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일
역할
책무
책임
노무
본분
의무
d라이브러리
"
임무
"(으)로 총 1,440건 검색되었습니다.
파나마 운하 확장공사
과학동아
l
2007년 10호
후 지대공 미사일이나 대공화기의 급속한 성능 향상으로 항공 정찰이 극히 위험한
임무
가 되고 정찰기의 가격마저 급등하자 정찰목적에 사용하게 되었다 BC 384~322(21)그리스 철학자, 과학자 마케도니아의 스타게이라(현재의 스타브로스) 출생 플라톤의 문하생, 논리학의 창시자 물질의 구성에 ... ...
PART1 똑똑한 소형위성이 몰려온다
과학동아
l
2007년 10호
위치하지 못할 때가 많았다. DMC 같은 소형위성 무리가 중요한 이유다.미래 소형위성의
임무
중에는 또 하나의 목적이 숨어있다. 바로 위성무기로서의 역할이다. 이는 소형위성을 이용해 상대의 위성을 궤도에서 파괴시키자는 발상에서 출발했다. 적의 위성에 부착해 필요할 때 폭파가 가능한 ... ...
PART2 한국발 스푸트니크 쇼크는 계속된다
과학동아
l
2007년 10호
검토하고 있는 것도 이같은 맥락에서다. 물론 기술시험위성뿐만 아니라 다양한 과학
임무
를 수행하는 소형위성도 개발될 전망이다.최근 미니스커트가 유행하듯이 위성에서 소형위성이 차지하는 비중이 늘고 있다는 점만은 분명한 사실이다. 또 소형위성의 위력은 점차 커질 것이다 ... ...
과학의 열정 무대에서 불사르다
과학동아
l
2007년 10호
“과학은 어렵다는 걸 인정하고 좀 더 재미있게 설명할 수 있는 길을 찾는 것이 저희
임무
라고 생각합니다.”과학현상을 이해하는 데 초등학생들이 대학생들에게 뒤지지 않는 걸 보면서 깜짝 놀란다는 그는 학생들의 잠재력을 활짝 꽃피우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다짐했다 ... ...
일본 '가구야 공주' 달로 가다
과학동아
l
2007년 10호
달 표면에서 100km 상공을 돌며 달의 기원과 진화를 연구하는데 필요한 자료를 수집하는
임무
는 물론 미래에 달을 이용하기 위한 다양한 관측을 한다. 2기의 소형위성 가운데 하나는 궤도선이 달 뒤쪽에 있을 때 지구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중계위성이고, 다른 하나는 달의 중력을 정확히 측정하기 위한 ... ...
ISS를 신나는 '과학교실'로 만든다
과학동아
l
2007년 09호
농사를 짓는 일에 앞장섰으면 하는 게 그의 바람이다.엔데버에 탑승한 우주인들의 주
임무
는 2주 동안 ISS에 새 지붕틀을 붙이고 위아래가 없는 우주정거장에서 방향을 통제하는 일을 돕는 자이로스코프를 교체하는 작업이었다. 하지만 최초로 실시간 우주수업을 하며 우주개발의 주역이 될 ... ...
최종이론의 꿈
과학동아
l
2007년 09호
효과* 때문에 깨진다”는 아이디어라고 설명했다.힉스입자의 발견은 LHC의 가장 중요한
임무
중 하나다. 그러나 그는 힉스입자를 발견해서 표준모형을 실험적으로 확증하는 일보다 오히려 표준모형을 넘어선 새로운 물리 이론에 훨씬 더 깊은 관심을 보였다.그는 “힉스입자 하나만 달랑 발견하면 ... ...
소유즈호 컴퓨터 처리속도는 5Hz?
과학동아
l
2007년 07호
컴퓨터가 없던 보스토크 우주선 시대부터 오랜 검증을 거치며 지금까지 완벽하게
임무
를 수행해왔다. 따라서 러시아 우주선은 아날로그적이지만 완벽한 구동 메카니즘을 가지고 있어 디지털 방식의 고성능 컴퓨터가 필요치 않았다.사람들은 보통 낡은 기술보다 새로운 기술을 더 좋게 평가하지만 ... ...
까칠까칠 황사 탐험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06호
했다가 말도 많았지요? 대체 황사는 왜 이렇게 변덕이 심할까요? 그 이유를 찾아 두번째
임무
를 시원~하게 해결해 봅시다.잦아지고 빨라지고언제부터 황사의 악명이 높아진 걸까요? 기상청 자료를 보면 우리나라에서는 1990년대후반부터 황사 현상가 잦아진 걸 알 수 있어요. 실제로 80년대와 90년대 ... ...
난류 타고 훨훨 나는 박쥐
과학동아
l
2007년 06호
천천히 하늘을 날며 정찰하는
임무
를 맡긴다면 새와 박쥐 중 누가 적합할까. 답은 박쥐다. 스웨덴 룬트대 생물학자 안데스 헤든스트롬 박사는 “박쥐의 날개는 스스로 난류를 만들기 때문에 느린 비행도 안정적으로 할 수 있다”고 ‘사이언스데일리’ 온라인판 5월 10일자에 발표했다.헤든스트롬 ... ...
이전
88
89
90
91
92
93
94
95
9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