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분야"(으)로 총 7,602건 검색되었습니다.
- 핵융합 에너지 또 다른 융합으로 완성하다과학동아 l2020년 12호
- 위한 기술 개발까지 고려하면 갈 길이 바쁘다. 핵융합 에너지를 상용화하기 위해 다양한 분야의 연구자들이 힘을 합치는 이유다. 핵융합 최대 난제 ‘난류’ , 슈퍼컴퓨터로 분석핵융합 에너지를 연구하는 데 가장 중요한 장비는 단연 KSTAR와 ITER 등 장치들이다. 하지만 이것만으로는 한계가 있다. ... ...
- [융복합파트너@DGIST] 스테레오 카메라로 자율주행차 가성비 높인다과학동아 l2020년 12호
- 사이에 일어난 일이다.시각인지 기술이 워낙 빠르게 발전하는 만큼, 이를 활용할 수 있는 분야도 급속도로 늘고 있다. 가상·증강현실(VR/AR)이 대표적이다. 오늘날 증강현실 게임 ‘포켓몬 고’에서는 피카추가 화면에 등장하는데, 여기에 시각인지 센서로 얻은 공간정보를 적용하면 피카추가 책상 ... ...
- [일본유학일기] 시험공부 도와주는 도쿄대의 비밀 무기과학동아 l2020년 12호
- 시케푸리는 내용이 알찬 것은 물론이고, 굉장히 재밌다. 전자과에는 대대로 오타쿠(한 분야에 열중하는 사람을 이르는 말)가 많았는지, 당시 유행하던 애니메이션을 패러디한 요약 노트를 흔히 볼 수 있다. 요약 노트 맺음 글에 “이번 시험 기간은 ‘코미케(コミケ·1년에 2번 열리는 세계 최대 ... ...
- [한페이지 뉴스] 뉴스페이스 코리아 업리프트, 우주 산업의 ‘별’ 모였다과학동아 l2020년 12호
- 대표는 한국의 우주 산업이 출발점에 서 있다고 강조했다. 동아사이언스와 우주항공 분야 스타트업 전문 액셀러레이터인 ‘스타버스트’가 공동 주최하고, 국제 우주 스타트업 모임 ‘스페이스마피아’와 함께 주관한 이번 행사는 11월 12~13일 서울 블루스퀘어에서 열렸다. ‘뉴스페이스’는 과거 ... ...
- 2020 이그노블 팩트체크과학동아 l2020년 12호
- 수, 무엇이 더 많을까? A. 별의 수 최솟값과 지구상의 모래알 수는 비슷해 천문학 분야 책을 보면 우주에 있는 별(항성)의 수를 지구에 있는 모래 알갱이(모래알) 수와 비교해 설명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때 우리가 먼저 명확하게 정해야 할 것이 있습니다. 바로 우주를 구분하는 경계를 ... ...
- [과동 키즈] 과학과 소설 두 세계를 가로지르는 일 '김초엽 SF작가'과학동아 l2020년 12호
- 딱 한 분야만 깊이 파고들 자신이 없는 나에게 SF작가는 무척 좋은 직업이다. 여러 분야의 과학책과 기사들을 마음껏 읽으면서 소설을 구상하고, 과학자들이 쓴 논문과 보고서에서 약간의 세부내용을 가져온다. 현실보다 과장된 상상적 과학과 영웅 같은 과학자들의 이야기를 쓴다. 과학의 현실에서 ... ...
- [기획] 폴리매스를 떠들썩하게 만든 사람들수학동아 l2020년 12호
- 독일 수학자 카를 가우스는 정수론, 대수학, 기하학, 물리학, 통계학 등 여러 분야에서 업적을 남겼는데요, 가우스를 기리는 상의 수상자는 7만 7739개의 댓글 중 5115개의 댓글을 단 박준혁 회원입니다. 박회원은 주로 ‘함께 풀고 싶은 문제’에서 다른 회원이 낸 문제에 풀이 댓글을 달거나 자신이 ... ...
- 코로나19 , 1년 과학이 밝힌 숫자과학동아 l2020년 12호
- 논문을 가장 많이 발표한 국가는 미국(5033개), 중국(3511개), 이탈리아(2590개) 등이다. 연구 분야별로는 의학(1만 7578개), 생화학·유전학·분자생물학(2065개), 면역학·미생물학 (1722개)순으로 많았다. doi: 10.1007/s11192-020-03675-3 전문가 검토 과정 없이 논문을 게재하는 바이오아카이브(bio ...
- [인터뷰] 꿈의 에너지에서 현실의 에너지로 "선진 기술로 핵융합 상용화 주도할 것"과학동아 l2020년 12호
- 또 수많은 과학 분야 중 핵융합은 한국이 세계 최정상을 차지하고 있는 몇 안 되는 분야 중 하나입니다. 우리나라가 보유한 KSTAR는 현존 최고 수준의 핵융합 연구장치로, KSTAR를 이용해 공동연구를 하고자 전 세계에서 수많은 연구 제안이 쏟아지고 있습니다. 앞으로 주도적인 연구를 통해 ... ...
- 세계 상위 0.1% AI 고수를 만나다 “데이터가 있는 곳이면 어디든, AI가 있습니다”과학동아 l2020년 12호
- 덧붙였다. “이제는 ‘너희가 왜 AI를 연구해?’라는 질문은 옳지 않은 것 같아요. 모든 분야에서 해야 하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기존에는 다른 방식으로 풀던 것을 AI로 풀어 보는 거죠. 물론 다 잘 되진 않겠지만, 더 진보할 수 있는 것들이 많기 때문에 수많은 시도가 이뤄지고 있다고 봅니다 ... ...
이전89909192939495969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