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적출
적발
탐지
간파
발각
탄로
발견기법
뉴스
"
발견
"(으)로 총 10,324건 검색되었습니다.
혹시 나도 ‘의자 중독’?
2014.11.24
비만 전문가였는데 비만인 사람들과 마른 사람들의 생활 패턴을 비교하다가 흥미로운
발견
을 했다. 뚱뚱한 사람들이 마른 사람들에 비해 하루에 앉아있는 시간이 2시간 15분 더 길었고 그 결과 하루에 350킬로칼로리를 덜 소모한다는 것. 즉 별도의 운동 없이 걷는 정도의 활동만으로도 꽤 많은 ... ...
초기 배아에서 마이크로RNA 조절 현상 최초 규명
2014.11.23
모체에 있는 마이크로RNA 끝 부분에 염기의 하나인 아데닌(A) 꼬리가 붙는다는 사실을
발견
했다. 또 이 변형으로 마이크로RNA의 양이 조절된다는 사실도 밝혀냈다. 연구진은 초파리 실험에서 마이크로RNA에 아데닌 꼬리를 달아주는 것은 ‘위스피(Wispy)’ 효소라는 점도 추가로 알아냈다. 김 단장은 ... ...
거짓말만 하면 딸꾹질 ‘피노키오 증후군’ 진짜 있나?
2014.11.23
등 거짓말을 못하는 사람이 할 수 있는 일은 거의 없었다. 이때 그녀는 기자라는 직업을
발견
했다. 한 치의 거짓이 없어야 하는 뉴스를 만드는 기자만이 자신이 할 수 있는 최상의 직업이라 생각한 것이다. 과학기자는 진리를 추구하는 ‘과학’과 진실을 이야기하는 ‘기자’를 합친 직업이다. ... ...
인간과 인간의 교집합은 생쥐?
2014.11.23
입증했다. 1998년에는 피부암을 활성화시키는 신호전달계인 ‘Wnt 신호전달계’를
발견
했다. 이밖에도 다양한 현미경사진과 세포실험으로 피부세포의 역동성이 드러났다. 와트 박사는 “유전체학의 발달로 쥐에서 피부에 관여하는 유전자의 발현을 막을 수도 있다”며 “앞으로 어떤 연구가 ... ...
아프리카 말라위 토양 분석해 인류 지능의 기원 캔다
2014.11.21
갈아 만든 화살촉 등 현생인류도 만들기 어려웠을 것으로 추정되는 정교한 물건이 자주
발견
된다. 후기석기시대 사람들이 고도의 지능을 가졌다는 뜻이다. 하지만 아프리카 고고학자들은 아직 후기석기시대가 정확히 언제 시작됐는지 근거를 찾아내지 못하고 있다. ●석영에서 나오는 빛 ... ...
유럽 고병원성 AI ‘한국 전파설’ 제기
2014.11.19
영국 정부는 북부 지역의 오리농장에서 발생한 조류 인플루엔자가 독일, 네덜란드에서
발견
된 것과 같은 H5N8로 확인됐다며, 해당 지역 오리 6000마리를 살처분할 계획이라고 18일 밝혔다. H5N8 유형의 조류인플루엔자가 최초로 보고된 것은 1983년 아일랜드에서다. H5N8은 이후 유럽은 물론, 미국, ... ...
당뇨병 조절 열쇠는 췌도 혈관
2014.11.19
또 늙은 쥐의 췌도에서는 혈관 섬유화를 나타내는 ‘라미닌’ 단백질이 유독 많이
발견
됐다. 연구팀이 어린 쥐와 늙은 쥐 췌도의 라미닌 단백질을 비교한 결과, 늙은 쥐의 경우 라미닌 단백질이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오른쪽). - 기초과학연구원(IBS) 제공 연구진은 췌도 혈관의 기능을 더 ... ...
[대구/경북]기초학부 1학년 ‘FLOW’팀 大賞
동아일보
l
2014.11.19
개발해 상품으로 만들 계획이다. 김종우 씨는 “아이디어에 부족한 부분이 많이
발견
됐다”며 “잘 보완해서 상품화하고 싶다”고 말했다. 이권효 기자 boriam@donga.com [화제의 뉴스] - 100억대 자택 내놓은 강덕수 회장, 왜? - 폈다 휘었다…TV, 내가 원한 만큼 구부려서 본다 - 스키니진 즐겨입는 20대女 ... ...
‘진주 운석 나이=태양계 나이’ 공식 확인
2014.11.18
3월 경남진주에서 발겨진 운석. - 동아일보DB 제공 올해 3월 경남 진주에서
발견
된 ‘진주 운석’의 공식 나이가 처음으로 확인됐다. 최변각 서울대 지구과학교육과 교수는 이달 20~21일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KBSI)이 개최하는 ‘제3회 분석과학국제컨퍼런스’에서 ‘마이크로 분석을 통한 태양계 ... ...
신경세포끼리 이어주는 접착제
발견
2014.11.18
신경세포와 신경세포를 '벨크로'처럼 연결하는 시냅스접착단백질의 구조가 밝혀졌다. - (주)동아사이언스 제공 국내 연구진이 신경세포와 신경세포를 연결해주는 접착단백질의 3차원 구조를 밝혀냈다. 이번 연구결과는 신경세포 사이의 연결 문제로 발병하는 조울증, 자폐증 치료 등에 활용할 ... ...
이전
927
928
929
930
931
932
933
934
93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