10년간 ‘10대 연구’
선정
과학동아
l
2011년 01호
과학저널 ‘사이언스’가 지난 10년간 과학계의 최대 연구성과 10가지를
선정
해 발표했다. 먼저 생물학 분야에서 ‘인간 게놈의 90%를 차지하는 쓰레기(junk) DNA의 중요성’을 규명한 사실을 꼽았다. 2004년 미국 캘리포니아 공동유전체연구소 에드워드 루빈 박사팀은 쓸모없어 보이는 쓰레기 유전자가 ... ...
한눈에 보는 원자폭탄의 탄생
과학동아
l
2011년 01호
초등부 최우수상에는 김미주 양(서울 은로초 4학년)의 ‘친환경 개미자동차’가
선정
되는 등 총 27점(일반부 11점, 중고등부 10점, 초등부 6점)이 뽑혔다. 공모전에는 모두 470여 작품이 접수됐다.동아사이언스가 주최하고 동아일보 후원, LS가 협찬한 이번 공모전은 ‘과학을 보여주는 창의적 ... ...
내가 만든 사이다의 맛
과학동아
l
2011년 01호
목적 중 하나입니다. 그래서 다인학교는 2010 사이언스메세나 후속 지원기관으로
선정
돼 내년까지 수업할 수 있는 ‘딱과’를 받게 됐습니다.이번 수업에서는 사이다를 만들었습니다. 사이다 만들기는 실험과정이 까다롭고 준비물도 많아 다인학교에서는 그동안 실험 할 엄두를 내지 못했습니다. ... ...
Part 2. 수학올림피아드와 슈퍼스타K는 닮았다
수학동아
l
2011년 01호
자기소개서와 추천서 등의 서류를 보낸 학생에 대해 사정관의 심사를 거쳐 800여 명이
선정
된다. 이들 중 4주간의 1차 온라인 교육에서 성적이 좋은 500여 명이 2차 시험을 치를 수 있는 자격을 얻는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수학스타 M 선발대회Part 1. 수학천재 H군, 올림피아드를 만나다 ... ...
황당맨의 취재수첩
과학동아
l
2011년 01호
#1세계에서 가장 얇은 제올라이트 개발세계 최초로 2나노미터(1nm=10억 분의 1m) 두께의 판(版)형 제올라이트 합성에 성공한 유룡 KAIST 화학과 교수를 취재하기 위해 황당맨이 만났다. 유 교수는 2007년 ... 한국연구재단은 김빛내리 교수를 한국 과학의 미래를 이끌 국가과학자로
선정
했다 ... ...
이전
89
90
91
92
93
94
95
96
9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