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공표
연설
공고
강연
웅변
스피치
표명
d라이브러리
"
발표
"(으)로 총 10,165건 검색되었습니다.
비유클리드기하학이란 무엇인가?
과학동아
l
1991년 08호
이른바 비유클레이데스기하학의 강력한 도전을 받게 되었다.물론 그 이후에도 1899년에
발표
한 힐베르트의 '기하학 기초론'에 의해 새롭게 지지 되긴 했지만 이미 기하학 분야에는 양대산맥이 형성돼 있었다.지구표면을 생각하라기하학에는 세계 어디서나 공통적인 기본이 있다. 즉 1차원의 도형은 ... ...
전자파로 플라즈마 발광체 만들어
과학동아
l
1991년 08호
것은 오쓰키교수가 처음이다. 그는 이 연구결과를 영국 과학지 '네이처' 3월14일자에 이미
발표
한 바 있다.이 실험에서 그는 우선 파장 2.45㎓(기가 헤르츠) 최대출력 5㎾와 마이크로파를 만들었다. 이 전자파는 일종의 대형전자레인지 역할을 한다. 마이크로파는 도파관(導波管)을 통해 원통형 실험 ... ...
「퍼지-뉴런」칩개발
과학동아
l
1991년 08호
뇌세포의 움직임을 모방한 '뉴런'기술을 융합시킨 새로운 집적회로 '퍼지-뉴런 칩'이
발표
됐다. 일본 규슈공업대 정보공학부의 야마카와 다케시 교수가 개발한 이 칩은 문자 등의 패턴인식에 위력을 발휘해 한 문자를 인식하는데 1백만분의 1초밖에 걸리지 않는 초고속 소자다.두뇌의 고도 정보처리 ... ...
진화론만이 옳다는 독선은 버려야
과학동아
l
1991년 08호
한번 돌연변이가 일어났다고 가정, 인류 최초의 여자조상이 20만년 전에 출현했다고
발표
했다. 그들은 남자에게만 전달되는 Y염색체도 같은 방법으로 분리, 변이된 정도를 조사해 보았다. 그 결과 남자조상도 역시 20만년 전에 처음 출현한 것으로 추정됐다. 기존의 진화론자들은 인류가 신생대 제4기 ... ...
우리의 조상인 실러캔스
과학동아
l
1991년 08호
헤엄칠 수 있음을 알아냈다.프리케씨와 그의 두 동료는 지난 1991년 5월에 연구논문을
발표
하였는데 이 논문에서 그들은 실러캔스의 피에 포함된 아미노산의 고리는 올챙이의 아미노산에서 볼 수 있는 고리형태와 매우 유사함을 보여주었다.네발동물중에서 양서동물은 가장 덜 진화되었으며 ... ...
5.극심한 생물계의 수난
과학동아
l
1991년 08호
필자는 필리핀의 어느 근해에서 채집된 부채게과(科)의 게들을 연구, 1983년에 그 결과를
발표
했다. 놀랍게도 관찰한 60종중 14종이 신종이 었다. 또 동부 태평양에서 서식하는 딱총새우류에 관한 외국학자의 논문(1988년)에서도 비슷한 경향을 엿볼 수 있다. 총 44종중 21종이 신종이었다.열대우림지역의 ... ...
정부출연 연구소 부처찾기 그 내막은?
과학동아
l
1991년 08호
내고 있다. 이같은 과욕은 급기야 남이 개발한 신경망칩을 자체개발품이라고 허위
발표
하는 난센스를 빚어 국제적으로 망신을 당하기도 했다.정부출연연구소들은 이제 연구의 주관 및 조정자와 민간이 할 수 없는 대형 복합기술의 개발자로 자신의 역할을 질적으로 수정할 시점에 와있다.60, 7 ... ...
토성의 테가 사라지고 있다
과학동아
l
1991년 08호
이론천체물리연구소의 루크 돈스씨는 토성주위의 테를 세밀히 관찰하여 왔는데 올해 초
발표
된 그의 연구결과는 놀랄만한 것이다.토성을 둘러싸고 있는 둥근 반지모양의 동심테는 태양계에서 가장 아름다운 물체다. 다른 외행성들도 테를 가지고 있지만 목성이나 천왕성, 해왕성의 테는 얇고 ... ...
소프트웨어산업 내일 여는 젊은 프로그래머들
과학동아
l
1991년 08호
최초의 국산 그래픽 패키지라는데 의미가 있었다. 금년초 기능이 향상된 '하나그림 2.0'이
발표
됐고 지난 4월에는 행정전산망용 표준 소프트웨어로 선정돼 학교나 관공서에도 들어갈 수 있게 됐다.이름난 소프트웨어는 대개 기업체에 소속되지 않은 독창성이 강한 프로그래머에 의해 개발된다. ... ...
동물학대와 국민의 비과학성
과학동아
l
1991년 08호
것은 유명한 얘기고, 어떤 동물의 항생제잔류치를 조사한 위생학자가 끝내 그 결과를
발표
하지도 못했다는 것은 이 분야의 현실을 잘 대변해 준다.아무튼 곰학대현장의 고발로 야기된 동물보호에 대한 관심이 지난 날처럼 일과성으로 그치지 말고 앞으로는 그들의 숨죽인 신음소리에 늘 귀를 ... ...
이전
932
933
934
935
936
937
938
939
94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