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동녘
동방
동쪽지방
동진
동쪽 하늘
d라이브러리
"
동쪽
"(으)로 총 935건 검색되었습니다.
마이크로 칩속에서 진행되는 보이지 않는 폭격기의 개발-STEALTH
과학동아
l
1986년 04호
두터운 구름층에 다가가면 아무 쓸모가 없다. 이제 '스텔드'는 그목표물, 즉 소련 북
동쪽
의 '코스트로마' 부근에서 위성촬영된 바 있는 철도시설에 장치된 SS-24 대륙간유도탄 기지를 향해 기수를 돌린다. 이 유도탄은 선제공격을 할 수 없기에 스텔드에게 맡겨진 특수임무 대상이다. 조종사는 마하 0.8 ... ...
화산 지진 태풍의 섬나라-필리핀
과학동아
l
1986년 04호
해협을 지나면 해저가 필리핀해구를 향해 급격하게 깊어져 수심이 5천m 이상이 되며 그
동쪽
은 1만km 떨어진 남부 멕시코에 이르기까지 큰 육지가 거의 없는 망망한 태평양이다.이 사진은 지구자원탐사위성 랜새트가 9백20km 상공에서 찍은 것이다 ... ...
조류
과학동아
l
1986년 03호
보아 구북구(旧北区)의 중국 아구(亜区)와 일부는 시베리아 아구에 속한다. 낭림산맥
동쪽
과 부전령 이북에서 백두산에 이르는 고준지대의 기후와 지형이 대륙지방과 비슷하여 조류상(鳥類相)도 시베리아 동부의 것과 같거나 근사아종(亜種)이 많다. 그러므로 이 고준지대를 시베리아 아구(한국 ... ...
어류
과학동아
l
1986년 03호
있어서 분수령의 구실을 하고 있었다. 그러므로 태백산맥을 넘을 수 없는 그들이
동쪽
에 진출할 수는 없었다. 열목어는 산소의 함량이 여름에도 10ppm 이상이고, 수온이 섭씨 20도 이상으로 오르지 않는 찬물이 아니면 살 수 없다. 심산유곡은 바로 그런 환경이다. 그러므로 열목어는 그런 환경을 갖춘 ... ...
동토(凍土)의 생명력 시베리아
과학동아
l
1986년 03호
4천7백50m이다. 캄차카는 중앙부를 등뼈 같이 스레딘니산맥이 뻗어있고
동쪽
해안에는 다른 하나의 산맥이 있다.화산은 이 두 산맥과 그 사이의 중앙지구대를 따라 분포되어 있다. 중앙산맥을 따라 있는 화산은 대개 오래되었고 태평양쪽 동부산맥과 중앙지구대의 화산은 아직 젊다. 그중 ... ...
공해마을 온산
과학동아
l
1986년 03호
없는 지리적 위치에 놓여 있다는 점이다. 특히 동남계절풍이 주로 부는 여름에는 공단의
동쪽
에 위치한 덕신이 대기오염의 영향권에 놓일 우려가 크다. 실제로 81년에는 제일물산의 유독개스로 덕신리의 농작물이 큰 피해를 입은 적이 있으며 KAIST는 82년에 수행한 한 연구에서 덕신을 산성, ... ...
양평지방은 왜 추운가
과학동아
l
1986년 02호
꺾어 내려오면서 한반도 부근에 기압골을 만든다. 여기에 히말라야의 남쪽을 돌아
동쪽
으로 몰려온 아열대제트가 합류되어 강력한 저기압의 발달장을 이룬다. 이때 시베리아 한랭기단의 세력이 강하여 냉기를 계속 밀어 붙이면 저기압이 냉각되어 지상으로 몰려 폭설을 동반한 혹한이 되는 것이다 ... ...
화산이 만든 낙원 화와이
과학동아
l
1986년 02호
측정하기 위한 우량계를 산 꼭대기에 설치하는데 큰 고충을 겪었다는 일화가 있다. 북
동쪽
의 경사면에서 습기를 털어버린 공기가 남서쪽 경사면으로 내려오면서 따뜻해지면 팽창한다. 그러나 평지에 이르러서는 한류를 따라온 바람과 섞여 사바나(Savanna) 기후의 시원한 바람이 된다. 하와이섬의 ... ...
한반도는 어떻게 형성됐나
과학동아
l
1986년 02호
용암과 화산회로 묻혀버렸다. 백두산에서 남쪽으로 혜산진까지 70㎞ 간과 백두산에서
동쪽
으로 무산까지 약 1백㎞ 간에는 전혀 곡류의 흔적이 없는 것을 보아 알 수 있다. 백두산용암 위에 생긴 강은 직류하고 있는 것이다. 곡류 감입곡류 직류 이런 것이 개마고원의 역사를 보여주고 있다.1천~2천m의 ... ...
국토개발
과학동아
l
1986년 02호
살려야 한다는 것은 필수적이라 하겠다.우리 국토가 갖는 몇가지 특징을 보면 첫째로
동쪽
이 높고 서쪽이 낮은 이른바 동고서저 현상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지형에 따라 중요한 하천은 서해안과 남해안으로 흐르게 되어 있을 뿐 아니라 급류하천이 적어 선상지(扇狀地)나 삼각주의 퇴적이 적다. ... ...
이전
89
90
91
92
93
9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