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항행
선박 여행
d라이브러리
"
향해
"(으)로 총 1,792건 검색되었습니다.
어린왕자가 다녀간 대청도 '모래사막'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찾아와 사구 꼭대기에 날카로운 모서리를 잡는다. 바람과 함께 모래가 바다에서 육지를
향해
날리기 때문이다. 여름이 되면 바람은 언제 그랬냐는 듯이 언덕을 쓰다듬어 완만하게 만든다. 바람이 육지에서 북쪽 바다로 불면서 사구 꼭대기에 있던 모래를 쓸어가기 때문이다.옥죽동사구에 숨겨진 ... ...
달에 돌진한 LCROSS, 물 발견했나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천체에 충돌체를 투하한 실험은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2001년 소행성 ‘에로스’를
향해
내달렸던 니어-슈메이커 호나 1999년 달로 돌진한 루나 프로스펙터와 같은 사례가 있다. 하지만 충돌 자체가 탐사의 궁극적 목적이었던 경우는 드물다. 대부분은 정밀한 탐사를 하기 위해 천체 ... ...
지구에서 달까지
수학동아
l
2009년 11호
것은 불가능에 가깝습니다.Epilogue_마침내 대포는 3명의 모험가를 태운 포탄을 달을
향해
쏘아 올립니다. 4일뒤 거대한 천체망원경으로 달을 관측한 결과 포탄을 발견하지만, 계산이 약간 틀렸는지 포탄은 달에 착륙하지 못한 채 달 주위를 돌고 있습니다. 이 포탄에 탄 3명의 운명은 어떻게 될까요? ... ...
도전! 나도 애니메이션 감독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11호
싸우는 내용인 ‘외계로봇과 쥬라기 전사 제나’를 보았는데, 정말로 공룡이 나를
향해
달려오는 것처럼 보여서 나도 모르게 바닥을 구르고 손을 휘휘 내젓기도 했단다. 애니메이션을 다 보고 나니 우린 궁금해졌어. 과연 애니메이션은 어떤 과정을 거쳐 만들어질까? 체험 둘! 크로마키로 가상 ... ...
민물고기 별별랭킹 쇼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11호
바닥에 사는 배가사리는 바닥에 있는 먹이를 쉽게 먹을 수 있도록 입이 바닥을
향해
있어요. 입술에는 돌기가 있어서, 바닥에 붙어 있는 이끼를 긁어먹기에 유리해요.말뚝망둥어갯벌이 발달한 연안에 사는 말뚝망둥어는 썰물 때가 되면 갯벌을 뛰거나 기어다녀요. 빨판 역할을 하는 배지느러미가 ... ...
세티, 외계인과의 ‘콘택트’에 도전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신호가 SF와 인터넷 채팅의 주제가 되고 말았다”고 지적한다.혹시 외계인들이 지구를
향해
드리우던 전파를 마침 지구인이 재차 관측을 시작할 때 걷어간 건 아닐까. 가능성을 배제할 수는 없다. 하지만 그것 또한 추측이다. 명백한 증거가 없긴 마찬가지라는 얘기다.외계인 행성 100만 개 ... ...
피지 사탕수수 기행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반으로 축소한 기차 같다. 기관차 안에서 사람이 나와, 열심히 사진을 찍고 있는 기자를
향해
손을 흔든다.“피지 인구의 30% 정도가 인도계인데, 대부분 사탕수수 농장 개척 때 온 사람들의 후손들입니다.”강 사장은 작은 인도식당에 들어서며 피지 원주민과 인도계 주민 사이의 미묘한 갈등이 ... ...
미국의 퍼즐 고수와 대결하다!
수학동아
l
2009년 11호
있는데 서로 반대쪽에 두 척의 배가 있소. 이 배가 각각 양쪽 부두를 출발하여 반대쪽을
향해
간다고 합시다. 한 척은 다른 한 척보다 속도가 빠른데, 두 척의 배는 한쪽 부두에서 600m 되는 지점에서 서로 스쳐지나가오. 목적지에 도착한 배는 10분 동안 정박한 뒤 다시 되돌아가고. 두 척의 배는 다시 ... ...
탄생 170주년 카메라의 무한 변신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있다는 게 과학계의 진단이다. 가장 결정적인 흠은 렌즈를 의료진이 원하는 특정 부위를
향해
들이댈 수 없다는 점이다. 자체 동력 없이 내장의 운동에 따라 이리저리 돌아다니며 촬영하는 캡슐형 내시경의 한계 때문이다.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박장선 전문연구위원은 최근 발표한 보고서에서 ... ...
패턴의 과학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동식물들 간의 균형이 맞추어지는 것(생태학적 균형)처럼 선수들의 기량이 균형점을
향해
달려온 과정으로 봤다. 타율변화의 패턴을 수학적·통계적으로 연구했던 굴드는 그 변화의 규칙성에 감탄했다. 그는 “평균타율과 관련한 표준편차의 감소는 너무 규칙적인 까닭에 마치 자연의 법칙같이 ... ...
이전
88
89
90
91
92
93
94
95
9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