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못"(으)로 총 3,108건 검색되었습니다.
- 달콤한 소주 전성시대과학동아 l2015년 08호
- “한 번 마셔보고 판단해 보세요.” 길쭉한 유리병 두 개에는 각각 투명한 액체와 반투명한 자주색 액체가 담겨 있었다. 쌀로 직접 빚은 ... 뿐”이라고 말했다. 과일 소주가 달콤하다고 정신 놓고 먹다가는 다음 날 일어나지 못할수도 있다는 얘기다. 언제나 술은 적당히 즐기는 게 중요하다 ... ...
- [생활] 이종필 교수와 백북스 수학아카데미 사람들 우리도 아인슈타인이 될 수 있을까요?수학동아 l2015년 08호
- 근데 난 그런 게 없어. 그냥 재미있어서 하는 거야. 내가 뭐 방정식을 줄줄이 풀고 그러진 못해요. 근데 위대한 학자의 사고 과정이 보이고, 뭔가 그 안에서 명쾌한 답을 유도해 나가는구나 싶은 느낌이 드는 거야. 어려운 것보다 재미있는 게 더 커진 거지. 또래 친구들이 관심 있어 하는 명상이며, ... ...
- 페이스북 얼굴인식 기술, 유럽선 “허용 못 해”과학동아 l2015년 08호
- 인공지능(AI) 기술의 최신판이라는 페이스북 얼굴인식기술이 유럽에서 또 한 번 거부당했다. 페이스북은 지난 6월 얼굴인식 기능을 활용한 사진공유 애플리케이션인 ‘모멘츠(사진)’를 공개했다. 모멘츠는 사진을 업로드하면 등장인물의 얼굴을 인식해 그들끼리만 공유할 수 있게 하는 서비스다. ... ...
- 이지스함 레이더를 야구에 가져오다, 스탯캐스트과학동아 l2015년 08호
- 그런데 의문이 있다. 정우람은 공이 그렇게 빠른 투수는 아니다. 직구가 시속 140km에 못 미친다.몇몇 기사에서는 공을 최대한 앞으로 끌고 오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타자가 대응할 시간이 적었다고 분석했다. 공의 회전수가 많아 위력적이라는 이야기도 있었다. 하지만 트랙맨으로 분석해본 결과 ... ...
- PART3. 쓰레기 RNA가 암 정복한다과학동아 l2015년 08호
- 나머지 99%의 DNA는 단백질을 만들지 못하는 ‘쓰레기 DNA’다. 하지만 2012년 9월 단백질을 못 만드는 쓰레기 DNA라고 할지라도 80% 가량은 전사가 된다는 연구결과가 30여 개 학술지에 연달아 발표되면서 과학자들의 생각이 바뀌었다. 쓰레기 DNA가 정말 필요 없는 것이라면 굳이 전사를 할 필요가 없다. ... ...
- 성곽 길 따라 즐기는 수학데이트수학동아 l2015년 07호
- 정약용의 위대한 생각을 다 읽었다고 볼 수 없어요. 한 가지 더! 우리가 미처 상상치 못한 또 다른 생각이 숨어 있기 때문이랍니다. 그것은 바로, 이 구조물(치) 사이의 간격이에요. 오른쪽의 그림에서 구조물 사이의 간격이 일정해 보이지 않나요? 어떤 기준으로 정했을까요?잠시 정약용이 되어 ... ...
- 평면적이지 않은 평면이야기수학동아 l2015년 07호
- 생각하면, 왜 그렇게 보이는지 알 수 있어요.사실 그동안 2차원물질은 별 관심을 받지 못했어요. 반도체에 쓰이는 실리콘 같은 3차원물질이 워낙 훌륭했기 때문이죠. 그런데 이젠 상황이 달라졌어요. 드디어 2차원 물질만의 장점이 필요한 시대가 왔기 때문이죠.투명하고 휘는 물질이 필요해종이처럼 ... ...
- 세월호 인양7가지 질문과학동아 l2015년 07호
- 골치다. 세월호가 바닥에 도로 떨어져 부서질 수도 있고, 최악의 경우 크레인이 중량을 못 버티고 넘어질 수도 있다. 세월호 TF에서 가장 걱정하고 있는 부분도 이런 상황이다. 기술검토보고서 325쪽 중 절반가량을 여기에 할애했을 정도다. 노명일 서울대 조선해양공학과 교수팀은 인양점을 어디에 ... ...
- 놀이하는 동물, ‘꽃보다 악어’과학동아 l2015년 07호
- 자신의 피부를 뜯는 자해행위를 하기 시작했다. 당황한 사육사들이 자해행위를 하지 못하게 막으려고 했지만, 자라의 고집이 워낙 세서 쉽게 막을 수가 없었다. 피부가 뜯겨나간 부위에는 세균감염이 일어났고, 40년간 건장했던 피그페이스의 건강은 급속도로 악화됐다.결국 담당사육사는 ... ...
- PART 2 두 번의 암흑기와 세번째 봄과학동아 l2015년 07호
- 컴퓨터공학과 교수는 “사람이 인공지능에 비해 잘하는 게 없는 것 같지만, 사실 사람은 못하는 게 없다”며 “지금도 이런 특성을 기계로 구현하기가 쉽지 않다”고 말했다. 이상욱 한양대 철학과 교수는 “20~30년 내 인간을 뛰어 넘는 초지능이 나온다고 생각하는 학자가 많아졌지만, 어디까지나 ... ...
이전89909192939495969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