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석재
바위
암석
암벽
암반
돌멩이
스톤
d라이브러리
"
돌
"(으)로 총 1,732건 검색되었습니다.
할리데이비슨의 3대 매력
과학동아
l
2008년 06호
따라 엔진의 소리가 결정된다. 보통 모터사이클 엔진은 뒤쪽 실린더가 정확하게 360°
돌
때마다 점화된다. 그런데 할리데이비슨의 엔진은 두 번째 실린더가 420° 돈 뒤 점화된다. 첫 음과 두 번째 음이 약간의 간격을 두고 리듬을 만들어낸 것이다. 마니아들은 할리데이비슨 엔진의 연소 주기가 인간의 ... ...
스무 살 성인 된 V3
과학동아
l
2008년 06호
공부를 마치고 최근 귀국했다. 지난 5월 7일 귀국 기자회견장에서 안철수 의장에게 V3 20
돌
을 맞은 소감을 물었다. 그는 “기쁘고 좋다”면서도 “V3가 이렇게 오랫동안 버틸지 예상하지 못했다”고 말했다.일반 기업이 5년 동안 생존할 확률은 10% 정도다. 따라서 10년 동안 버틸 확률은 1%일 테고, ... ...
거대 동물 멸종 미스터리 10000BC로떠나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06호
상상력이 만든 새로운 세계인 거죠. 매머드를 가축으로?매머드의 몸에 끈을 묶어
돌
을 나르게 하는 등 매머드를 가축처럼 이용하고 있어요. 하지만 이건 사실이 아니랍니다. 인간은 매머드를 가축으로 이용하지 않았어요. 10000BC경 사람들은 정착 생활을 시작하면서 농사를 짓기 시작하고 동물들을 ... ...
6000년 전 고인
돌
시대에도 애완견을!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06호
크기로 보아 야생의 개가 아니라 집에서 길렀던 개라는 사실도 알게 되었지요. 이 시기는
돌
을 갈아 날카로운 바늘과 칼을 만들던 신석기 시대예요. 우리 조상들이 이미 신석기 시대부터 집에서 애완견을 길렀다는 사실이 놀랍습니다.*탄소연대측정법 : 화석에 들어 있는 탄소의 성분이 시간에 따라 ... ...
만능종이 전성시대
과학동아
l
2008년 05호
개중 짧은 섬유가 고해 과정에서 잘려 미세한 섬유가 된다. 또 종이를 만들 때 펄프 외에
돌
을 아주 작게 갈아 넣는데, 여기에 미세한 입자가 존재할 수 있다. 종이가 마르면 이 미세 입자들이 종이에 붙어 있지 못하고 모두 지분이 되는 셈이다.반도체 공장의 클린룸에서는 단 한 점의 먼지도 ... ...
Intro 석유시대 종말 연착륙을 위해
과학동아
l
2008년 05호
이 기술이 상용화에 성공하면 석유는 더 이상 고갈되는 화석연료가 아닌 셈이다.“
돌
이 사라져 석기시대가 끝난 게 아니듯이 석유가 고갈돼 석유시대가 종말을 고하지는 않을 것입니다.” 서울대 지구환경시스템공학부 신창수 교수는 50년이나 100년 뒤에는 핵융합발전소 같은 획기적인 에너지원이 ... ...
감자의 인기가 급상승한 이유
과학동아
l
2008년 05호
중심을 향해 은하의 밀도가 높고, 중앙부에는 두 개의 거대한 타원은하가 있으며 소용
돌
이은하의 수는 적다분포에 중심집중이 두드러진 은하단의 대표적인 예이다1958년 10월 2일에 발족한 미국 최초의 유인위성 발사계획 항공우주국(NASA)의 탄생과 함께 착수되었다직접적인 계획의 목적은 소련의 ... ...
추운 나라에서 온 손님, 겨울철새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04호
보더라도
돌
을 던지거나 큰 소리로 쫓지 마세요. 조금 있으면 다시 추운 나라로
돌
아가기 위해 수천 킬로미터나 되는 먼 거리를 날아가야 해요. 그렇게 하려면 지금 충분히 먹고 쉬어야 한답니다 ... ...
밤하늘에서 한국 최초 우주인과 마주보다
과학동아
l
2008년 04호
수 있다.하지만 밤새 ISS를 볼 수 있는 건 아니다. ISS는 비교적 낮은 고도에서 지구 궤도를
돌
기 때문에 태양빛을 받아 반사시킬 수 있는 초저녁과 새벽녘에 잠시 볼 수 있을 뿐이다. 이 때문에 밝은 빛을 내며 하늘을 가로지르던 ISS가 지구 그림자 안으로 들어가 갑자기 사라지는 경우도 생긴다.때로는 ... ...
별을 그대 가슴에 안겨주는 천문학 에세이
과학동아
l
2008년 04호
하늘의 뜻으로 받아들이길 바랐다. 그러던 중 고구려의 성좌도 탁본을 발견하고는 이를
돌
에 새기라고 명한다. 1000년 전에 만들어진 고구려 탁본이었기에 별자리의 모양을 당시에 맞게 보정하기가 쉽지 않았지만 이들의 노력 덕분에 조선의 밤하늘을 담은 천상열차분야지도가 완성됐다.2007년 ... ...
이전
89
90
91
92
93
94
95
96
9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