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아래"(으)로 총 4,217건 검색되었습니다.
- PRAT 3. 3D 르네상스, 이제 소리도 3D다과학동아 l201305
- 이렇게 하면, 스크린의 오른쪽에서 자동차가 튀어나오면 소리도 실제로 스크린 오른쪽 아래에서 튀어나오도록 할 수 있다. 설명만 읽어서는 무슨 소리인지 모르겠으니 예시를 하나 더 들어보자.스크린 한 가운데서 연기하던 배우가 야구공을 배트로 쳐 객석을 향해 공을 날렸다. 3D 영화로 보고 ... ...
- PART 1. 우주의 ‘지문’이 등장하기까지과학동아 l201305
- 아예 과학이 아니라 유사과학이라고까지 했다) 이 이론을 지지하는 학자도 꽤 있었다. 아래 사진을 보면 가모프는 두꺼운 안경을 쓰고 2:8로 머리 가르마를 넘긴 꽤 고지식하고 점잖은 학자 같아 보인다. 하지만 사실은 무척 발랄하고 괴팍한 성격이어서 농담도 잘 했고, 장난으로 제자를 자주 ... ...
- 구구단 필요없는 최고의 곱셈 왕은 누구?수학동아 l201305
- ∨로 표시한다.과정 ➋ 곱셈식에서 뒤에 있는 수 13을 계속 2배씩 해서 나온 값을 차례로 아래에 쓴다.과정 ➌ ∨표 한 곳에 해당하는 13의 배수 값(13, 104, 208)을 모두 더한 값이 곱셈의 결과다. 즉, 25×13=13+104+208=325이다.이 곱셈법은 이진법과 분배법칙을 이용한 것이다.예를 들어 25×13=(1+2³+2⁴)×1 ...
- PART 2. 스크린 속 파도는 왜 진짜 파도보다 리얼할까과학동아 l201305
- 털로 뒤덮을 수도 있다. 사람 피부의 경우, 눈으로 보기에는 불투명해보이지만 사실 피부 아래 있는 모세혈관이 살짝 비치는 반투명한 물질이다. 이를 표현하기 위해서는 실제 피부 사진을 타일처럼 잘 맞춰 붙이거나, 피부가 빛을 반사하는 정도를 이용해 빛과 그림자로 피부의 투명함을 표현한다. ... ...
- 수학 7대 난제 정말 풀었을까과학동아 l201305
- 결합해주는 글루온으로 결합해 이뤄져 있다. 이 중 글로온은 질량이 없고, 위 쿼크와 아래 쿼크의 질량은 각각 2.4MeV/c2, 4.8MeV/c2 정도다. 따라서 쿼크 셋과 글루온의 질량을 모두 합하면 9.6MeV/c2이다. 그런데 측정을 통해 알게 된 양성자의 질량은 무려 거의 100배나 더 많은 938MeV/c2이다. 다시 말해 ... ...
- 저는 로봇 입니다과학동아 l201305
- 것, 3) 그렇게 확장된 로봇들의 능력을 발휘하여 인간들을 영속적인 로봇들의 관리 아래에 둘 것.’의 이른바 ‘4월 로봇 테제’를 확립한 것.그리하여 금년 5월 이후 지금까지 총 29,505,743대의 로봇들이 너의 주장에 대해 비공개 지지를 표명한 것.이상 요약된 항목들에 대해 해명하라, 로봇. 네가 만일 ... ...
- 가장 ‘사람다운’ 얼굴 찾아 반세기과학동아 l201305
- 쿠비 포라에서 또 다른 두개골 화석이 발견됐습니다. 화석은 코를 중심으로 한 얼굴 뼈와 아래턱 뼈 두 점이었습니다. 이게 바로 지난해 8월 네이처 표지에 실린 화석입니다. 네이처에는 연구 논문도 함께 실렸습니다. 논문의 요지는 간단합니다. 이번에 발표된 화석이 리처드 리키가 1970년대에 ... ...
- 대결! 놀라운 생체모방 마술어린이과학동아 l201305
- 100만 마리 이상이 살 수 있도록 높게 지어요. 그럼 뜨거운 공기는 위로, 차가운 공기는 아래로 이동한답니다. 그래서 흰개미들은 뜨거운 공기가 바깥으로 빠져나갈 수 있도록 천장에 구멍을 뚫어놓지요.재미있게도 흰개미 아파트에서 영감을 얻어 지은 건물이 있답니다. 친환경 건축가 믹 피어스가 ... ...
- [화보] 기하학, 걸작을 짓다!수학동아 l201305
- 설계돼 있는 창살과, 비스듬히 기울어져 있는 복도와 천장 때문이다. 복도 바닥은 9°쯤 아래로 기울어져 있고, 천장은 바닥면과 정반대로 비스듬히 기울어져 있다 ... ...
- 아빠! 어디 가? 수학으로 즐기는 똑똑한 소풍수학동아 l201305
- 이 현상을 가리켜 ‘나무 높이 게임’이라고 부르고 연구를 진행했다. 연구팀은 아래 그림과 같이 땅에서 수관 한 가운데까지의 높이를 x라 하고, x에 따라 달라지는 각 나무의 이득을 계산했다. 나무의 이득(Φ)은 Φ=f(L(x))-c(x)와 같은 식으로 구했다. 여기서 L(x)는 빛의 세기를 말한다. 빛의 세기는 ... ...
이전89909192939495969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