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전력
전류
전원
전자
결정적 단계
장편소설
장편물
d라이브러리
"
전기
"(으)로 총 5,041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자의 부엌] 소금과 유산균의 콜라보, 김치
과학동아
l
2018년 11호
설정해 발효가 진행되는 속도를 조절하는 김치냉장고입니다. 조리과학과 물리학,
전기
공학, 기계공학이 힘을 모아 최적의 전통 식품을 지켜내고 있는 셈입니다 ... ...
[Career] DGIST 에너지공학전공 - 수소연료전지차의 마지막 퍼즐 최고의 촉매
과학동아
l
2018년 11호
백금끼리 뭉쳐서 표면적이 줄어 활성이 빠르게 감소하기 때문이다. 그런데 연료전지의
전기
화학반응이 계속되면 탄소가 이산화탄소로 바뀌면서 지지체가 날아가게 된다. 만약 탄소 지지체가 사라지면 여기에 붙어있던 백금도 떨어져나가고 백금끼리 뭉쳐 활성도 역시 크게 떨어진다. 유 교수는 ... ...
[과학뉴스] 스프레이로 뿌려서 ‘나노 안테나’ 제작
과학동아
l
2018년 11호
판 모양의 2차원 무기화합물로, 표면이 수산기와 산소로 이뤄져 있어
전기
전도성이 높다.
전기
전도성은 안테나의 가장 중요한 요소다.이번에 연구팀은 막센에 물을 섞으면 뿌릴 수 있는 스프레이 형태로 만들 수 있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이 혼합물은 벽이나 유리창 등 모든 표면에 뿌릴 수 있으며, ... ...
[TECH]무선충전 기술이 돌아왔다
과학동아
l
2018년 11호
말했다. 의료기기 분야에서 무선 충전 기술의 활용 전망은 밝다. 이명이 발생하면
전기
자극을 가해 불편을 해소하는 장치나, 소화기관을 돌아다니는 마이크로로봇을 몸 밖에서 무선으로 충전할 수 있다.현재 박 책임연구원은 서울대병원과 공동으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지난해에는 무선 충전이 ... ...
'땅 위의 인공태양' 건설 현장에 가다
과학동아
l
2018년 11호
약간 커질 가능성이 높다.전문가들은 ITER의 1.5~2배만 돼도 충분히 목표치 이상의
전기
를 생산할 수 있을 것으로 추정한다. 정 단장은 “규모가 크다고 무조건 전력 생산효율이 높은 것은 아니다”라며 “장치가 너무 크면 건설에 들어가는 비용과 시간이 불필요하게 늘어날 수 있기 때문”이라고 ... ...
[통합과학 완벽 정리 10]
전기
에너지와 발전
과학동아
l
2018년 11호
사라지는 시점을 늦추기 위해서는 에너지를 효율적 으로 쓰고 절약할 필요가 있다. 또한
전기
에너지는 감전과 화재 등 위험으로 번질 가능성이 있으므로 안전하게 쓰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 ... ...
[과학뉴스] 밤에도 ‘열일’하는 태양전지 개발되나
과학동아
l
2018년 10호
기존 실리콘 태양전지와 비슷한 효율인 20%대를 유지하면서도 훨씬 얇고 가벼우며 밤에도
전기
를 생산할 수 있는 태양전지용 반도체를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 송진동 광전소재연구단장은 “얇고 잘 휘는 구조여서 웨어러블 기기 등 다양한 곳에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doi:10.1016/j.nanoen.201 ... ...
[시사기획] 땅이 가라 앉는다
과학동아
l
2018년 10호
GPR) 탐사는 3m 이상 지하를 탐사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며 “
전기
를 이용한
전기
비저항 검사나 진동을 이용한 표면파 탐사법 등을 복합적으로 사용해 10m 이상의 지하를 탐사하는 기술을 개발 중”이라고 설명했다.상도동 공사처럼 네일링을 이용해 지반을 고정해야 하는 경우를 대비해 기존 ... ...
[과학뉴스] 뇌 속 도파민 농도, 실시간으로 측정
과학동아
l
2018년 10호
장동표 한양대 생체의공학과 교수팀은 이를 해결하기 위해 ‘다중사각전압’이라는
전기
화학법을 새로 개발했다. 특정한 파형을 갖는 전압을 가해주면 물질이 산화환원반응을 일으켜 전류가 발생하는데, 이를 측정해 분석하는 기법이다. 연구팀은 이 방법으로 아주 낮은 농도의 도파민을 10초 ... ...
[과학뉴스] 장내 미생물의 ‘짜릿한’ 비밀
과학동아
l
2018년 10호
있는 박테리아들을 오히려 놓치고 있었던 셈”이라며 “앞으로 세균을 이용해 친환경
전기
를 생산하는 데 이 연구가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고 말했다.doi:10.1038/s41586-018-049 ... ...
이전
88
89
90
91
92
93
94
95
9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