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인공위성
텔스타
우주선
첨성
달별
스페셜
"
위성
"(으)로 총 976건 검색되었습니다.
전화위복의 계기가 된 스리마일 원자력발전소 사고
한국원자력문화재단
l
2015.04.15
끓는점이 낮아져 순환계통의 물은 점점 줄어들고 있었던 것이다. 스리마일 원전의
위성
사진 무엇이 문제인지 알아볼 수가 없어!곧 수많은 경고등이 한꺼번에 켜지기 시작했다. 여기서 또 한 번 문제가 발생하는데, 경고 신호들을 운전원이 임의로 끌 수 없었을 뿐 아니라, 한 눈에 파악하기 ... ...
황사, 원자력발전으로 막는다?
한국원자력문화재단
l
2015.04.09
피해도 갈수록 심각해진다는 것. 2001년 중국에서 시작된 황사를 시간대별로 촬영한
위성
사진. 빨간 부분이 먼지 농도가 가장 높은 부분이다. 사막의 절대강자인 사하라가 있는 아프리카 북부보다 중국이 더 빨갛다는 점에 주목하자. ⓒ NASA 심각해지는 황사 피해의 가장 큰 요인이 바로 ... ...
[오늘, 아리랑 3A호 발사] 발사 성공 1차 확인…노르웨이 지상국 교신 성공(4보)
2015.03.26
밤과 낮 하루 2차례씩 지상관측임무를 수행하게 된다. 아리랑 3A호에는 다목적 실용
위성
가운데 최초로 적외선 관측 센서가 장착됐다. 이 센서는 땅위의 차량이나 건물 등에서 내뿜는 3.3~5.2㎛의 중적외선을 감지해 도시 열섬 효과나 산불 발생, 밤에 움직이는 구름 등을 관측할 수 있다. 기존 아리랑 ... ...
[오늘, 아리랑 3A호 발사] 아리랑 3A호 발사 동영상
2015.03.26
사업단장은 “아리랑 3A호와 신호를 주고 받으면서 태양전지판의 정상적인 전개 여부와
위성
의 상태를 처음으로 확인하게 된다”며 “이 단계가 성공적으로 진행되면 사실상 아리랑 3A호 발사를 성공으로 간주한다”고 말했다. ... ...
자연은 진공을 싫어하는가?
IBS
l
2015.03.26
구축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그림에서 설명하는 윌킨슨 마이크로파 비등방성 탐색
위성
(WMAP)도 초기 우주의 흔적을 찾기 위한 것이다. - NASA 제공 이때 입자의 질량이 존재한다면 아주 작은 미시 수준에서 중력장을 형성하여 수많은 중력장들이 끊임없이 요동치는 상태가 될 것이다. 물론 물질에 ... ...
글라이더로 인공
위성
쏘아 올리는 세상 온다
2015.02.16
‘ALASA’ 프로젝트 역시 동시에 진행 중이다. 그러나 TGLAS는 무인항공기를 이용해 인공
위성
을 발사할 수 있고 많은 자원이 필요한 군용 F-15를 동원할 필요가 없다는 점에서 최근 주목받고 있다. 라이언 디블리 GALS 프로젝트 수석 엔지니어는 “이번 실험은 글라이더와 항공기를 연결하는 각종 ... ...
[MATH] 시간 기록은 어떻게 할까?
KISTI
l
2015.02.09
오늘날 시계의 정확성은 배나 비행기의 항해와 통신 그리고 지구 주위를 운행하는
위성
과 위치 정보를 교환하는 GPS와 신호를 주고받기 위해 매우 중요하다. 정확한 시간은 우주 비행사가 우주 공간을 여행하는 데도 매우 중요하며, 항공관제 시스템과 국제 경제와 같은 전 세계 컴퓨터 활동에 매우 ... ...
로제타호가 혜성에 닿기까지
KISTI
l
2015.01.26
전자 장비의 수명을 연장하기 위해 통상 작동을 멈추기도 한다. 우리 핸드폰처럼
위성
의 운명도 배터리의 수명이 좌우하고 있는 것이다. 마지막 혜성을 추적하는 동안 로제타호는 2년 7개월을 절전 모드로 동면한 상태였다. 로제타호의 설계 수명은 12년 정도이다. 이때 전력을 가장 많이 사용하는 ... ...
[이슈 속 과학기술] 실종 비행기 어떻게 찾을까
KOITA
l
2015.01.14
홈페이지에서도 확인이 가능하다. 문제는 이 서비스가 상당히 고가라는 점이다. 인공
위성
사용료를 지불해야 하기 때문에 에어아시아 같은 저가항공사는 이런 서비스에 가입하지 않는 경우가 많다. 이럴 때는 장거리 교신이 가능한 단파 무전기로 주기적으로 항공기의 자기 위치를 가까운 공항이나 ... ...
끈이론으로부터 물리학을 지키자?
2015.01.05
신호에 교란을 준 걸(노이즈) 신호로 해석했다는 것. 지난 9월 유럽우주국(ESA)의 플랭크
위성
관측 결과가 스퍼겔의 주장을 뒷받침하는 것으로 나오자 결국 바이셉2와 플랭크 팀은 공동으로 데이터를 다시 분석하기로 했다. 두 사례 모두 획기적인 결론으로 이어지는 데이터를 앞에 두고 조급해진 ... ...
이전
88
89
90
91
92
93
94
95
9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