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geometry
기하
위상기하학
위상
유클리드기하학
유클리드
유크리드
d라이브러리
"
기하학
"(으)로 총 1,041건 검색되었습니다.
타이태닉호 선체 인양 실패
과학동아
l
1996년 10호
廣延論)》에서 처음으로 체계화한 n차원의 아핀 공간 및 계량공간(計量空間)의
기하학
속에 서술된 다원환(多元環) 외적대수(外積代數)라고도 한다보통 대수에서 곱은 ab=ba라는 법칙에 따르지만 그라스만 대수에서는 ab=-ba라는 법칙을 따른다이런 의미에서 외적이라 하며 a∧b의 기호로 ... ...
피라미드는 거대한 수학공식
과학동아
l
1996년 10호
이때 뒤로 갈수록 '앞의 수:뒤의 수'가 황금비와 유사하게 일치해간다.황금비의 성격을
기하학
적으로 풀면 다음과 같다. 왼쪽과 같이 먼저 하나의 직사각형을 그린다(변의 길이 a, b). 다음 긴변(b)으로 이뤄진 정사각형을 그려 붙인다. 여기다 a+b, (a+b)+b, (a+b+b)+b…인 정사각형을 계속 붙여 나간다. 이때 ... ...
1. 대기과학 장기 일기예보가 불가능한 이유
과학동아
l
1996년 05호
예보가 맞지 않는 까닭 1963년 미국 MIT의 에드워드 로렌츠는 1890년대의 푸앵카레가 세운
기하학
적 혼돈이론으로부터 대기 운동의 혼돈성(chaos)과 날씨를 예측하는 것이 왜 힘든 것인지를 설명해냈다. 아주 미소한 차이가 있는 두개의 초기상태에서 각각 출발한 대기상태는 언젠가는 서로 아주 다르게 ... ...
2. 천문학 태양계는 질서정연하지 않다
과학동아
l
1996년 05호
있으며 들쭉날쭉한 형상을 묘사해내는 말이 됐다. 또한 카오스의 특징인 비선형 동력학을
기하학
적으로 푸는 열쇠로 많은 연구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 ...
미적분 누가 발견했나
과학동아
l
1996년 04호
발표했다.같은 시기에 다른 방식으로흔히 '프린키피아' 는 천문학과 역학의 기본원리를
기하학
적으로 해설한 책이라고 알려졌다. 하지만 제2권의 보조정리를 비롯한 여러 부분에서 미적분법에 관한 설명이 나타난다.뉴턴은 이미 캐임브리지 재학 시절에 당대 최고 수준의 수학지식을 터득했다. ... ...
아름답게 빛나는 행성상성운
과학동아
l
1996년 03호
못했던 새로운 사실을 알려줬다. 성운 중심에 감자처럼 생긴 고밀도 영역이 있는데, 그
기하학
적인 대칭축은 루프의 대칭축과 다르다. 또 중심에 있어야 할 백색왜성은 거기서 벗어나 있다. 이러한 관측 사실은 이론과 잘 맞지 않아서 아직 해석의 어려움이 있다. 이와 같이 별의 마지막 단계는 ... ...
1. 사고실험으로 이어진 16세 소년의 꿈
과학동아
l
1996년 02호
수 없었다.어린 나이에 어쩌면 이런 생각들을 했을까. 그러나 그가 12세 때 유클리드
기하학
에 관한 책을 읽고 감명을 받았으며, 16세 때는 이미 독학으로 미분과 적분을 터득했다는 사실을 알면 그는 당시 많은 수학지식을 가졌던 것으로 보인다.빛의 속도는 1887년 마이켈슨-몰리의 실험으로 항상 ... ...
PART Ⅲ. 참선에서 공중부양까지
과학동아
l
1996년 01호
자연현상이 존재하며 지속적인 동조성이 생성됨으로써, 일반상대성이론에서 묘사된 시공
기하학
의 굴곡이 조절돼 몸이 떠오르거나 이동할 수 있게 된다”고 설명한다.두뇌는 마음과 몸이 교류하는 영역이다. 두뇌가 더 동조적으로 기능할수록 공중부양이 더 완벽하게 일어난다. 시디 기법들을 통해 ... ...
진화론 VS 창조론
과학동아
l
1995년 12호
비유클리드
기하학
을 전개하고, 만일 자신의 비유클리드
기하학
이 틀렸다면 유클리드
기하학
도 틀렸다는 사실을 증명했다.이처럼 공리를 어떻게 세우느냐에 따라 얼마든지 상치되는 완벽한 논리체계를 세울 수 있다. 따라서 완전히 다른 공리를 가지고 출발하는 진화론과 창조론 중 어느 것이 ... ...
2. 로봇의사가 몸속 누비며 진찰
과학동아
l
1995년 10호
상관없다.미소기계인 마이크로머신을 설계할 때는 보통 크기의 기계를 단순히
기하학
적으로 축소한다는 사고방식을 버려야 한다. 크기가 1㎜ 이하인 마이크로머신을 설계할 때, 크기효과 때문에 관성력에 비해 마찰력이나 점성력과 같은 면적에 관련된 표면력이 지배하게 된다. 예를 들면 1/N의 ... ...
이전
89
90
91
92
93
94
95
96
9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