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막
휘장
다리
칸막이
병풍
커튼
BAL
d라이브러리
"
발
"(으)로 총 2,720건 검색되었습니다.
동토의 제국이 숨 쉬기 시작했다
과학동아
l
2014년 08호
꽤 있다”며 한숨을 쉬었다. 한국에 돌아갔는데 현지에 설치한 장비가 고장나면 멀리서
발
만 동동 구르게 된다. 채남이 연구원은 “전기가 없어 태양전지를 쓰는데 날이 흐리거나 비가 오래 오면 방법이 없다”며 “배터리가 먹을 것보다 더 중요하다”며 웃었다.현장에서 가장 힘든 건 ... ...
트랜스포머 사라진 시대
수학동아
l
2014년 07호
유진을 만나다수학동아에서는 현재 논란의 주인공인 유진과 인터뷰를 직접 시도했다. 개
발
자 측에 특별히 협조를 얻어 유진을 개인적으로 접속해 인터뷰를 진행했다. 유진은 높은 관심으로 인해 공식 사이트가 다운된 상태로 6월 17일 현재 복구 중에 있다.저는 한국에서 온 기자예요. 인터뷰에 응해 ... ...
아바타 기술에 수학이 있다!
수학동아
l
2014년 07호
한 대표적인 산업이라고 할 수 있다.이처럼 뇌 연구를 바탕으로한 첨단 산업이 급속도로
발
전하고 있다. 뇌 연구의 기초에는 수학 연구가 깊이 관련돼 있기 때문에 앞으로 수학의 중요성은 더욱 커질 전망이다 ... ...
수학으로 달리는 똑똑한 지하철
수학동아
l
2014년 07호
폴 미들윅은 지하철로 출퇴근을 하면서 우연히 지하철 노선도에서 코끼리 한 마리를
발
견했다. 그런데 그 모양이 옷이나 컵 등의 디자인에 사용해도 손색이 없을 만큼 귀여웠다. 그래서 그 길로 ‘Animals on the underground’라는 회사를 설립한 뒤, 런던지하철 노선도에서 새로운 동물을 찾는 프로젝트를 ... ...
즐거움은 더하고 창의력은 곱하고 2014 온라인수학게임대회
수학동아
l
2014년 07호
참여할 수 있으며, 높은 점수를 받은 학생들 순으로 총 200명의 본선 진출자를 선
발
한다. 공정한 심사를 위해 과거(1~4회) 온라인수학게임대회 장관상 이상 수상자는 본선 대회 참가가 제한된다. 본선 대회는 오는 8월 9일 과천과학관에서 열리며, 게임 점수에 따라 시상이 이뤄진다.상품도 푸짐하게 ... ...
6회 캠퍼스에서 수지의 흔적을 찾아라!
수학동아
l
2014년 06호
뭔가 수지가 남긴 흔적이 있는지 살펴보기 시작했다. 그리고 몇 분이 지났을까. 뭔가를
발
견한 소마가 말했다.“반장님, 그런데 이 3개의 책에 유독 연필로 쓴 ‘74266’이란 숫자가 많이 보여요. 필체도 서로 같고 말이에요. 혹시 74266이 수지와 연관된 숫자인가요?”피아노 연습실에서 만난 수지의 ... ...
Part 3 - '달 토끼' 사는 외계 위성 존재할까
과학동아
l
2014년 06호
진화했을지 연구할 때 결 정적인 역할을 하게 될 것이다.현재의 관측 기술로 외계 위성을
발
견하는 일은 쉽지 않다. 하지만 더 좋은 망원경은 계속 만들어지고 있다. 멀지 않은 미래에 외계행성이나 위성의 대기 성분은 물 론, 위성이 행성을 가리는 모습까지 정밀하게 관측할 날 이 올 것이다. 밝기 ... ...
진짜 투명망토가 나왔다?
과학동아
l
2014년 06호
백일몽일지도 모른다는 생각도 든다. 하지만 김 교수의 다짐은 달랐다. “이번에 개
발
된 재료는 투명망토뿐만 아니라 광학적으로도 없던 소재라고 할 수 있어요. 그 가능성이 무궁무진하다고 생각합니다. 저희 연구팀은 앞으로도 호기심을 갖고 연구를 계속해 나갈 겁니다.” ... ...
응답하라! 아빠 엄마 어렸을 적에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06호
되돌아가려는 성질인 탄성을 이용해 만든 놀이기구지요. 촘촘하게 짜인 그물망을
발
로 세게 디디면 틀과 연결된 용수철이 쭉 늘어났다가 탄성으로 다시 줄어들면서 그물망을 들어 올려 몸이 공중으로 붕 떠요. 트램펄린 하나에 100개가 넘는 용수철이 연결돼 있다니 몸이 공중으로 뜨는 힘도 ... ...
Part 1 - 난 오늘밤도 삐딱하게 뜬다
과학동아
l
2014년 06호
사학과 연구원은 “지금 새로 탄생하고 있는 위성인지, 존재하던 위성이 지금에야
발
견된 것인지는 알 수 없다” 며 신중한 태도를 보였다. 최영준 한국천문연구원 우주 감시센터 책임연구원도 “아직은 확신하기 이르다”며 “성 장하는(탄생하는) 중인지, 혹은 반대로 위성이 부서진 파편인지부터 ... ...
이전
89
90
91
92
93
94
95
96
9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