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가정
상정
전제
d라이브러리
"
가정하기
"(으)로 총 3,438건 검색되었습니다.
[life & tech] 운석 연구하면 ‘□’를 알 수 있다!
과학동아
l
2014년 12호
2014년의 마지막 달이다. 올해를 뒤흔든 과학뉴스에 운석을 빼면 섭섭하다. 우리나라에 71년 만에 운석이 떨어지면서 갑자기 ‘슈퍼스타’가 됐다. 하지만 ‘로또 운석’ 논란 속에 진짜 과학은 묻히고 말았다. 그래서 올해가 다 가기 전에 불러 모았다. 자신들의 진정한 가치를 몰라 섭섭하다는, ‘ ... ...
PART 3 웜홀 타고 우주여행 가능할까?
수학동아
l
2014년 12호
반응이 뜨겁다. 지난 6일 개봉한 영화 인터스텔라가 11일 만에 누적관객수 500만 명을 넘어섰다. 흥행 비결 중 하나로 블랙홀과 웜홀에 대한 대중의 관심을 불러일으킨 것이 손꼽히고 있다. 특히 과학자가 직접 계산한 수식에 따른 블랙홀과 웜홀의 모습을 보여 주고 있어 화제가 되고 있다.★내용 ... ...
햇빛 먹고 전기 만드는 도로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11호
가까운 미래에는 햇빛으로 전기를 만드는 도로가 나올 전망이에요. 미국 전기엔지니어인 스콧 브루소는 도로에서 전기를 만들어 가로등이나 신호등을 밝히는 것은 물론, 가정으로 전기를 보내줄 수 있는 ‘태양광도로’를 개발했어요. 태양광도로는 태양전지판 위에 육각형으로 생긴 강화유리를 ... ...
PART 2.Y가 사라진 세상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일찍 죽는 남성들 이제 남성을 XY 대신 Xy라고 부른다. 이유는 간단하다. 2억년 전 Y 염색체가 탄생하자마자 시작된 유전자 소실이 다시 시작됐기 때문이다. 3500만 년에서 1000만 년 전 즈음까지는 Y가 짧아지는 현상이 잠시 소강상태에 머물렀지만, 애초에 제대로 쌍을 이루지 못한 염색체가 제 모습을 ... ...
[career] 기숙사에서 매일 열리는 ‘비정상회담’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올해 가을 KAIST에 입학한 에티오피아 출신 대학생 겜메츄 베클레 톨로싸(19)의 이야기다. 에티오피아 대학입학시험 최고득점자였던 겜메츄 씨는 “KAIST에 처음 왔을 때 도서관에 밤새 불이 켜져 있고, 학생들이 각자 노트북을 들고 다니는 모습에 놀랐다”고 밝혔다. 더 나은 교육시설과 우수한 교수 ... ...
[교과연계수업] 내 몸이 탈수 상태라고? 물 마시기 프로젝트!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11호
안녕하세요. 디사이언스입니다. 여러분은 하루에 물을 얼마나 마시나요? 하루에 2리터의 물을 마시는 게 좋다는 말을 많이 들었는데, 실제로 하루에 2리터의 물을 마시는 일을 실천해 보니 쉽지 않았어요. 그만큼 평소에 물을 적게 마시고 있다는 뜻이겠지요. 물 대신 탄산음료나 색소가 들어간 ... ...
[과학뉴스] 동물이 거울 속 자신을 공격한다고? No!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동물을 연구하는 과학자들은 종종 거울을 사용한다. 동물들이 거울에 비친 자기를 경쟁자로 생각해 공격성을 띤다는 가정 때문이다. 그런데 최근 연구 결과에 따르면 틀렸다.영국 퀸스대 생명과학과 로버트 엘우드 교수팀은 콘빅트 시클리드라는 물고기가 실제 라이벌과 거울 앞에서 어떤 반응을 ... ...
내 몸은 탈수 중 물 마시기 프로젝트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11호
“콜라 말고 물을 마시라니깐!”“싫어. 맛 없단 말야!”오늘도 아침부터 유빈이와 엄마가 한바탕 싸우네. 유빈이는 콜라를 마시겠다고 우기고 엄마는 자꾸 물을 마시라고 소리를 질러. 유빈이는 물은 맛이 없어서 싫다고 고집 부리고…. 듣자듣자하니 듣는 물 기분 나쁘네. 아니, 맛이 없어서 안 ... ...
Part 1. 테러도 공식을 따른다!
수학동아
l
2014년 11호
세빛섬에서 터진 폭탄을 조사한 결과, 11월 5일 국회의사당에서 터진 폭탄과 동일한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두 사건 모두 같은 조직의 소행으로 보입니다. 문제는 누가 왜 이런 테러를 저질렀는지 아직까지 밝혀진 게 없다는 겁니다. 세 번째 폭탄 테러가 언제 어디서 일어날지도 모르는 상황이고요. ... ...
[시사] 물질의 수 체계
수학동아
l
2014년 11호
우주를 이루는 입자는 크게 두 가지로 나뉜다. 그 중에 보통 물질은 쿼크(Quark)와 전자 같은 페르미온(Fermion)의 결합으로 생긴다. 이런 물질의 미세한 물리량이 19세기에 발견된 클리퍼드 수를 값으로 갖는다는 사실은 20세기 과학의 중요한 발견이었다.그라스만 수 복습 기하학에서 가장 중요한 수 ... ...
이전
89
90
91
92
93
94
95
96
9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