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천문
천공
하늘
창공
태양
해
햇빛
d라이브러리
"
천체
"(으)로 총 2,081건 검색되었습니다.
사람들이 재미없는 영화를 끝까지 보는 이유
과학동아
l
2009년 01호
하늘을 보는 기회는 점점 줄어들고 있다. 2009년에는 답답한 PC방을 나와 탁 트인 들판에서
천체
를 바라보면 어떨까. 관측을 위한 기초 지식과 쌍안경 사용법부터 차근차근 설명하면서 침묵속에서 변화하는 하늘을 펼쳐 보이고 있다. “가장 맑은 빛을 눈동자에 담고 싶은 사람은 밤하늘 별 여행을 ... ...
요즘 태양은 왜 민얼굴인가요?
과학동아
l
2009년 01호
사진과 비디오를 전시하는 프로젝트. 우리나라에서는 아마추어천문가 권오철 씨의
천체
사진이 TWAN 공식 웹 사이트 (www.twanight.org)에 소개됐다. 2008년 12월 31일~2009년 1월 18일 홈플러스 잠실점에서 오프라인 전시회가 열린다.세계 태양 관측 캠페인2009년 1월 1일 보현산 천문대에서 한국천문연구원과 ... ...
종합적 사고력이 논술 평가의 핵심
과학동아
l
2009년 01호
천문대에서 관측돼 일반인에게 생중계된 적이 있었다. 이것은 태양계 안에서 일어난
천체
의 충돌장면을 실시간으로 볼 수 있는 최초의 사건이었다. 는 SL9 혜성이 목성과 충돌하기 약 4개월 전에 허블 망원경으로 관측해 찍은 사진이다. 이 혜성은 여러 개의 덩어리가 줄지어 늘어서 있기에 ‘진주 ... ...
[지구과학]우주에 작용하는 힘
과학동아
l
2009년 01호
하는데, 기조력의 크기는 조석 현상을 일으키는
천체
의 질량에 비례하고 그
천체
까지의 거리 세제곱에 반비례한다. 지구와 달 사이는 만유인력이 작용하므로 지구와 달은 서로 끌어당겨 가까워져야 하나 실제로는 끌려가지 않고 일정한 거리를 유지한다. 이유는 와 같이 지구와 달이 공통질량중심을 ... ...
갈릴레이 망원경 400주년 우주에 눈뜨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01호
위해 정기적으로 코팅한다. 4. 대형망원경에는 왜 *경통이 없을까?일반인이 사용하는
천체
망원경과 달리 대형망원경에 경통이 없는 이유는 여러 가지다. 첫째, 경통을 없애면 망원경의 무게를 줄일 수 있다. 둘째, 경통이 있으면 내부에서 공기가 소용돌이쳐서 상이 흐려진다. 셋째, 망원경의 열이 ... ...
“어흥~!”토성 위성의 호랑이 줄무늬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17호
등의 유기물을 포함한 옅은 대기가 있어 생명체가 존재할 가능성이 높다고 알려져 있는
천체
예요.이 사진은 지난 2008년 8월 11일에 토성 궤도탐사선인 카시니가 시속 6만 4000㎞로 엔셀라두스를 근접 비행하면 서 찍은 것으로, 호랑이 줄무늬처럼 보이는 좁고 긴 협곡이 잘 드러나 있어요. 과학자들은 ... ...
지구 멸망 시나리오 3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하는 점이다.변용익 교수 연세대 천문기상학과를 졸업한 뒤 호주국립대에서 천문학과
천체
물리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1992년 미국 NASA의 허블펠로우쉽을 수상했고, 하와이주립대에서 박사후 연구원을 지낸 뒤 대만국립중앙대 교수를 거쳐 1998년 연세대에 부임했다 ... ...
‘순간’을 필름에 담는 엔지니어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두리번거렸다. 그래도 사진은 마저 찍어야했다. 용기를 내 달과 별 촬영을 계속했다.
천체
사진을 잘 찍으려면 담력부터 키워야겠다는 생각을 하면서. 편집자 주 ‘과학계 다빈치를 찾아서’는 이번 호로 마칩니다. 그동안 ‘과학계 다빈치를 찾아서’를 지켜봐 주신 독자 여러분께 감사드립니다 ... ...
[물리]빛이 꺾이는 원리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내시경과 같이 의학적인 목적으로 쓰인다. (라) 갈릴레오 갈릴레이는 망원경을 만들어
천체
관측을 한 성과를 인정받아 이탈리아 파도바대의 교수가 되었다. 그는 평생 동안 만든 대부분의 망원경을 피렌체의 대재벌 메디치 2세에게 바쳤다. 그 중 최대의 망원경은 대물렌즈의 지름이 56cm, 초점거리가 ... ...
[천문학]이웃 태양계엔 소행성대가 2개?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에리다니b’ 외에 2개의 행성이 더 있을 것으로 추측하고 있다.이 연구 결과는
천체
물리학지 ‘아스트로피지컬 저널’ 내년 1월 10일자에 발표될 예정이다 ... ...
이전
88
89
90
91
92
93
94
95
9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