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분석
해체
분류
분별
분리
검토
분열
뉴스
"
분해
"(으)로 총 2,011건 검색되었습니다.
수소 생산량 늘리는 따개비 닮은 촉매
2021.01.11
기술’은 전력 생산 과정이 청정하다면 친환경 수소 생산법으로 꼽힌다. 물을 전기
분해
하면 산소발생반응과 수소발생반응이 동시에 일어나는데 전체 반응이 속도가 비교적 느린 산소발생반응에 맞춰 진행된다. 산소발생반응이 느려질수록 수소 생산 속도도 느려지기 때문에 산소반응발생의 ... ...
"비만이 암을 악화" 지방세포 지방산이 암세포 전이 일으킨다
연합뉴스
l
2021.01.11
인접한 암세포를 자극하는 기전을 규명했다고 10일 밝혔다. 유리 지방산은 지방세포가
분해
돼 혈액으로 분비되는 지방산이다. 연구팀은 지방세포와 암세포가 접촉해 자라도록 한 3차원 배양세포 모델을 통해 지방세포에서 분비되는 유리 지방산이 인접한 암세포의 'HIF-1α' 전사인자를 ... ...
어린이나 어른이나 기억 조절 핵심은 ‘별아교세포’
동아사이언스
l
2021.01.05
제거되는지 조사했다. 시냅스가 산성에서 재빨리
분해
되면 녹색 형광단백질을, 천천히
분해
되면 적색 혁광단백질을 내놓게 했다. 그 결과 성인 해마에서는 별아교세포가 시냅스를 지속적으로 제거하고 특히 흥분성 시냅스를 더 많이 제거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뇌에서 면역세포 역할을 하는 ... ...
세포 키워 얻은 고기, 불판에 올리는 시대가 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1.04
친환경 에너지로 각광받지만 정작 화력과 원자력을 이용한 전기로 물을 전기
분해
해 얻고 있다. 이런 이유로 수소 분야에서는 '클린 수소'를 갖추기 위한 연구가 한창이다. 배양육 분야도 마찬가지 상황이다. 비타민과 호르몬, 미네랄을 이용해 소 태아의 혈청 없이 만든 배양액인 미국 크레센트 ... ...
[표지로 읽는 과학] 수처리 산업에 쓰이는 '막' 3D로 본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1.03
사이언스는 수 nm(나노미터·1nm는 10억분의 1m) 두께의 ‘폴리아미드 멤브레인’이
분해
된 모습을 1일 표지로 실었다. 폴리아미드는 무색투명한 열가소성 플라스틱을, 멤브레인은 막을 각각 뜻한다. 폴리아미드 멤브레인은 지난 수십년 동안 해수 담수화와 하폐수 재활용 등 수처리 산업에 쓰이고 ... ...
[프리미엄 리포트]영면에 들어간 천문학의 노병들
과학동아
l
2021.01.02
특히 전파는 가시광보다 파장이 긴데, 이 때문에 망원경을 최대한 크게 지어야 충분한
분해
능을 얻을 수 있다. 아레시보 전파망원경은 오랫동안 ‘세계 최대’ 타이틀을 보유했던 만큼 기존의 다른 전파망원경으로는 엄두도 내지 못할 굵직한 발견을 여럿 했다. 대표적으로 맥동 주기가 불규칙한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팬데믹의 희망과 과학자의 고난
2020.12.31
단백질을 직접 사용한다. 왜냐하면 RNA라는 물질 자체가 불안정하고 세포 밖에서 쉽게
분해
되어버리기 때문이다. 세포내에는 이렇게 불안정하지만 중요한 정보를 담고 있는 RNA를 보호하기 위해 수많은 단백질들이 RNA에 붙어 RNA의 정보를 보호하고 안정적인 유전자 발현과정을 이끈다. 하지만 ... ...
배터리 필요 없고 더 민감한 자외선 센서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2.30
페로브스카이트를 찾아내 보호막도 없앴다. 박 교수는 “유기물은 보통 자외선에
분해
돼 사라지는데 실수로 오존 램프에 넣어둔 유리 기판에 코팅돼있던 금속 할라이드 페로브스카이트가 그대로 남아있는 것을 발견했다”며 “이 내구성을 센서에 응용했다”고 말했다. (a)는 센서의 층을 ... ...
국내 상륙한 영국발 코로나19 변이 바이러스 어떤 특징이 있나
동아사이언스
l
2020.12.28
단백질이 숙주세포의 안지오텐신전환효소2(ACE2)와 결합하면 퓨린 단백질
분해
효소(TMPRSS2)가 스파이크 단백질의 일부분을 자르고 비로소 세포 내로 침투한다.기초과학연구원(IBS) 제공 스파이크 단백질의 69번과 70번 아미노산이 삭제된 변이는 스파이크 단백질의 모양을 변형시킬 가능성이 있다. ... ...
사이언스 "영국 코로나19 변이체 감염력 높은 이유는 4개 돌연변이 때문"
동아사이언스
l
2020.12.24
P)에서 히스티딘(H)으로 바뀐 변이다. 스파이크 단백질은 숙주 세포와 결합 후 퓨린 단백질
분해
효소에 의해 절단되면서 활성화된다. P681H가 스파이크 단백질의 절단 부위를 바꿔 활성화에 영향을 줄 수 있다. 크리스티안 드로스텐 독일 샤리테의대 교수는 "P681H는 N501Y만큼 감염력에 영향을 줄 수 있다 ... ...
이전
88
89
90
91
92
93
94
95
9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