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센터"(으)로 총 4,054건 검색되었습니다.
- Intro. 과학으로 통일을 준비한다! 반달가슴곰의 팩트체크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2호
- 안녕? 난 비무장지대 ‘DMZ’에 살고 있는 반달가슴곰이야. 최근, 남한과 북한의 사이가 좋아지고 있어서 어쩌면 가까운 미래에 한반도의 백두대간이 이어질 수도 있다고 들었어. 그럼 지리산에 사는 반달가슴곰과 백두산호랑이가 만날 수도 있대. 통일을 위해 과학자들도 준비 중이라던데…. 진짜 ... ...
- [팩트체크 2] 한반도에서 핵무기가 사라진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2호
- 아직 갈 길이 멀어요. 미국 최고의 핵과학자로 꼽히는 스탠퍼드대학교 국제안보협력센터 지그프리드 헤커 교수는 지난 5월 28일 발표한 보고서를 통해, 북한의 비핵화 과정이 약 9~16년 걸릴 것으로 내다봤어요. 가장 먼저 핵 프로그램을 중단하고, 그뒤 2~5년 동안 점진적으로 핵시설 가동을 줄이며, 6~ ... ...
- [팩트체크 4] DMZ, 멸종위기종의 천국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2호
- 사실 내가 가장 궁금해하는 소문은 따로있어. 이곳 DMZ가 생태학적으로 엄청난 가치가 있다는 거야. 이 소문도 정말일까? 65년 간 인간 없는 세상, DMZ한반도에는 65년 간 미스터리로 남아있는 지역이 있어요. 바로 폭 4km, 길이 248km인 비무장지대(DMZ)지요. 이곳은 남한과 북한이 전쟁을 멈추기로 하 ... ...
- 단위계 ‘프랑스 혁명’ 국제도량형총회 르포과학동아 l2018년 12호
- 종종걸음으로 베르사유 궁전 근처로 모여들었다. 베르사유 궁전 앞에 있는 컨벤션센터(Palais des Congres)에서는 13일부터 나흘간 제26차 국제도량형총회(CGPM)가 열렸다. 국제도량형국(BIPM) 산하 국제도량형위원회가 주관하는 이 총회는 ‘미터협약’ 회원국 60개 대표들이 참석하며, 4년마다 프랑스 파리 ... ...
- 여우각시별, 이수연 사원의 웨어러블 로봇이 궁금하다과학동아 l2018년 12호
- 줘 감각을 인식하게 하는 방법도 연구되고 있다. 2016년 미국 피츠버그대 메디컬센터 연구팀은 온 몸이 마비된 남성 환자의 뇌 감각 피질에 마이크로전극을 이식한 뒤, 이를 로봇 팔과 연결해 로봇 팔의 손가락을 만졌을 때 그 감각을 느끼게 하는 데 성공했다. doi: 10.1126/scitranslmed.aaf8083 황 교수는 ... ...
- Part 2. 침대의 라돈이 더 위험한 이유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2호
- 받으면 세포 속 유전자가 변할 가능성이 어른보다 높기 때문이에요. 시민방사선감시센터는 2010년 이전에 생산된 대진침대 사용자는 라돈 측정기로 방사선량을 확인하고, 수거 명령이 내린 침대 사용자는 대진침대가 수거해 가도록 즉시 신고할 것을 조언했어요. 수거가 될 때까지는 두꺼운 비닐로 ... ...
- 최초의 ‘행성 사냥꾼’ 케플러과학동아 l2018년 12호
- 케플러 우주망원경의 뒤를 이을 행성 사냥꾼으로 올해 4월 미국 플로리다주 케네디우주센터에서 외계행성 탐색 망원경인 ‘테스(TESS·Transiting Exoplanet Survey Satellite)’를 발사했다. 펠리샤 추 NASA 대변인은 과학동아와의 e메일 인터뷰에서 “케플러 우주망원경은 우주의 약 4%인 좁은 범위를 ... ...
- 영장류자원지원센터에 가다과학동아 l2018년 12호
- 흐르고 있었다. 이 원숭이는 19일 오전 10시경 13일 만에 겨우 생포됐다. 김 센터장은 “센터 내에 있는 원숭이는 엄격한 검역절차를 거쳤기 때문에 원숭이에 의한 질병 감염 우려는 없다”며 “탈출한 동안 원숭이가 야생의 다른 동물들과 접촉했을 수 있기 때문에 다시 한 달 동안 검역절차를 밟을 ... ...
- [팩트체크 3] 남북한은 면역력도 다르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2호
- 어린이들을 진료하는 소아과 의사입니다. 지금은 서울대학교 연구부총장과 통일의학센터 소장을 맡고 있어요. 남북의 의료 격차를 줄이기 위해 남한과 북한에서 어떤 질병이 유행하는지, 어떤 의료 체계를 갖추고 있는지 등을 공부하지요.Q. 어떻게 소아과 의사 선생님이 통일의학에 관심을 갖게 ... ...
- Intro. 이불 밖은 위험해? 라돈 침대도 위험해!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2호
- 안녕! 내 별명은 잠만보가 아니라 삼만보야. 침대에 누우면 3초 안에 잠이 들어 이런 별명이 붙었지. 그런데 지난달 침대에 라돈이라는 방사성 물질이 나왔다는 뉴스를 보고 불면증이 생기고 말았어. 혹시 내 침대에서도 라돈이 나오는 건 아닐까? 불안해서 잠을 못 자겠어! ▼관련기사를 계속 ... ...
이전888990919293949596 다음