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고취
부식
감화
소량 가미
옮겨 붓기
주사
포화
뉴스
"
주입
"(으)로 총 1,478건 검색되었습니다.
약물 과다투여 의료사고 막는 정밀한 유량계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9.05
훼손하지 않고도 2mL의 극미량을 측정할 수 있게 된 것이다. ‘클램프온’ 타입으로 약물
주입
기 배관을 빨리집게처럼 바깥에서 집기만 해도 유량 측정이 가능한 것도 장점이다. 적외선 흡수기반 열식질량유량계. 표준연 제공. 유량 측정의 핵심 원리는 온도다. 열원이 배관 내에 있는 경우 유량에 ... ...
암 중심부까지 약물 보내는 '트로이 목마' 기술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9.08.29
것으로 확인됐다. 유방암에 걸린 동물을 상대로 실험을 진행한 결과 약물을 혈관으로
주입
했을 때보다 2배 많은 양의 약물이 종양 중심부에 축적됨을 확인했다. 치료 효과가 향상된 것이다. 현 단장은 “기존 나노입자 기반 약물전달 치료법으로는 치료가 어려웠던 부위까지 치료할 수 있을 뿐 ... ...
후쿠시마 바닷물 128만t 유입됐는데…해수부·원안위 '업무 떠넘기기'
동아사이언스
l
2019.08.29
자료에 따르면 2017년 9월부터 올해 7월까지 후쿠시마 주변 6개 현 앞바다에서 선박에
주입
된 뒤 한국 영해에 방류된 평형수는 128만t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후쿠시마 인근 해역은 2011년 동일본 대지진으로 도쿄전력이 운영하던 후쿠시마 원전이 멈추면서 바다로 오염수가 유입되면서 심각한 ... ...
암세포 공격력 4배 향상된 나노입자-NK세포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9.08.25
NK세포를 쥐에게
주입
한 뒤 형광신호를 관찰해 추적이 가능. ④ 나노입자-NK세포를 쥐에게
주입
한 뒤 MRI로 추적이 가능. 한국연구재단 제공 국내 연구팀이 자연살해세포(NK세포)가 암세포를 공격하도록 돕는 나노입자를 개발했다. 차의과학대 의생명과학과 연구팀은 생체재료 기반 나노기술을 ... ...
"벌독 성분서 새 면역항암제 후보 물질 찾았다"
연합뉴스
l
2019.08.24
뿐만 아니라 암의 전이를 촉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 결과, 멜리틴-펩타이드를
주입
한 쥐는 암세포 성장이 효과적으로 억제된 것은 물론 종양 성장에 중요한 혈관 신생 역시 유의하게 줄어든 것으로 확인됐다. 또 정상 조직의 대식세포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종양 내 대식세포만 ... ...
[프리미엄 리포트] 부르키나파소는 왜 GM모기 방사를 결정했나
과학동아
l
2019.08.17
사실 연구팀은 GM 모기가 죽지 않도록 해독제로 ‘테트라사이클린’이라는 물질을 함께
주입
했다. 테트라사이클린은 사람도 흔히 먹는 항생제 성분인데, GM 모기의 체내에 들어가면 tTVA 단백질이 제 역할을 하지 못하도록 막는 역할을 한다. 그래서 GM 모기는 교미할 때까지 살 수 있으며, 후손에게 ... ...
"포항 여진 줄었지만 진원지 확대, 지하수위 이상…정밀 모니터링해야"
동아사이언스
l
2019.08.13
관측이 필요한 비정상적인 상황”이라며 “이 물이 자연적인 지하수인지 인공적으로
주입
한 물인지 판정하기 위해 정기적인 수질 분석도 해야 한다”고 말했다. TF는 이런 분석의 정확도를 위해 10억 원의 정부 추경 예산을 확보해 심부시추공 지진계와 지하수위 자동측정시스템, 심부 지하수채취 ... ...
치맥 더 먹어도 될까…통풍 치료제 효과 높이는 기술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8.13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효소를 단독
주입
하거나 나노전달체에 포집하지 않은 채
주입
한 경우에 비해 2배가량 높은 혈중 요산 감소 효과를 보였다”고 말했다. 권 교수는 “부작용을 걱정하지 않으면서 더 우수한 약효를 갖는 조성물을 통해 통풍 치료를 위한 더 많은 활용이 기대된다”고 ... ...
하이드로젤 이용해 줄기세포 치료 효율성 높였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8.11
복강주사, 치료 부위 직접
주입
등의 방법을 통해 인체에
주입
된다. 하지만 이렇게
주입
된 줄기세포들은 그대로 전신에 퍼져 원하는 질환 및 부위에 대한 치료 효율성이 떨어진다는 한계가 있다. 또 지지체가 없이 투여된 줄기세포들은 인체 내 환경에 적응하기 힘들고 환부에 대한 정확한 ... ...
스마트폰앱 버튼 누르니 뇌에 칩 심은 쥐가 움직였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8.08
연구팀은 쥐의 뇌에서 장소 선호도를 유도할 수 있는 부위에 빛에 반응하는 단백질을
주입
했다. 이를 통해 신경세포가 빛에 반응하도록 했다. 그 결과 쥐를 특정 장소로 이동했을 때 마이크로 LED를 켜서 빛 자극을 통해 쥐가 그 장소에 머무르게 하는데 성공했다. 반대로 약물을 전달해 뇌 ... ...
이전
88
89
90
91
92
93
94
95
9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