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전체
전부
온갖
모두
죄다
전반
전
d라이브러리
"
모든
"(으)로 총 10,964건 검색되었습니다.
우주 유망 직종 TOP4 짚어드립니다
과학동아
l
2022년 01호
지구를 뒤덮을 예정이죠.미국 아마존은 지구 저궤도에 3236기의 위성을 올려 전 세계
모든
곳에 초고속 인터넷을 제공하겠다는 ‘프로젝트 카이퍼’를 추진하고 있습니다. 이를 위해 올해 말 첫 번째 인터넷 위성을 발사할 계획을 세웠습니다. 이에 앞서 2018년 일론 머스크 미국 스페이스X 최고경영자 ... ...
[네, 그래서 이과가 일해봤습니다] 무선 샤워기를 만들어봤습니다
과학동아
l
2022년 01호
자체적인 자기력을 유도하는 성질이 있습니다. 이를 이용하면 이론상으로 지구상에 있는
모든
물체는 적절한 자기장 아래에서 띄울 수 있습니다. 실제로 개구리나 물방울 등 다양한 물체를 띄워본 실험 영상도 있죠(QR코드 링크 참조).자 그러면, 일단 수도꼭지에서 나온 물이 욕실 위에 둥둥 떠 ... ...
[인터뷰] “훌륭한 연구원을 넘어 독보적인 리더로”
과학동아
l
2022년 01호
모성보호실을 만들다그의 한 걸음은 국방과학연구소 내 여러 변화를 가져왔다. 연구원의
모든
여성을 위한 여성 개발회를 설립해 여성들의 목소리를 정책에 반영하는 기반을 구축했다. 한국여성과학기술인육성재단(WISET)과 협력해 최초로 연구소에 모성보호실을 만들었다. “어느 날 화장실에서 ... ...
[이달의 책] 궁극의 이론을 향한 물리학자의 여정
과학동아
l
2022년 01호
M이론에 이르기까지 인간이 우주를 더듬더듬 읽어나가는 과정을 추적한다. 그 속엔 한때
모든
것을 설명했다고 믿었던 인간의 아둔함과 제2의 코페르니쿠스를 두려워하지 않았던 담대함이 공존한다. 이론물리학의 과거와 현재, 미래를 총망라한 책이지만 두려워할 필요는 없다. 이 책은 궁극의 ... ...
[수학뉴스] 우주의 정보량을 알기 위한 수학자의 도전
수학동아
l
2022년 01호
입자 수를 구했어요. 관측 가능한 우주의 부피를 알려진 우주의 밀도로 나눠서 우주의
모든
입자의 질량을 구하고, 이미 알려진 입자의 평균 질량으로 나눴지요. 이렇게 구한 우주의 전체 입자 수는 4 × 1080개예요. 마지막으로 입자 1개 당 정보량과 우주의 전체 입자 수의 곱인 1.509 × (4×1080)을 ... ...
[역설 나라의 앨리스] 제1장. 역설 속으로!
수학동아
l
2022년 01호
사용해서 거짓말쟁이 역설을 산술적으로 표현하는 데 성공했습니다. 그리고 이로부터 ‘
모든
수학적 체계에는 증명할 수 없는 명제가 존재한다’는 괴델의 불완전성 정리를 증명했습니다 ... ...
손으로 빚은 식재료 풍성한 식탁 만드세요
과학동아
l
2022년 01호
구연산칼슘, 대두레시틴 등을 활용했습니다. 외형은 물론 영양소까지 챙겼습니다.
모든
대체 식품이 천연 재료에만 의존하는 것은 아닙니다. 양선아 계명대 식품보건학부 교수는 “대체 식품에는 합성으로 만들어진 화합물이 쓰이기도 한다”며 “소비자들에게 합성이라는 단어가 들어간 식품은 ... ...
[SF소설] 계산하는 우주
과학동아
l
2022년 01호
더 이상 조종할 수 없었다. 장만은 다온 행성의 땅 위에 납작 누워서 자신이 품었던
모든
정보의 연계가 최소 단위까지 끊어지는 것을 느꼈다.장만의 눈앞에 지구인의 실루엣이 서 있었다.처음에는 자신의 육체가 파괴되면서 분리된 카메라를 통해 제 몸을 보고 있다고 생각했다. 하지만 카메라는 ... ...
[그래프 뉴스] 과도한 어획, 자연의 수학 법칙 깼다!
수학동아
l
2022년 01호
데이터를 종합한 결과, 1850년에는 고래와 같은 포유류를 제외하고 동물 무게에 따른
모든
개체의 무게 합이 약 10억 t으로 일정했어요. 하지만 2020년에는 어획의 주 대상인 어류와 고래가 크게 줄어든 것을 볼 수 있었어요. 매년 1억 t씩 어획을 하는 10cm 이상 큰 어류와 포유류의 총 무게는 약 60%인 20억 ... ...
[THE JAMES DYSON AWARD] 세상을 바꿀 젊은 발명가들의 이야기
과학동아
l
2022년 01호
수 있도록 했다. 사용자 데이터를 수집해 기계학습을 적용하면서 정확도도 개선했다. 이
모든
과정은 환자와 임상의들의 의견을 받으면서 진행했다. 사용자 경험을 최적화하기 위해서다. 아이디어 구상부터 현재까지 약 8개월이 걸렸다. Q. 홉스를 통해 구현하고 싶었던 것은 무엇인가?전문가용이 ... ...
이전
89
90
91
92
93
94
95
96
9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