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적출
적발
탐지
간파
발각
탄로
발견기법
뉴스
"
발견
"(으)로 총 10,326건 검색되었습니다.
아프리카 원주민 같나요? 모기 발바닥 끝이랍니다
과학동아
l
2014.09.26
태어날 때부터 몸이 붙어 태어나는 샴쌍둥이. 이번엔 몸이 붙어 있는 ‘샴사슴’이
발견
됐다. 두 마리의 사슴은 서로 반대 방향을 보고 있지만 가슴에는 서로를 향한 안타까움과 사랑 때문인지 하트가 새겨져 있다. 이 사진은 길이 30cm 정도의 표본용 뱀의 꼬리 단면을 전자현미경으로 살펴본 ... ...
톰슨로이터, 노벨과학상 수상후보 한국 과학자 첫 지목
2014.09.26
이유가 대부분 염기 서열 차이 때문일 거라고 생각했던 당시 학계의 가설을 뛰어넘는
발견
이었다. 리 소장은 “유전체 연구의 중요성을 인정받은 것 같아 기쁘다”고 소감을 밝혔다. 톰슨로이터가 노벨상 후보를 발표하기 시작한 2002년부터 지난해까지 지목한 후보는 총 156명이며 이 중 25명이 ... ...
스마트폰 동시 사용, 인지·감정조절능력 손상시킨다
2014.09.25
여러 매체를 동시에 사용하는 경향이 클수록 뇌의 회백질의 밀도가 낮아진다는 사실을
발견
했다. 회백질은 인지 기능과 감정 조정 기능을 담당하는 뇌 부위다. 켑 키 노 박사 연구팀은 런던대 학생 7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한 뒤 기능성자기공명영상(fMRI)으로 뇌를 촬영하는 실험을 진행했다. ... ...
국내 연구진, 남태평양 바다에서 신종 미생물 2종 찾아냈다
2014.09.25
미생물들을
발견
했다고 25일 밝혔다. 생물분류학 데이터들을 살펴본 결과 이번에
발견
된 두 미생물은 지금까지 존재하는 미생물 ‘속(Genus)’ 중에서는 어느 것에도 포함되지 않았다. 속(Genus)이란 생물분류학에서 생물을 분류하는 기준으로 ‘종(Species)'보다 더 넓은 개념이다. 연구진은 두 ... ...
[연구실에서 시장으로(下)] 좋은 아이디어, 좋은 기술이 ‘차세대 먹을거리’ 의료 시장 이끈다
2014.09.25
미세 종양이
발견
되면 제거 수술을 하기 전에 나노형광표지자를 주사한다. ②나노형광표지자가 미세 종양에 달라붙어 빛을 낸다. ③수술 중에 빛이 나는 부분만을 잘라내기 때문에 1cm 이하의 작은 유방종양도 안전하게 제거할 수 있다. - 국립암센터 제공 미국의 여배우 안젤리나 졸리가 ... ...
헉! 500nm 작디 작은 나노입자도 먹이사슬 타고 전달
2014.09.24
일종의 소화기관 역할을 하는 소기관에서
발견
됐으며, 물벼룩의 장에서도 나노입자가
발견
됐다. 제브라피시는 장과 내장은 물론 배설물에서도 나노입자가 나왔다. 배설물을 통해 일부 배출됐다는 의미는 제브라피시가 먹었던 나노입자가 수생태계의 또 다른 동물에게도 전달될 수 있음을 뜻한다. ... ...
뇌 손상 회복시키는 ‘착한’ 단백질
발견
2014.09.24
김규원 서울대 약학과 교수 - 김규원 교수 제공 최근 교통사고를 당한 아이돌 여가수가 뇌에 치명적인 외상을 입고 사망해 많은 국민들이 안타까워했다. 이런 가운데 국내 연구진이 외상으로 뇌조직이 손상을 입었을 때 몸에서 일어나는 회복 반응의 원리를 밝혀내 주목을 받고 있다. 김규원 서울대 ... ...
후쿠시마 원전 방사능에 야생동물 수명 줄어
2014.09.23
사태가 발생한 이후 방사능에 피폭된 토끼가 귀 없는 토끼를 낳거나 기형 곤충이
발견
되면서 방사능에 의한 생태계 파괴 주장이 끊임없이 제기돼 왔다. 올해 7월에는 후쿠시마 원자력발전소에서 70km 떨어진 지역에 사는 원숭이에게서 적혈구와 백혈구 수가 줄어든 것을 확인한 연구 ... ...
슈퍼박테리아 만드는 ‘카멜레온 유전자’ 찾았다
2014.09.23
돌연변이 유전자 염기서열이 쉽게 원래의 형태로 되돌아갔다. 김 교수는 “새롭게
발견
한 이 짧은 염기서열 때문에 세균이 여러 가지 항생제 환경에 민첩하게 적응해 생존할 수 있다”며 “이런 메커니즘은 세균뿐 아니라 인간 유전체에도 존재하는 만큼 향후 중요한 연구대상이 될 것”이라고 ... ...
네안데르탈인은 언제 사라졌을까
2014.09.22
고고학이 절대적으로 의존하고 있는 방사선탄소연대측정법에 문제가 있다는 사실을
발견
하고 이를 개선하기 위해 오랫동안 연구를 해 왔다. 즉 시료가 외부와 완전히 차단된 게 아니기 때문에 미생물이나 유기물질 같은 후대의 탄소함유 물질이 침투할 경우 추정 시기가 영향을 받을 수 있다는 것. ... ...
이전
935
936
937
938
939
940
941
942
94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