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내부
내면
뱃속
내용
마음속
실질
안
뉴스
"
속
"(으)로 총 10,565건 검색되었습니다.
영화 ‘제인구달’을 봤습니다
2014.11.18
청년들을 만나서 지구를 보호하는 일이 거창한 일이 아니라고 말한다. 날마다의 삶
속
에서 자신과 가족, 그리고 환경을 생각하는 선택을 하는 것이 지구를 보호하는 일이라고 강조한다. 올해로 80세를 맞은 구달 박사는 영화 개봉에 맞춰 이번 주말 방한한다. 이번 여정에서도 어린이와 청년들을 ... ...
[전문가들에게 물어봤습니다, 수능 생명과학II 8번 논란]
2014.11.17
분해 효소(β 갈락토시데이스)를 만드는 유전자를 비활성화된 상태로 유지한다. 그림
속
㉠에 해당하는 조절 유전자가 만든 억제 단백질이 구조 유전자와 결합해 RNA 중합 효소가 ㉡프로모터에 붙지 못하게 방해하는 식이다. 하지만 젖당이 유일한 에너지원이라면 상황이 바뀐다. 젖당이 억제 ... ...
허블이 찍은 굴 성운 NGC 1501, 구름이 감싼 모양 “신비로워”
동아닷컴
l
2014.11.13
성운은 별과 별 사이에 존재하는 가스 덩어리와 티끌의 집합체를 뜻한다. 공개된 사진
속
‘NGC 1501’은 중앙에 밝게 빛나는 별이 보이고 그 주변을 거품이 일고 있는 구름이 감싸고 있다. 이런 특이한 모습 때문에 천문학자들은 ‘NGC 1501’을 ‘굴 성운(Oyster Nebula)’이라는 애칭으로 부르고 있다. ... ...
녹조 광합성이 방사능 물질 제거한다
2014.11.12
‘클로렐라 불가리스(Chlorella Vulgaris)’ 라는 이름의 미세조류가 광합성을 할 때 물
속
의 탄산 이온과 방사성 스트론튬 이온 간의 결합을 촉진시켜 세포 표면에 탄산광물인 ‘스트론티어나이트’를 대량으로 만들 수 있다는 사실을 처음 밝혀냈다. 실제로 이 미세조류가 용존 고방사성 스트론튬(20 ... ...
무엇이 그를 길들였나
2014.11.11
먹다가 가축이 됐다는 기존 가설과 잘 맞아 떨어진다”고 설명했다. 특히 GRIA1은 뇌
속
신경전달물질인 ‘글루타메이트’를 받는 단백질을 만드는 유전자로, 뇌의 보상회로와 관련이 있다. 이전 연구에서 쥐에서 이 유전자가 망가지면 보상회로에 문제가 생겨 쥐의 학습이 이뤄지지 않는다는 ... ...
“만성신장질환의 원인은 유해 중금
속
납”
2014.11.10
결국 만성신장질환이 생긴다. 납에 의한 신장 손상 기전 모식도. 혈액
속
납의 농도가 증가하면 신장에서 적혈구가 파괴되고, 이때 적혈구에서 나온 철이 신장세포에 산화스트레스를 일으킨다. - 미래창조과학부 제공 정 교수는 “만성신장질환의 예방이나 치료법 연구와 납의 관리 ... ...
우리가 정말 행복했을까?
2014.11.10
결과다. 3일 뒤 피험자들은 두 번째 테스트를 받았다. 즉 기능성자기공명영상(fMRI) 장치
속
에 들어가서 지난번 자신들이 말한 긍정적인 기억과 중성적인 기억들을 차례로 떠올렸다. 데이터를 분석하자 행복한 기억을 떠올릴 때 뇌의 선조체와 내측전전두엽피질이 더 활발히 작동했다. 이 영역들은 ... ...
베이글로 배우는 위상동형!
2014.11.10
베이글을 자르며 위상수학을 체험하고 있다. - (주)동아사이언스 제공 지난 8일, '생활
속
위상수학'을 주제로 수학동아 클리닉 가을학기 세 번째 수업이 열렸다. 김상미 춘천교대 수학교육과 인간이 가진 시각의 한계에 관한 이야기로 이날 수업을 시작했다. “우리는 3차원을 볼 수 있는 것처럼 ... ...
생활
속
으로 들어온 IT 기술
2014.11.10
‘과학 멘토’를 자처한 청소년들이 흥미로운 과학 시연도 선보였다. 인하대사범대부
속
고 과학 동아리 ‘IC2’는 과망가니즈산칼륨(KMnO4)과 염화바륨(BaCl2), 싸이오황산나트륨(Na2S2O3) 등의 화학 반응을 이용해 와인과 딸기우유처럼 보이는 액체를 제조하는 ‘화학카페’를 차려 또래 청소년들의 ... ...
UNIST, 5년 만에 ‘대학의 기적’ 이룬 이유 살펴보니
2014.11.10
대학이라는 교육 환경도 외국인 교수의 진입 장벽을 낮췄다. ●자유로운 연구 분위기
속
에 노벨상의 꿈 무르익어 모교로 돌아오던 젊은 한국 과학자들도 최근 UNIST를 택하고 있다. 서울대에서 박사학위를 받은 이현우 자연과학부 교수는 “UNIST는 신진 과학자의 정착에 국내 어느 기관보다도 ... ...
이전
932
933
934
935
936
937
938
939
94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