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예상"(으)로 총 4,038건 검색되었습니다.
- [Future] ‘ 마션 인 하와이 ’ 8개월의 기록과학동아 l2017년 11호
- 대인 관계에 큰 영향을 미치고 심리적으로 불안정한 상태를 유발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한다. 이에 맞춰 탐사대원들의 미션도 정해졌다. 5년간 미션은 매번 달라졌다. 올해는 화성에 체류하는 동안 개인이 겪을 수 있는 심리적인 어려움을 찾아서 해결하라는 숙제가 떨어졌다. 지난해와 2014년에는 ... ...
- Part 5. [노벨상 예측] 노벨상 제정 벌써 117년 향후 노벨상 탈 연구는과학동아 l2017년 11호
- 항원에 두 번째로 노출됐을 때 기억 T세포가 더 왕성하게 활동했던 것이다. 전혀 예상치 못한 현상이었다. 또, 2013년 미국 워싱턴대 의대 연구팀은 T세포 기능의 대사 과정에 호기성 분해작용이 필요하다는 사실을 증명했다. 2015년 미국 세인트주드 어린이병원 연구팀은 조절 T세포가 면역 억제인자의 ... ...
- [Culture] 알골과학동아 l2017년 11호
- 그때 발판이 나를 부드럽게 위로 띄워 올렸다. 난생 처음 해보는 우주 유영은 예상보다 훨씬 괜찮았다. 나는 잘 포장된 길에서 자전거를 타고 상쾌하게 달리는 속도로 포브스로 나아갔다. 흔들림은 전혀 없었고, 보이지 않는 손이 강하지도 약하지도 않게 나를 붙들고 있는 기분이 들었다. 그게 ...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우리집 라돈 프로젝트, 실내 공기를 지켜라!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1호
- 주로 토양에서 나오기 때문에 고층 아파트는 안전할 것이라고 예상했어요. 하지만 예상과 달리 환기를 최소화한 2주차에서 17층 아파트에 사는 가정의 라돈 농도가 7.91pCi/L로 측정됐지요. 이번 프로젝트에서 나타난 최고 농도였어요. 연세대학교 환경보건센터 조승연 교수는 “고층 아파트에서도 ... ...
- [Issue] 잘 나가는 크리스퍼 ‘처녀생식’ 논란과학동아 l2017년 11호
- 현상은 학계에 한 번도 보고된 바가 없다. 김진수 단장 역시 이 부분에 대해 “연구진도 예상하지 못한 결과였다”며 “외부 DNA를 도입하는 것보다 교정의 정확성이 더 높았다”고 말했다. 논란1: 난자의 유전자 교정? 발달생물학에 위배 외부 DNA 대신 난자의 유전자를 기반으로 유전자 교정이 ... ...
- Part 4. 아쿠아 맨의 삼지창 초속 100m 초공동 어뢰로과학동아 l2017년 11호
- 캐비테이터를 선단에 부착해야 한다. 캐비테이터의 모양은 원판형이 유리할 것으로 예상된다. 캐비테이터는 나라마다 모양이 다르고, 이것이 곧 그 나라의 제작 노하우다. 러시아는 쉬크발의 캐비테이터를 원판형으로 제작했다. 추진 에너지가 많이 들더라도 초공동이 크게 생기는 디자인을 택한 ... ...
- Part 2. 슈퍼맨의 히트비전 고출력 광섬유 레이저로과학동아 l2017년 11호
- 무기의 제작 계획을 발표하면서 향후 광섬유 레이저 개발 경쟁은 더욱 치열해질 것으로 예상된다. 10kW급 레이저 100개면 미사일 요격그러면 다시 처음으로 돌아가 10kW급 소형 레이저를 개발해 슈퍼맨처럼 눈으로 레이저를 쏜다고 가정해보자. 조금 억지스럽지만, 광섬유 레이저 장치가 구글글래스 ... ...
- Part 6. 사이보그의 캐논포 바이오닉 팔로 해결과학동아 l2017년 11호
- 몸을 바로 일으켜 세우는 기술을 구현하기까지는 20년 이상 오랜 시간이 필요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런 관점에서는 로봇과 인간의 몸이 군데군데 결합된 사이보그가 인간보다 더 민첩하게 달리고 심지어 날아다니는 모습은 영화적인 상상력에 가깝다. 로봇공학자들에게 사이보그 설계를 맡겼다면 ... ...
- Part 1. [물리학상] 100년 만에 중력파 존재 확인과학동아 l2017년 11호
- 모델이 제안됐는데, 중성자 별의 충돌로 2초 이내의 짧은 감마선 폭발이 관측될 것으로 예상됐다. 그리고 미국항공우주국(NASA)이 운용하는 허블망원경이 2013년 이런 특성을 갖는 감마선 폭발체(GRB130603B)를 실제로 관측하면서 킬로노바의 존재가 확인됐다. 그러나 반쪽 짜리 결과였다. 킬로노바의 ... ...
- [Origin] 꽃보다 동물 동물의 향기과학동아 l2017년 11호
- 난다. 달달한 걸 보니 장미향일까. 살짝 시큼한 걸로 봐선 레몬향도 섞인 것 같다. 어쩌면 예상치 못했던 향이 섞여 있는지도 모른다. 꽃이나 과일이 아닌, 동물 냄새 말이다. 자연에서 얻을 수 있는 향료는 꽃이나 잎, 풀, 열매 등에서 즙을 짜내 추출한 식물성 향료가 대부분이다. 지금까지 밝혀진 ... ...
이전88899091929394959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